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빠-리어 소개 (Introduction to Pali) >>
---제 3쇄---
A. K. 와더, 학사, 박사.
토론토 대학 동아시아 학부 교수.
yogād rūḍhir balīyasī
---Prabhākara
빠-리성전협회 (The Pali Text Society)
옥스포드 (Oxford)
1991
To
I. B. Horner
dhammakathikā vinayadharā mahāpaññā
who illustrates, organizes and encourages the study of Pali
dhīrāya mahāpañña khippabhiññāya dhammakathikāya
mettāvihāriyā vinayadharāya bahussutāya muditāka
anukampikāya bhagavatiyā tassā sāvako ahaṃ asmi
<< 머 리 말 >>
이 책은 가장 직접적인 방법으로 학생들에게 빠-리 성전의 언어를 소개하기 위하여 쓰여졌다. 빠-리어 공부를 위한 현존하는 입문서들과 독본들은 주석서들과 다른 중세 저작물들에 쓰여졌던, 그리고 실로 오늘날에도 쓰이고 있는 후기 언어를 다루고 있다. 왜냐하면 매우 어휘력이 풍부하고 유연성이 있는 이 언어는 현재까지 여전히 쓰이고 있기 때문이다. 학교에서 빠-리어를 가르치고 있는 스리랑카나 그외 다른 나라들에서는 스님들이 여전히 사용하고 있는 후기 빠-리어를 먼저 가르치기 시작한다. 그래서 고대 경전에 쓰였던 빠-리어는 상급 학생들에게만 가르쳤다.
--- 목 차 ---
머리말 ---------------------------------------------------------------- vii
빠-리어 소개 --- 문자. 문장과 문장 분석: 단어, 어간, 어근, 접미사,
어형 변화, 4 품사, 성, 수, 격, 인칭.--------------------------
제 1과 --- 제 1류활용 동사, 모음 전환, 현재시제, a로 끝나는 남성명사들,
주격, 어순. -------------------------------------------------
제 2과 --- 주격 복수, 불규칙 어간을 가진 제 1류활용 동사들, 목적격,
자동사와 타동사. --------------------------------------------
제 3과 --- bhagavant, brahman, rājan의 주격과 목적격. 제 7류활용 동사. --------
제 4과 --- 과거 시제 (Aorist), 동사와 동작주 (agent)의 일치. ----------------
제 5과 --- 대명사: 인칭대명사와 지시대명사, as 동사, 부정,
vac의 과거 (Aorist), 호격. ------------------------------------
제 6과 --- 명령법, 의문사 (ti), 제 6류활용 동사. -----------------------------
제 7과 --- 과거 분사, a로 끝나는 중성명사, (기)구격, 수동문. ------------------
제 8과 --- (기)구격의 다양한 용법, 현재분사, 대명사 bhavant, 동명사. -----------
제 9과 --- 수동 활용, ā로 끝나는 명사. ------------------------------------
제 10과 -- 미래 시제, 소유격. --------------------------------------------
제 11과 -- 형용사, 제 3류활용 동사, 접미사 na가 붙는 과거분사,
(d)dis와 gam의 과거시제. -------------------------------------
제 12과 -- 여격, (s)su의 과거시제, 관계대명사, 관계사 절, 관계 불변화사 (relative
indeclinables), 의문대명사, 대명사적 형용사 (Pronominal adjectives). ---
제 13과 -- 복합어, 의주석 [依主釋: Tappurisa-Samāsa(compounds)], 사역 활용. ----
제 14과 -- 부정대명사, 원망 시제(Optative tense), 탈격,
의주석에 의존적으로 붙는 단어들, -------------------------------
제 15과 -- 제 5류활용 동사, 상위석 (相違釋: Dvanda-Samāsa),
명사에 붙는 부정접두사 및 그외 다른 접두사들. --------------------
제 16과 -- 처소격, 미래 능동분사, 지업석 (持業釋: Kammadhāraya-Samāsa), 생략. --
제 17과 -- a로 끝나는 남성과 중성 명사의 곡용, ā로 끝나는 여성 명사의 곡용,
부사용 대격 (Adverbial accusative), 수사: eka, dvi, pañca, sataṃ,
sahassaṃ, 접속 불변화사. --------------------------------------
제 18과 -- i와 in으로 끝나는 남성 명사와 중성 명사의 곡용, 제 2류활용 동사,
비교, 서수사 (Odinal numerals). --------------------------------
제 19과 -- u로 끝나는 남성 명사와 중성 명사의 곡용, 부정사, 유재석 I (有財釋:
Bahubbīhi-Samāsa), 행위 명사 (Action nouns). -------------------
제 20과 -- i와 ī로 끝나는 여성 명사의 곡용, 수사 catu(r),
자음으로 끝나는 명사의 곡용: bhagavant, ant로 끝나는 형용사들,
rājan, addhan, muddhan, puman, as로 끝나는 명사들, ū로 끝나는
남성 명사들, 유재석 II, 어근으로부터 직접 만들어진 3인칭 수동 과거,
동사와 결합된 명사와 형용사들 (and suffix ī ind.). -----------------
제 21과 -- u와 ū로 끝나는 여성 명사의 곡용, ant로 끝나는 현재 분사의 곡용,
대명사 bhavant의 곡용, ah의 완료 시제, 반복 (āmeṇḍita). -----------
제 22과 -- 명사와 대명사로 쓰이는 attan의 곡용, brahman, san, yuvan,
kamman의 곡용, 대명사 attan, 유재석 III (부정 접미사 포함). -------
제 23과 -- ar로 끝나는 명사의 곡용, 행위자 명사 (Agent noun),
유재석 IV, 연성 법칙 (Junction). ----------------------------------
제 24과 -- 대명사 amu, 유재석 V (-kāmo), i 없는 미래 등등, 조동사. ----------
제 25과 -- 파생어, 1차 파생어, 2차 파생어, 추상명사, 다야한 2차 파생명사들
(형용사 포함), 연성 자음 (Junction consonants), 인근석 (隣近釋:
Avyayībhāva-Samāsa). --------------------------------------
제 26과 -- 수사 ti 등등 (잡다한 수사 표현 포함), 대수석 (帶數釋: Digu-Samāsa),
과거 능동분사. ---------------------------------------------
제 27과 -- Text, 문장, 절, 관계사 절, 복문의 예문들, 절을 연결하는 순서.
