『초급 빨리어 경전 강독』에서 어미를 표로 모아 놓긴 했는데.....
맨 눈으로 보면 뭐가 뭔지 이걸 다 외워야 되는지... 도대체 어렵죠.. ㅜㅜ
일반적인 격 어미
| 단수(Sg.) | 복수(Pl.) | |
N.(주격) | m./f.는 대개 어기 (a는 o, ar/an 등은 ā) n.는 어기/-ṃ | N./V.m./f. -ā/yo/vo/no. n. -장모음+ni | |
V.(호격) | 어기 n. 는 어기/-ṃ | ||
Ac.(대격) | ~(단모음+)ṃ | Ac. | ~e/yo/vo/no |
Ins.(구격) | ~ena/nā/ā f. āya/iyā/uyā | Ins./Abl | ~hi/bhi |
Abl.(탈격) | ~ā/smā/mhā/to f. āya/iyā/uyā |
|
|
D./G.(여격,소유격) | ~ssa/āya/no f. āya/iyā/uyā | D./G. | +장모음+naṃ |
L.(처소격) | ~e/smiṃ/mhi/ni/i f. āya/iyā/uyā āyaṃ/iyaṃ/uyaṃ | L. | ~su |
앞에서 ‘~ (참고)’라는 제목으로 올린 글과 비교해서
기본적인 격 어미를 빨간색으로 표시를 해 보았습니다.
좀 이해가 가실려나...
| 단수(Sg.) | 복수(Pl.) | ||||
| 남성 | 중성 | 여성 |
| ||
N.(주격) | Si-Yo | 어기 a는 o ar/an 등은 ā | 어기/-ṃ | 어기 a는 o ar/an 등은 ā | N./V.m./f. -ā/yo/vo/no. n. -장모음+ni | |
V.(호격) | ||||||
Ac.(대격) | Aṃ-Yo | ~(단모음+)ṃ | Ac. | ~e/yo/vo/no | ||
Ins.(구격) | Na-Hi | ~ena/nā/ā | āya/iyā/uyā | Ins./Abl | ~hi/bhi | |
Abl.(탈격) | Smā-Hi | ~ā/smā/mhā/to | āya/iyā/uyā |
|
| |
D./G.(여격,소유격) | Sa-Naṃ | ~ssa/āya/no | āya/iyā/uyā | D./G. | +장모음+naṃ | |
L.(처소격) | Smiṃ-Su | ~e/smiṃ/mhi/ni/i
| āya/iyā/uyā āyaṃ/iyaṃ/uyaṃ | L. | ~su |
『초급 빨리어 경전 강독』에서 한번 더 표로 설명을 하고 있는데...
비교해서 보세요.
N.Sg. (주격.단수) | -a 어기는 o | deva -> devo. |
i/u는 어기가 온다 | aggi/bhikkhu. -> aggi/bhikkhu. | |
-ar/an/vant 어기 등은 ā | pitar/rājan/bhagavant -> pitā/rājā/bhagavā | |
중성(n.)의 -a 어기는 aṃ | rūpa -> rūpaṃ | |
나머지는 어기 또는 -ṃ이다. | akkhi/akkhiṃ/dāru/dāruṃ. | |
Ac.Sg. (목적격.단수) | 단모음+ṃ |
|
Ins.Sg. (구격.단수) | -a어기는 ena | devena. |
-i/ī/u/ū 어기는 nā | agginā/bhikkhunā | |
다어간 어기명사에는 ā가 첨가된다. | bhagavatā/gacchatā. | |
Abl.Sg. (탈격.단수) | smā = mhā (음의 도치) | devasmā/devamhā. |
이중자음 앞에서 장모음은 단모음으로 변한다. | senānī > senānismā / abhibhū > abhibhusmā. | |
D./G. (여격/소유격) | -i/u 어기에 ssa외에 no가 나타난다. | aggino/bhikkhuno. |
L.Sg (처소격.단수) | 남성 -a어기는 e | deve |
smiṁ = mhi (음의 도치와 ṃ탈락) smiṁ/mhi 앞에서는 장모음은 단모음으로 변한다 | senānismiṇ/abhibhusmiṃ | |
ni는 -i/u 어기에 첨가 | aggini/bhikkhuni | |
i는 다어간 어기 명사에 첨가 | bhagavati/gacchati | |
f. (여성) | Ins./D./Abl./G./L.Sg.가 동일하다. -ā어기는 āya, i/ī 어기는 iyā, |
|
u/ū 어기는 uyā이다. | kaññāya/jātiyā/itthiyā/dhenuyā/vadhuyā. | |
