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li Canon E-Dictionary Version 1.94 (PCED) 사용법 - 삼장 중심
4년여의 사용으로 익힌 방법입니다.
아는 만큼 알려드립니다.
잘못된 사용법을 알려 드릴 수 있으니 먼저 양해를 구합니다.
또한, 이 글은 사용하다 알게된 내용을 틈틈이 올릴 예정이므로, 계속 갱신됩니다.
혹 알고 있는 사용 팁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삼장은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프로그램이 어렵다기 보다 빨리어를 읽을 줄 알아야 훨씬 활용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아는데 까지만 설명 드립니다. 우선 이 빨리어 사전과 삼장을 잘 이용하시려면 삼장 구성이 어떻게 되어있는지.. 잘 아시면 좋습니다. 물론, 빨리어도 눈치로라도 어떻게 쓰이는지 아시는게 활용도를 높인다는 점을 이해하셔야 합니다. |
1. 프로그램 시작 / 종료
▸ 먼저 pced.exe 파일을 클릭하면 다음 처럼 기본적으로 2가지 창이 나타납니다.
『빨리삼장경전목록』 창과 『사전검색』창입니다
※ 메뉴툴바에서 삼장을 클릭하거나 사전검색창에서 빨리삼장을 클릭하면 삼장 창이 열립니다. (빨간 동그라미)
2. 메뉴
메뉴는 간단합니다.
빨리어로 된 목록으로 찾을 것인가? 중국어로 된 목록으로 찾을 것인가? 를 선택합니다.
수색 단추는 빨리삼장전문구색 창을 띄워줍니다. 거기서 한 단어나 문장으로 해당 단어나 문장이 포함된 경전을 찾을 수 있습니다.
3. 경전 찾기
1) 경전목록을 이용한 경전 찾기
아비담마타상가하를 경전목록에서 찾아봅시다.
먼저 해당 경전이 속한 위치를 알아야 겠죠?! 그 다음에 해당 경전을 클릭하면
해당 경전을 보여주는 새로운 창이 나타납니다.
※ 중문목록을 선택해도 같은 창이 나타납니다.
※ 경전은 클릭할 때마다 같은 창을 몇 번이고 띄울 수 있습니다.
이 현상이 좋을 수도 있고 나쁠 수도 있고.. 편리와 불편은 사용 기술에 달렸습니다.
2) 단어나 문장을 이용한 경전 찾기
수색 단추를 클릭해서 『Pail 삼장 전문 수색』창을 띄웁니다.
※ 1.9.2 버전에선 입력란이 하나 였지만 1.9.4 버전은 2개나 되네요...
두번째 입력란에 중국어를 구글 번역기를 돌려 대략 이해하면
在此可用英文字母 输入词的前部分,按Enter键列出经典词汇中前100符合词 영문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영문자로 단어 첫 부분을 입력하고 Enter 키를 누릅니다. 그러면, 경전에 해당 영문자를 첫글자로 한 합성어 목록이 나열됩니다. 캬~~~~ 환상이네... 1.9.2 버전에서 어렵게 찾던 문장들이 이렇게나 쉽게 검색가능하게 될 줄이야... |
▸ 먼저 첫번째 입력란만 이용한다면.. (1.9.2 버전과 동일)
아주 찾기 쉬운 예 하나 들어보면,
"Cetanāhaṃ kammaṃ vadāmi 의도가 업이라고 나는 말한다 "
라는 말이 삼장 어디에 있는지 찾아볼까요?
초보자라면, cetana 와 kamma 는 알고 있다고 합시다.
근데, 장음 ā가 있는지 없는지,.. 잘 모르겠죠.. 당연하죠... ㅜㅜ 이러면 못찾습니다.
게다가 위 예처럼 cetana 뒤에 aham이 붙어 있으면... 당연히 또 못찾습니다.
또 ṁ (위에점있는 m) ṃ (아래점있는 m)을 확실하게 구분하기 때문에 또 못찾습니다.
1.9,2 버전에선 정확하게 입력해야만 찾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럴 땐 비슷한 단어 또는 문장을 이용해 인터넷을 열심히 뒤져야만 합니다.
그 덕택에 좋은 사이트를 많이 발견하는 이점도 있었습니다만... ^^
※ 검색 결과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기억하는 문장이나 단어가 적거나 띄엄띄엄할수록 이건가? 저건가? 골라내기 쉽지 않겠죠?