--------
제 28과 -- 반조(返照; Middle) 활용, 명사(형용사)에서 파생된 활용, 제 4류활용 동사. ---
제 29과 -- 강의(强意) 활용(Intensive conjugation), 조건 시제, labh의 과거시제, go와
sakhā의 곡용. ------------------------------------------------
제 30과 -- 소망 동사의 활용(Desiderative Conjugation), ‘어근’ 과거시제,
운문 (시류에 쓰인 고어체 포함), 운율. -----------------------------
*** 동사의 주요한 부분들. ----
*** 참고문헌 ----
*** 빠-리:영어 어휘. ----
*** 영어:빠-리 어휘. ----
*** 약어표. ----
*** 문법 색인. ---
*** 부록 I. ----
*** 부록 II. ---
<< 머 리 말 >>
(1). 알파벳
Pali (pāḷi)어는 고대 인도의 브라흐미(brāhmī) 문자에서 파생된 많은 문자들에 그리고 이 책에 쓰여진 (가끔 약간의 변화를 가진 채) 로마자화된 문자에 쓰인다. 그 인도 문자는 언어에 대한 대략적인 음소 분석에 기초한 음성학적인 문자였다. 그래서 한 문자(akkhara) 마다 각기 특별히 구별되는 음가[vaṇṇa]가 할당된다.1) 이와같이 파생된 문자들은 그런 특성들을 보유하고 있고 또한 로마 문자가 채택되고 확대되어서 한 로마 문자가 각 인도 문자에 배당되어 있다 (두 글자가 한 음을 나타내도록 쓰여진 기음 kh, ch, 등등을 표식 문자로 생각함). 인도의 고대 문법학자들은 문자들을 분류했다. 그러기 보다는 오히려 아래의 도표에서 보여지듯이 (p.2) 문자들이 나타내는 소리들을 분류했다느게 낫겠다.
발음은 아래의 것들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영어의 발음과 비슷하다.
1) 기음(h)을 가진 자음들 [대기음(帶氣音)]은, 영어의 자음들을 매우 강조적으로 발음했을 때 처럼(예; “tush !” = th-, “pish !” = ph- 등등), 가슴으로부터 강한 호흡 진동이 동반된다.
2) 무기음을 가진 자음들은 어떤 영어의 자음들에 있어서 보다도 훨씬 약한 호흡 진동을 동반한다.
(2) 문장론
모든 빠-리 문장이 동사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단순히 어떤 것이 무엇이다 (통칭 또는 속성, 술어 등으로서)는 것을 단정하는 경우 두 명사가 (둘 가운데 하나는 보통 형용사이거나 대명사) 그저 나란히 놓일 수 있다. 보통 (이 경우) 주어가 먼저 온다. 영어로 번역할 때는 동사 “to be”가 반드시 사용되어야 한다. 예: eso samaṇo, this (is) “the philosopher” (eso는 대명사로써 남성 단수 주격이며, he 또는 this를 의미한다. Philosopher를 의미하는 samaṇo는 loko처럼 명사이다). 이러한 형태의 문장은 특히 철학적인 설법에 많이 쓰인다. 예: idaṃ dukkhaṃ, “this is unhappiness” (idaṃ은 대명사로써 중성 단수 주격, it 또는 this를 의미한다. Unhappiness를 의미하는 dukkhaṃ은 a로 끋나는 중성명사 단수 주격이다).
*** 제 1과 ***
(1) 제 1류활용 동사
동사 bhū의 현제 시제 (직설법 능동)의 활용 즉 제 1류활용 (bhuvādi gaṇa)은 다음과 같다.
단수(Singular) 복수(Plural)
3인칭 (paṭhamapurisa):2) bhavati “he is” bhavanti
he, it, she, they
2인칭 (majjhimapurisa): bhvasi bhavatha
you
1인칭 (uttamapurisa): bhavāmi bhavāma
I, we
(고대 인도의 문법체계에서 인칭의 순서는 유럽과 반대다. 3인칭이 가장 자주 쓰이고 그래서 이 3인칭의 형태가 대부분의 사전에 나오기 때문에 여기서는 인도의 전통을 따른다. 그러나 인칭표기는 유럽식을 따랐다. 그리고 인도 전통에서는 학생들이 한 인칭 한 인칭씩, 명사의 경우는 한 격 한 격씩, 배우지 단수는 단수대로 복수는 복수대로 배우는 행태를 따르지 않는다느 것도 주목할 가치가 있다. 그래서 bhavati bhavanti, bhavasi bhavatha, bhavāmi bhavāma 처럼 가로로 읽는다. 이러한 방식을 추천하는 바이다.)