-āyaṃ/iyaṃ/uyaṃ형태가 있다. | kaññāyaṃ/jātiyaṃ/itthiyaṃ/dhenuyaṃ/vadhuyaṃ | |
N.V.Ac.Pl. (주격.호격. 목적격.복수) | -a어기는 ā(주격)/e(목적격) | devā/deve |
-i어기는 -ī/yo/no | aggī/aggiyo/aggayo/aggino. | |
-u어기는 -ū/vo | bhikkhū/bhikkhavo. | |
-i/ī 어기는 ī |
| |
-u/ū 어기는 ū도 가능하다. |
| |
n.은 장모음+ni 으로 된다. | rūpāni/akkhīni/dārūni/kammāni. | |
Pl. | 어미 -hi/bhi/naṃ/su 앞에서 장모음 외에 단모음이 올 수 있다. | aggihi/aggīhi/agginaṃ/aggīnaṃ/aggisu/aggīsu |
-a어기는 -hi/bhi/su 앞에서 e가 된다. | devehi/devebhi/devesu. |
다어간 명사 : 여러 어간을 가진 명사
아울러 다른 문법서에서 정리한 표를 올려봅니다.
영어와 빨리어를 사용하고, 뜻을 나름 붙여 보았습니다.
남성 | VIBHATTI (부사격조사,격) | KĀRAKA (행위자) |
| EKA (단수) | BAHU (복수) | EXAMPLE Purisa : 남자 |
Nom nominative 주격 (주어) | Pathamā
| Kattu 행위자, 주어 | Paccataṁ 원인, 야기함 | Si (o) 이다.있다 | Yo (ā) 누구,들 | Puriso - purisā ~이/가/은/는 - 들+이/가/은/는 |
Acc accusative 대격 (직목) | Dutiyā
| Kamma 행위, 일 | Upayoga 연관,업무,적용 | Aṁ
| Yo (e)
| Purisaṁ - purise ~을/를 - 들+을/를 |
Inst. instrumental 조격(助格)구격(具格) | Tatiyā
| Karaṇa
| Karaṇaṁ 이유, 원인, 수단 | Nā
| Hi 이유,사실 | Purisena - purisehi ~으로 - 들+로 |
Dat. dative 여격(與格): (간목) | Catutthī
| Sampadāna 넘겨주다, 전하다 | Sampadāniyaṁ ~(로부터)주어지는. | Sa 그의 | Naṁ ~대신의 | Purisassa - purisānaṁ ~에게, - 들+에게 |
Abl. ablative. (탈격) | Pañcamī
| Apādana 분리, 구분 | Nissakaṁ 이격(离格) going out from | Smā
| Hi
| Purisā/ Purismā/ - purisebhi Purismhā/ Purisehi/ ~로부터,때문에 – 들+로부터/때문에 |
Gen. genitive 소유격의,속격(屬格) | Chaṭṭhī
| Sāmī 주인, 소유자 | Sāmivacanaṁ 소유격,속격(屬格) | Sa 본인의 | Naṁ ~의 | Purisassa - purisānaṁ ~의 - 들+의 |
Loc. locative (처소,위치) | Sattamī
| Okāsa 방, 공간 | Bhūma 장소 | Smiṁ
| Su
| Purise/ Purissmiṁ/ - purisesu Purismhi/ ~에 - 들+에 |
Voc. vocative | (Pathamā)
|
| Ālapana 호격, 부르는 | Si
| Yo
| Bho purisa/ Bho purisā/ - Bhavanto purisā ~이여 - 들+이여 |
'Pāli어 공부 > 「초급빨리어경전강독」- 백도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성명사 주격' 간단한 문장 번역 (0) | 2015.11.03 |
---|---|
부사격조사와 중성명사 Mano - manogaṇa (참고) (0) | 2015.09.05 |
부사격조사와 여성명사 (참고) (0) | 2015.08.09 |
부사격조사와 중성명사 (참고) (0) | 2015.07.02 |
부사격조사와 남성명사 (참고) (0) | 2015.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