▸ 이번엔 두번째 입력란을 이용한다면.. (1.9.4 버전)
캬~~~!! 이 글을 쓰면서 사용해 보았는데 굉장히 마음에 듭니다. ㅋ
일단 citta로 입력했을 때와 cittam 으로 입력했을 때 나열되는 단어를 비교해봅시다.
※ 장음 표시를 무시하고 영어 알파벳으로만 타이핑 했을 때 한 글자를 더 입력하고 Enter 키를 치면
더 정확한 단어를 나열해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선택하고 Enter 합니다.
다음 kamma와 kammam을 찾아 볼 까요?
선택하고 Enter 합니다.
다음 vada와 vadam을 찾아 볼까요?
선택하고 Enter 합니다.
그 다음에 옆에 있는 수색 단추를 누르면 단어가 속한 경전을 찾아 보여 줍니다.
(에고 ㅜㅜ... 잘못 입력해서 검색 했는데... 얻어 걸렸네요.. cetanā로 했어야 했어요.. ㅋㅋ)
※ 여기서 보시면 아시겠지만, 문장 속 단어 순서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문장을 이루는 정확한 단어가 중요합니다.
※ 이 수색창은 메뉴툴바에서 '수색'을 클릭해도 나타납니다.
※ 나머지 옆에 있는 단추들은 써본 적이 없어서 잘 모릅니다.
다음에 써보고 알게 되면 여기에 이어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경전을 클릭하면 다음 그림처럼 경전 창이 열립니다.
3. 경전 창 이용하기
가장 자신 없는 부분입니다. 빨리어가 약하다 보니 이용하고 싶어도 잘 사용을 안하게 되더군요...
눈치껏 사용하긴 합니다만,,, 영....
그래서, 사용이 매우 서툰 툴이기도 합니다.
1) 메뉴
일단 창 하나를 볼까요?
첫줄 메뉴를 펼쳐보면... (한번에 볼 수 있게 편집을 했습니다.)
느낌옵니까? 앙굿따라니까야 -> ??? -> ??? -> ??? 에 수록된 경전임을 눈치로 알 수 있습니다.
즉, 찾는 경전의 위치를 알면 바로 찾아서 들어가면 되겠죠?!!
다음 두번째 줄 메뉴를 봅시다.
빨간 동그라미 표시에 주목하세요.
첫번째 : Cetanāhaṃ kammaṃ vadāmi 는 수색창에서 찾았던 단어 또는 문장입니다.
두번째 : 이 단어 또는 문장이 이 경전에서 1개 있다는 뜻입니다.
빨리어를 안다면 첫번째항목에 찾길 원하는 단어 (예 cittaṃ) 을 직접입력해서 찾을 수 있겠죠?
|< < > >| 이 표시는 맨 앞, 앞으로, 뒤로, 맨 뒤를 의미하는 검색 단추입니다.
kammaṃ을 한번 찾아볼까요?
파란색으로 kammaṃ을 표시해서 보여줍니다. 뒤에는 13개 찾았다고 알려줍니다.
근데...
문장으로 찾을 수는 없네요... 약간의 버그인듯한테..
수색창에서 찾아서 들어올 땐 그림에 보듯이 문장도 가능한듯 보이는데
막상 문장을 직접 입력해서 찾으면 못찾기 때문입니다.
<찾는 방법 2>
새롭게 알게 된 방법입니다. 따끈따끈한 방법입니다. ㅋ
Ctrl + F 하시면 '찾기' 창이 뜹니다. ( F: Find 찾다의 영어 약자입니다 )
안타깝게도 사전창에서는 사용할 수 없었습니다.. 오직 삼장창에서만 사용가능합니다. ㅜㅜ
다른 방법이 있으려나..
쓰다보면 알게 되겠죠?!!..
자 사용법을 봅시다.
▶단어 단위로 : pari****, Pari*****. ***pari***... 이런 단어는 찾지 않습니다. 오직
pari. Pari. 로 마침표로 끝나는 단어를 의미합니다.
▶대/소문자 구분 : Pari****, Pari*****. ***Pari***... 이런 단어맞 찾습니다
▶일치하는 모든 항복 강조 표시
<창 활용팁>
오른쪽 파우스 클릭시 나타나는 메뉴에 대해 설명드립니다.
▶ selectAll : Ctrl + A 와 같은 동작을 합니다. 전체 원본 글자를 선택합니다.