이 단어의 어근은 bhū이고 의미는 “이다”, “있다”, “존재하다”이다. 어근은 과거분사 bhūta (been)에서처럼 어근에서 유래된 다른 형태들 속에서 더 분명하게 나타난다. 제 1류활용동사의 현재시제 어간의 변화는 어떤 한계 내에서 어근의 모음이 조음표(調音表; articulation, p. 2)에 나오는 가장 가까이에 있는 복모음으로 변해서 강화되는 것이다 (다음 장의 “모음 전환”을 보라). 어근의 모음이 a, ā, e, o인 곳에서는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어근의 모음 다음에 이중자음이 오면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어근의 장모음 ī 나 ū 다음에 자음이 오면 이 ī 나 ū 는 변하지 않는다. 그래서 이중 자음이 따르지 않는다면 i 는 e 가 되고 u 는 o 가 된다. 그리고 자음이 뒤따르지 않는 경우 ī 는 e 가 되고 ū 는 o 가 된다. 그리고 나서 어간을 만드는 모음 a 가 첨가되는데 이 어간 모음 앞에 e 가 오면 ay 가 되고, o 가 오면 av 가 된다.
제 1류활용 동사의 어근과 3인칭 단수:
어근 3인칭 단수
kam (걷다; to walk) upasaṃkamati: he goes to, he approaches
(“---까지”, “---을 향하여”를 의미하는
접두사 upa와 “함께”를 의미하는 접두사
saṃ이 붙어서)
kam3) pakkamati: he goes away
[“밖 (out)”, “떨어짐 (away)”을 의미하는
접두사 (p)pa4)와 함께]
cu cavati: he falls (from a form of
existence), he dies
jīv jīvati: he lives (is alive, makes a living)
pass passati: he sees
pucch pucchati: he asks
bandh bandhati: he binds
bhās bhāsati: he says, he speaks
bhū bhavati: he is, there exists
vad vadati: he says
sīd (to sit) nisīdati: he sits (down)
(“아래로”를 의미하느 접두사 ni와 함께)
har harati: he takes
har āharati: he brings
[“---로 (to)”를 의미하는 접두사 ā와 함께]
hū hoti: he is, there is
(사실 여기의 hū는 bhū가 약화된 형태이고 hoti의 o는 ava의 축약형이다. 현재시제에는
hoti 가 bhavati 보다 훨씬 일반적이다. bhavati 는 대체로 세련되거나 시적인 말과 같이
단지 특별한 효과를 주기 위하여 쓰인다. 반면에 어떤 시제들에 있어서는 단지 bhū에서
파생된 형태만이 쓰인다.)
(2) 모음 전환
인도의 문법학자들은, 고대 인도 아리안 언어에 있어서, 어형론에서 일반적으로 어근이나 음절이 강화되는 가장 보편적인 절차를 그 문자 앞에 a가 붙어서 강화되는 것으로 설명했다. 거기에는 세 단계[계차]가 있다. 무 또는 약변화 (avuddhika: a가 안붙음), 강변화 (guṇa: a가 앞에 붙음 [전철]), 2차 강변화 (vuddhi = “증가”: 두번째 a가 전철) 단계가 그것이다. 모음의 경우 (이것이 가장 중요하다.) 다음의 예와 같이 세 계차가 있다: bhūto (무변화 단계), bhavati 와 hoti (강변화 단계), bhāveti (2차 강변화 단계). 이와 같은 모음계차 체계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제로변화 강변화 2차 강변화
- 5) a ā
i 나 ī e 6)나 ay e 나 āy
u 나 ū o 7)나 av o 나 āv
(3) 현재 시제
현재 (vattamānā) 시제 (lakāra)는 현재의 (paccupppanna) 시간 (kāla)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며 그 범위는 다소 모호하거나 무한한 시간 (“영원한 진리”와 같이 초 시간적인 언급),
때로는 가까운 미래 [의무감 (imperative sense)을 나타내는 색조를 포함할 수 있다; cf. English “I'm going”] 와 과거 (역사적 현재)를 포함한다. 현재 시제는 또한 행위의 지속기간, 즉 “--까지 (until)”, 정해진 미래의 시간 (현재처럼 가시화된 생생한 미래), 즉 “어느 때 (when)”를 표현하기 위하여 쓰이고 어떤 다른 문장 구조에도 쓰인다.
그 활용 형태 자체만으로 이미 알 수 있기 때문에, 대명사로 반드시 인칭을 나타낼 필요는 없다. (빠-리어에서 대명사는 보통 이전 문장 내의 단어를 지칭하거나 단순히 그 인칭을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그 활용된 형태는 “he” 뿐만아니라 “she” 와 “it” 도 포함한다.
(4) a 로 끝나는 남성 명사들
loka > loko처럼 곡용하는 남성 명사 단수 주격:
upāsako lay disciple, the lay disciple, a lay disciple
kāyo body, substance
khattiyo warrior, noble (member of the military-
aristocratic class)
gāmo village
tathāgato thus-gone (from worldliness to a state of clam:
epithet of the Buddha―usually―or
of others like him)
devo god (usual meaning), king (as term of respectful
address)
putto son
puriso man, person
brāhmaṇo priest, brahman (member of the hereditary priesthood)
maggo road, away
manusso human being, person
amanusso non-human being (i.e. a god, etc.) (negative prefix a)
mahāmatto minister
loko world. people universe
samaṇo ascetic, wanderer, philosopher8)
samayo a time, occasion (any time, time of an event)
(5) 주격
1) (빠-리어에서는 명사가 사용되는 the colligations9)을 표현하기 위하여 8격이 필요하다. a로 끝나는 남성 단수 명사의 곡용에서 모든 격들은 공식적으로 다르다. 한편 몇몇 격은 같은 형태를 취하기도 하지만 the colligations은 반드시 구별되어야 한다.)
2) 주(paṭhamā, paccatta)격은 능동문의 동작주動作主 (또는 주어) 또는 능동 동사의 주어를 나타내기 위하여 쓰인다.10) 예문: brāhmaṇo passati, 그 브라만은 본다 (the priest sees).
3) 주격은 “이다 (be)”를 뜻하는 동사에 의해 동작주(the agent)를 서술하는11) 한정사를 포함한 주격으로 표현된 동작주의 한정사로 쓰인다 (가끔 이러한 형태의 빠-리어에서는 동사가 없다: 머리말의 마지막 단락을 보라). 한정사는 보통 동작주 다음에 온다.12) 동사를 가진 예문: brāhmaṇo mahāmatto hoti, 그 브라만은 장관이다. 동사가 없는 예문: eso samaṇo: 이 분은 사문이다 (this is the philosopher). 다른 동사들과 구별되는 “이다 [계사(繫詞)]”를 의미하는 동사들의 이러한 독특한 형태는 마음 속에 잘 간직해야 한다. 동사가 또한 행위를 표현하는 경우는 “이다”를 의미하는 동사 없이 한정사가 여전히 동작주에 적용될 수 있다: brāhmaṇo mahāmatto passati, 장관인 그 브라만은 본다 [the priest (who is) the minister sees]. 빠-리어에서는 가능한한 동일한 것을 지칭하는 단어들은 성, 수, 격, 인칭이 일치한다 (관계 대명사의 격들은 제외하고).
4) 주격은, 동사와 직접 관계되는 격13), 대신에 행위와 관계가 있는 어떤 불변화사들과 함께 [전통적인 유럽의 용어로는 (불변화사들에) “지배되어”] 사용된다. 예문: yena gāmo ... upasaṃkamati = 그는 마을을 향하여 ... 접근한다 (he approaches ... towards the village). (p. 73 불변화사로 쓰이는 yena를 참조).
** 동작동사와 같이 쓰인 기구격 yena는 where, towards를 의미한다 [방법의 기구격 (by which)와 비교
하라]. 이 yena는 주격을 지배한다 (제 1과 p. 14 참조). yena가 두번 겹쳐 쓰었을 때는 whenever를 의미
한다: yena yena gacchati = whenever he goes. yena는 종종 동사 앞에 오는 상관사 tena와 함께 쓰인다:
yena gamo tena upasaṃkami = he approached the village. ---> (p. 73)
5) 주격은 (단순히 단어 자체를 언급하기 위하여) 단어가 인용되었을 때 사용된다. 예문: kāyo ti = ‘몸’이라고. (이것은 인도어 사전과 문법서가 어간의 형태가가 아니라 주격 형태의 단어를 인용하는 관례와 일치한다.)
(6) 어 순
산문 문장의 정상적인 어순은 1) 동작주, 2) 한정사, 3) 수동자(受動者) (제 2과), 4)
동작[행위] 의 순이다. 그래서 동사는 보통 문장의 맨 끝에 온다. 어순은 문법적인 가치가 별로 없지만 양식상 중요하다 (동작주가 비록 수동자나 동사뒤에 온다하더라도 동작주는 여전히 동작주이다).
연습문제 1 (Exercise 1)
영어로 번역하라. (Translate into English)
1. tathāgato bhāsati: The thus-gone speaks. 2. mahāmatto nisīdati: The minister sits
down
3. upāsako pucchati: The lay disciple asks 4. samaṇo tathāgato hoti: The wanderer
is the thus-gone.
5. puriso evaṃ vadati: The man says so. 6. putto upāsako passati: The son who is
a lay disciple sees.
7. devo amanusso hoti: The god is a non- 8. brāhmaṇo upasaṃkamati: The priest
human being. approaches.
9. evaṃ vadāmi: I say so. 10. manusso jīvati: The person is alive.
11. khattiyo pakkamati: The noble goes away. 12. evaṃ vadanti: They say so.
빠-리어로 번역하라.
1. The man speaks: puriso bhāsati. 2. The minister is a priest: mahāmatto
brāhmaṇo (hoti).
3. The ascetic is “thus-gone”: 4. The noble approaches: khattiyo
samaṇo tathāgato (hoti). upasaṃkamati.
5. The priest goes away: brāhmaṇo 6. The god dies: devo cavati.
pakkamati.