▶ Copy : Ctrl + C 와 같은 동작을 합니다. 글자를 복사합니다.
▶ HighLight Selected-text : 선택한 텍스트에 파란색 하이라트를 칠합니다. 형광펜 효과죠..
사용이 조금 불편할 수도 있겠지만 기능이란 잘 활용하면 아주 유용합니다.
▶ Cancel HighLight Selected-text : 선택한 텍스트의 파란색 하이라트를 지웁니다.
하이라이트 효과를 없애기 위해 선택해야 합니다.
귀찮은 면이 있는 부분입니다.
▶ Cancel All blue-HighLight : 하이라이트된 모든 텍스트에서 하이라트를 지웁니다.
▶ Look up Selected-text : 선택한 텍스트를 창 내에서 찾습니다.
** 먼저 텍스트를 선택해서, 선택된 텍스트 위에서 오른쪽 마우스 메뉴를 부릅니다.
Tattha 를 372개 찾아서 하이라이트 했습니다. 하이라이트 색깔은 창내에 사용한 색깔들 수에 따라 다양하게 바뀝니다.
▶ Search Selected-text in Pali Canon : 선택한 텍스트를 빨리 삼장검색창에서 검색할 수 있도록 보여줍니다. ** 먼저 텍스트를 선택해서, 선택된 텍스트 위에서 오른쪽 마우스 메뉴를 부릅니다.
'PTS PAGE' 메뉴
메뉴를 펼쳐보면 눈치로 이해가능하십니까? PTS 본, 미얀마 본, 대만 본, ???, ????, 그런 뜻인듯합니다. 자신없이 이야기하는 이유는.... 제가 전문가가 아니다보니 이것들을의 차이를 설명할 수 없기 때문이지요.. ^^;; 그냥 PTS 본에 고정해서 씁니다. 창 밑에 보면 PAGE: VRI 2.119 Myanmar 2.363 PTS 3.415 Thai 3.465 라고 쓰여있죠... 추측컨데.. 예를 들어 삼장창이 위숟디막가를 열어놓은 것이라면 VRI 2권 119페이지 Myanmar 2권 363페이지, PTS 3권 415페이지 Thai 3권 465권 의미로 이해됩니다. |
1> 메뉴 "PTS PAGE or ....." 목록과
창 아래" PAGE VRI 1.127 Myanmar 1.127" 에서 목록이 일치해야 동작합니다.
예를 들어
메뉴 "PTS PAGE =/= 창 아래" PAGE VRI 1.127 Myanmar 1.127" 이기 때문에 동작 불가.
"VRI PAGE =/= 창 아래" PAGE VRI 1.127 Myanmar 1.127" 이기 때문에 동작 가능.
"Myanmar PAGE =/= 창 아래" PAGE VRI 1.127 Myanmar 1.127" 이기 때문에 동작 가능.
원본 '권 수'와 '페이지 수'가 맞지 않습니다.
원본 '권 수'와 '페이지 수'가 잘 일치 하고 있습니다.
이 상태에서 옆 단어 검색 창이 잘 동작합니다.
쓰다보니 단축키도 하나씩 발견 되네요.. ^^
Ctrl + A : 모두선택
Ctrl + C : 선택된 범위 복사.
Ctrl + F : 창 내에서 찾기
Ctrl + L : 파일/인터넷 열기.
Ctrl + O : 파일/ 인터넷 열기.
Shift Space : Page up 기능
Ctrl + Space : Page down 기능
Space : Page down 기능
나머지 메뉴
역시 모릅니다. 눈치껏 주석서, 복주석서 뭐 그런듯한데.... 쩝..
메뉴 설명은 여기까지.
'Pāli어 공부 > Pali어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이트소개] Chaṭṭha saṃgāyanā tipiṭaka (육차 결집 삼장) (0) | 2021.01.02 |
---|---|
Pali Canon E-Dictionary Version 1.94 (PCED) 사용법 - 사전 중심 (0) | 2015.08.02 |
[스크랩] 빠-리어 소개 (Introduction to Pali) (0) | 2015.07.30 |
[스크랩] 누구나 다운 받을 수 있는 빠알리 경전과 전자사전, Pali Canon E-Dictionary Version 1.94 (PCED) (0) | 2015.07.28 |
[스크랩] 빨리어 학습용 책과 사전류 (0) | 2015.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