7. The god says so: devo evaṃ vadati. 8. You say so (Sing.): evaṃ vadasi.
9. There is a time: samayo hoti. 10. You say so (Plur.): evaṃ vadatha.
11. The son sits down: putto nisīdati. 12. We say so: evaṃ vadāma.
2. 제 2과
(1) 주격 복수
a로 끝나는 남성 명사의 복수 주격은 어형 현화에 쓰이는 어미 (inflection) ā를 갖는다. 예: gāmā, “마을들”.
(2) 불규칙 어간을 갖는 제 1류활용 동사들
제 1류활용 동사에 속하는 많은 동사들은 불규칙하게 현재 어간을 형성한다. 어떤 것들은 어근에 강변화가 기대되지만 변화가 일어나지 않고, 또 어떤 것들은 어근이 다양한 방식으로 확장되거나 바뀐다. 자음으로 시작되는 접미사가 자음으로 끝나는 어근에 붙으면, 선행하는 자음은 종종 뒤따르는 자음에 동화된다. 예: s + ch > cch. (선행하는 자음이 대기음을 간직할 수 있을 때, 연속하는 자음의 경우, 마지막에 오는 자음이 반모음이 아니면, 마지막 자음은 동화될 수 있다.) 일단 어간이 주어지면 동사의 활용은 완벽하게 규칙적이다.
vis*14) (to enter) [접두사 (p)pa와 함께] pavisati: he enters [강변화
(guṇa)가 안 일어남]
phus* phusati: he touches, he reaches, he attains
is icchati: he wishes, he desires (어근에 ch가
첨가 됨)
gam gacchati: he goes
gam (접두사 ā와 함께) āgacchati: he comes
(ṭ)ṭha tiṭṭhati: he stands, he remains, he stays
(어근이 겹침)
dā dadāti 또는 deti: (어근이 겹침, 축약형, deti
가 많이 쓰임: 2nd. sg. desi, 1st. sg. demi)
hā (to abandon) pajahati: he gives up, he renounces
(어근이 겹침)
(v)vaj (to go) pabbajati:15) he goes forth (he gives up
[접미사 (p)pa와 함께] ordinary life and become a wandering
ascetic or philosopher)
(j)jhe jhāyati: he meditates (어근이 2차 강변화,
e > āy, ---vuddhi 현상
i eti: he goes (어간 모음 a가 어근에
첨가되지 않음)
( 동사 i 는 gam과 동의어이지만 시적이거나 고상한 표현에 쓰이기 때문에 잘 쓰이지 않
는다. 그러나 명령법에서는 gam이 아니라 i 가 쓰인다. 이것은 우리의 모호한 용어 “세련
된”이란 의미를 나타낸다.)
i (접미사 upa와 함께) upeti (고상한 표현???): he goes to (접두사의
모음과 어근의 모음이 결합할 때, 이 두 모음
은 합체가 된다. 이 경우 강변화에서처럼 -a
+ i- 는 e 가 된다.)
(3) 목적격 (Accusative Case)
1) 능동 동사의 행위 (직접 목적어)를 받게 되는 수동자 (kamma; patient)는 목적(dutiyā, upayoga)격으로 표현된다. a로 끝나는 남성 명사의 단수 목적격은 격변화 어미 aṃ을 갖는다.
예문: purisaṃ bandhati: 그는 그 사람을 묶는다. (he binds the man.)”
samaṇaṃ vadati: 그는 사문에게 말한다. (he says to the ascetic.)”
2) 목적격은 운동의 목적지 (방향)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된다.
예문: gāmaṃ pavisati: 그는 마을로 들어간다. (he enters the village.)
3) 목적격은 마찬가지로 통과하는 공간(의 범위16))을 표현할 수 있다.
예문: gāmaṃ paṭipajjati: 그는 그 길을 따라간다. (he follows the road.)
(paṭipajjati는 제 3류활용 동사이다 ― 제 11과)
4) 목적격은 다른 목적격의 속성을 나타낸다.
예문: khattiyo brāhmaṇaṃ mahāmattaṃ passati: 그 전사는 장관인 브라만을 본다.
(the warrior sees the priest who is minister.)
5) 이런 행태의 문장구조는 kālo (“time”)와 paccayo (“condition”, “cause”) 둘다가 목적격으로 쓰인 곳에서 “그는 시간이 원인이라고 선언한다” (he declares (that) time (is) the cause)와 같은 문장들을 포함한다.
양자택일 적으로, “---에 관하여 (with reference to)”라고 번역될 수 있는 옛 주석가들이 “상태를 설명하는 목적격 (accusative of specification of state)” (itthambhūtākkhyānatthe upayogavacanaṃ)이라고 불렀던 예들로 간주될 수도 있다.
예문: Gotamaṃ evaṃ ... saddo = the report (saddo) ... thus (which follows in the next sensence) with reference to Gotama (대명사). 이런 숙어는 일반적이지 않다. “---에 관하여 (with reference to)”는 일반적으로 처소격 (제 16과)이 사용된다.
6) 목적격은 또한 불변화사 (연습문제 6과의 예문)를 가진채 인사나 저주를 하는 사람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7) 어떤 동사들은 두개의 수동자(受動者=목적어???)를 갖는다 (dvikammaka). 이 동사들은 (누구에게 무엇을) 부르다???(call), 말하다(tell), 묻다(ask), (무엇을 어디에) 가져가다(take), 가져오다(bring) 등등의 동사들을 포함한다.
예문: samaṇaṃ atthaṃ pucchāmi: 나는 사문에게 그 의미를 묻는다.
[I asks the philosopher the meaning (attho).]
8) 목적격은 시간의 순수한 지속 가간이나 (어떤 행위나 사건의) 원인이 되는 시점을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라한 용법은 일반적이지 않다. (무엇을 하는데 걸린 시간이나 무엇을 하는 싯점은 기구격이 사용된다 ― 제 8과를 보라)
예문: aḍḍhamāsaṃ āgacchati, (aḍḍhamāsaṃ, m, sg, acc. a fortnight):
그는 2주일 후에 온다. (He comes after a fortnight)
ekaṃ samayaṃ ... : 어느 때 (one time), 한 때 (once) (이야기를 시작할 때)
9) 어떤 형용사들의 중성 단수 목적격 형태는 부사로 사용된다 (제 17과).
예: rassa [짧은 (short) ― a로 끝나는 형용사] > rassaṃ passasāmi
나는 짧게 숨을 내쉰다.
(I breathe out shortly, i.e. expel a
short breath)
[(p)pa-(s)sas]
10) a로 끝나는 남성 명사의 복수 목적격은 곡용 어미는 e이다.
예문: upāsake passati: 그는 재가 신자들을 본다. (He sees the lay disciples)
(4) 자동사와 타동사 (p. 18)
수동자 (=목적어)를 취하는 동사를 타동사 (sakammaka)라 한다. 수동자를 취할 수 없는 동사를 자동사 (akammaka)라 한다. (두개의 수동자를 취할 수 있는 동사를 이중 타동사( ㅇdvikammaka; bitransitive)라 한다. 위의 목적격에서 7번 항을 참조). 한 언어에서 타동사인 동사가 다른 언어에서도 반드시 타동사가 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러한 고유한 성질들은 빠-리어 동사에서 쓰이는 그대로 주목해야 한다. 타동성 (transivity)은 물론 동사의 특성이지 동사 어근의 특성은 아니다. 그래서 동사 bhū와 hū는 자동사이지만, 동사 pari-bhū (despise)와 anu-bhū (experience)는 타동사이다. 한편 pātu(r)-bhū (appear)와 (p)pa-hū는 자동사이다. 어근 bhū와 hū는 자동사도 아니고 타동사도 아니다.
어휘들
<
aggo top
attho prosperity, wealth, welfare, purpose, meaning, subject-matter
dhammo (true, natural) doctrine, natural element, natural substance,
natural phenomenon17)
patto bowl
pamādo negligence, pastime
piṇḍo alms
bhavo existence, good fortune
vādo debate, argument, statement
satto being, creature
saddo noise, report
sugato well-gone [붓다의 명호 (이름)]
연습문제 2
영어로 번역하라. (Translate into English)
1) sugato dhammaṃ bhāsati: The well-gone speaks the doctrine.
2) upāsako pattaṃ āharati: The lay man brings the bowl.
3) manussā bhavaṃ icchanti: Human beings desire existence. (icchati: wish, desire,
long for)
4) gāmaṃ gacchāma: We goes to the village.
5) samaṇo āgacchati: The ascetic is coming (comes).
6) tathāgato sugato hoti: The thus-gone is well-gone.
7) brāhmaṇo purise pucchati: The priest asks the men.
8) devā cavanti. Gods die.
9) vādaṃ vadanti: They speak (state) an argument.
10) puttā pabbajanti: The sons go forth. (become monks)
11) satto tiṭṭhati: The being stays (stands).
12) samaṇe atthaṃ pucchanti: They asks the philosophers the meaning.
빠-리어로 번역하라 (p. 19)
1) They go to the minister: (Te, tā, tāni) mahāmattaṃ gacchanti (upasaṃkamanti).
2) The men see the ministers: purisā mahāmatte passanti.
3) The god, who is nat a human being, approaches the “thus-gone”:
devo amanusso tathāgataṃ upasaṃkamati.
4) You ask the philosopher (about) the doctrine.
(tvaṃ) samaṇaṃ dhammaṃ pucchasi.
(tumhe) samaṇaṃ dhammaṃ pucchatha.
5) We ask the philosopher who is “well-gone”:
mayaṃ (amhe) samaṇaṃ sugataṃ pucchāma.
6) The “thus-gone” gives up negligence: tathāgato pamādaṃ pajahati [(p)pa + hā].
7) The lay disiciples enter the village: upāsakā gāmaṃ pavisanti [(p)pa + vis].
8) The ascetics meditate: samaṇā jhāyanti [(j)jhe].
9) The substance remains: kāyo (dabbo, sāro) tiṭṭhati [(ṭ)ṭhā].
10) He reachs the top: (so) aggaṃ phusati [phus].
11) We ask the philosopher the meaning: mayaṃ (amhe) samaṇaṃ atthaṃ pucchāma.
12) He gives alms: (so) piṇḍaṃ deti (dadāti).
3. 제 3과
1) bhagavant, brahman, rājan의 곡용.
a 이외의 어간을 가진 약간의 남성명사들이 자주 나타난다. 빠-리 문헌에서 붓다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명칭은 “운좋은 사람”, “관대한 사람”, “스승”을 의미하는 bhagavant로 부터 나온 어간들을 갖는다 (bhagavant의 번역은 “축복받은 사람”, “숭고한 사람”등등으로 다양하다). 이 단어의 주격과 목적격의 곡용은 다음과 같다.
singular plural
Nom. bhagavā bhagavanto **
Acc. bhagavantaṃ "
** 주의 ― a로 끝나는 남성 명사와 현재분사의 경우를 제외하고, 복수 목적격은 항상
복수 주격과 동일하다.
지고의 신(神; God)을 의미하는 명사 brahman의 주격과 목적격 단수는 아래와 같이 곡용한다. (brahman은 인도 세습 성직자들의 브라만교에서는 지고의 존재인 창조주를 의미)
singular
Nom. brahmā
Acc. brahmānaṃ
명사 rājan도 단수 주격과 목적격은 위의 brahman과 비슷하게 곡용한다.
(2) 제 7류활용 동사
cur 동사 즉 제 7류활용 동사 (curādi gaṇa)는 모음 e가 붙어서 현재 어간을 형성한다. (빈도가 e 보다 적긴 하지만 접미사 aya가 붙어서 현재 어간을 만들기도 한다. e는 aya의 축약형이다.) 어근의 모음은 강변화를 일으키거나 때로는 2차 강변화(vuddhi)를 일으키기도 한다. 제 1류활용 동사에서와 마찬가지로 i는 e가 되고, u는 o가 되지만 a는 종종 2차 강변화를 일으켜 ā가 된다. 인칭 어미들은 제 1류활용 동사들과 유사하다. 어근 dis (가르치다; teach)는 다음과 같이 활용한다.
단수 복수
3인칭 deseti desenti
2인칭 desesi desetha
1인칭 desemi desema
다음의 것들은 dis와 마찬가지로 비슷하게 활용한다.
kath katheti: he relates, he tells
kam kāmeti: he loves
chaḍḍ chaḍḍheti: he throws away, he abandons
(ñ)ñap [접두사 (p)pa와 함께] paññāpeti: he prepares, he declares (he regulates),
(두 모음 사이에 있을 때 ñ는 항상 겹친
다. 또는 어두의 ñ은 사실 항상 (ñ)ñ의
상태라고 할 수 있다.)
dhar dhāreti: he holds, he wears, he has, he accepts (
두개의 수동자(=목적격)을 가진채: x as y), he remembers
mant manteti: he takes counsel, he discusses
(confidentially)
mant (접두사 ā와 함께) āmanteti: he addresses
vañc vañceti: he deceives
vad (speak) (“--을 향하여”, abhivādeti: he salutes, he greets, he takes leave
“--에 대하여”를 의미하는
접미사 abhi와 함께)
vās (dress) (접두사 ni와 함께) nivāseti: he dresses
vid (feel) (“--을 향하여”, paṭisaṃvedeti: he feels, he experiences
“뒤로”를 의미하는 (something to be something)
접두사 (p)paṭi,
그리고 접두사 saṃ과
함께)
veṭh (twist, wrap) nibbeṭheti: he untwists, he unravels
(“밖으로”를 의미하는 he explains, he rebutes
접두사 ni(r)와 함께)
어휘
a로 끝나는 남성 명사들
kālo time, opportunity, proper name (적당한 시간, 때)
paccayo condition, cause
bhāro burden, load
lāho gain
vipāko result
vihāro life, way of life, dwelling (also used figuratively of a mental state,
e.g., of happiness)
hattho hand
연습문제 3
영어로 번역하라. (Translate into Pali) (p. 22)
1. bhāgavā dhammaṃ deseti: The exalted one teaches the doctrine.
(m. sg. nom.)
2. rājānaṃ vañcesi: You are deceiving (deceive) the king.
3. upāsakaṃ brāhmanaṃ dhāreti: He accepts the priest as a lay disciple.
4. rājā purise āmanteti: The king addresses the men.
(m. sg. nom.)
5. brāhmaṇo brahmānaṃ passati: The priest sees God.
(m. sg. acc.)
6. rājā khattiyo mahāmattaṃ pucchati: The king who is a noble asks the minister.
7. brāhmaṇā rājānaṃ vadanti: The priests say to the king.
8. puriso bhāraṃ chaḍḍeti: The man throws away the load.
9. evaṃ kathenti: So they tell (relate).
10. Kālaṃ paccayaṃ paññāpenti:
They declare time as the condition. (5형식 구문???)
They declare (that) time (is) the condition (cause).
빠-리어로 번역하라. (Translate into Pali) (p. 23)
1. The lay disciples salute the fortunate one:
upāsakā bhagavantaṃ abhivādenti. [abhi (towards, about) + √vad (to speak), 7]
2. He binds the hands: (so) hatthe bandhati. [√bandh, 1]
3. I experience the result:
(ahaṃ) vipākaṃ paṭisaṃvedemi.
[(p)paṭi (towards, back) + saṃ + √vid (to feel), 7]
4. The king addresses the priest. rājā brāhmaṇaṃ āmanteti. [ā +√mant, 7]
5. The priest who is minister speaks thus to the fortunate one.
brāhmaṇo mahāmatto bhagavantaṃ evaṃ18) bhāsati. [√bhās]
6. Existence is the condition: bhavo paccayo (hoti).
7. He remembers the meaning: (So) atthaṃ (anus)sarati/dhāreti. [√dhar, 7]
8. The fortunate one dresses: bhagavā nivāseti. [ni + √vās (to dress)]
9. The gods discuss the matter: devā dabbaṃ/atthaṃ mantenti. [√mant, 7]
** attha: m. prosperity, wealth, purpose, meaning, subject-matter. (p. 19)
10. The fortunate one asks the king: bhagavā rājānaṃ pucchati. [√pucch, 1]
11. He enters the dwelling: (so) vihāraṃ pavisati. [(p)pa + √vis, 1]
12. You rebut the argument: (tvaṃ) vādaṃ nibbeṭhesi. (tumhe) vādaṃ nibbeṭhetha.
[ni(r) (out) + √veṭh (to wrist, wrap]
13. The king takes counsel: rājā manteti. [√mant, 7]
14. He renounces gain: (so) lābhaṃ pahajati. [(p)pa + √(v)vaj (to go)]
4. 제 4과
(1) 과거(Aorist) 시제
아오리스트 (ajjatanī) 시제라고 불리는 일반 과거시제는 일반적으로 어근에 어떤 특별한 활용 어미들을 붙여 바로 만들어진다. (드물게는 현재어간으로부터 만들어진다.) 비록 대부분의 경우, 활용어미가 다르기 때문에 불명료함을 피하긴 하지만 가끔 어근 앞에 a가 붙어서 과거시제를 나타낸다. 이 a를 (동사의 과거형에 붙는) 접두 모음자 (augment)라 한다. 이 a는, 접두사 (upasagga)가 있는 경우, 이 접두사와 어근 사이에 위치한다. 가끔 특별한 아오리스트 어근을 만들기 위하여 어근이 바뀌기도 한다. 사용된 어간에 따라 과거시제에는 세가지 주된 형태가 있고, 또한 활용 어미에도 차이가 난다. (이것들은 단지 일부만이 현재시제의 활용형과 일치한다.)
1) 과거시제의 첫번째 유형은 모음 i로 시작되는 일련의 활용어미들을 어근에 (가끔은 현재 어간에) 덧붙이는 것이다. 대분의 동사는 이 유형에 속한다. 이것은 접미사 upa와 saṃ을 가진 어근 kaṃ으로부터 설명될 수 있다. 이 어근 kaṃ에는 접두 모음자가 쓰이지 않는다.
단수 복수
3인칭 upasaṃkami, he approached upasaṃkamiṃsu19)
2인칭 upasaṃkami20) upasaṃkamittha
1인칭 upasaṃkamiṃ upasaṃkamimhā
(또는 -imha)
주의: 1인칭 복수 과거형 가운데 upasaṃkamimha는 문헌에서 잘 발견되지 않는다.
그리고 필사본의 전통은 a의 음량에 대해 일정하지가 않다.
아래의 동사들은 동일하게 활용한다.
as (be) āsi he was, it was (접두 모음자가 있음에 유의:
(3인칭 복수 = āsuṃ) a + a > ā)
(p)pa-(k)kam pakkāmi he went away, 3rd. pl. aor. pakkamiṃsu (단
수 과거시제의 모든 인칭에서는 어근 모음
의 불규칙한 2차 강변화가 일어간다. 그러나
복수 과거시제는 규칙변화를 한다.)
(j)jhe jhāyi he meditated (현재어간 사용)
pucch pucchi he asked
bandh bandhi he bound
bhās abhāsi he said, he spoke (이 어근은 접두 모음자를
취한다.)
(p)pa-(v)vaj pabbji he went forth
(p)pa-vis pāvisi he entered, he went in (장모음을 만드는 접
두사와 어근 사이에 접두 모음자가 있음에
유의할 것: pa + a > pā)
ni-sīd nisīdi he sat down
2) 과거시제 (아오리스트)의 두번째 유형은 제 7류활용 동사들에 의해 만들어진다. 여기서 과거 어간은 e로 끝나는 현재 어간에 s를 첨가해서 만든다. 단수 활용어미들은 과거시제의 첫번째 유형과 동일하다. 3인칭 복수의 활용어미는 uṃ이다; 다른 복수 인칭 어미들은 (1, 2인칭 복수 과거시제 인칭어미) 쓰이지 않는다 (강어간[강회된 어간]을 가진 첫번째 유형의 아오리스트 시제로 바뀜).
단수 복수
3인칭 desesi, “he taught” desesuṃ
2인칭 desesi, desittha (s가 첨가 안된)
1인칭 desesiṃ desimha (s가 첨가 안됨)
(desesi는 2인칭 단수 현재시제의 형태와 같다. 그래서 문맥을 통해 구별해야 한다.)
비슷하게 활용하는 것들:
kath kathesi he related, he told
dev (to lament) paridevesi he lamented, he grieved
[‘근처에(round)’, ‘주변에
(around)’를 의미하는 접
두사 pari와 함께]
ā-mant (ā는 접두사) āmantesi he addressed
3) 과거시제의 세번째 유형은 대부분 a로 끝나는 어근을 가진 작지만 중요한 동사들의 그룹이 취하는 형태다. 과거시제의 두번째 유형과 같이 세번째 유형은 s가 붙은 어간과 일반적인 단수 활용어미들을 갖는다. 그러나 복수 활용어미들은 모음 a와 함께 시작된다. 만들다
(make), 하다 (do), 일하다??? (work)를 의미하는 어근 kar는 불규칙하게 kā로 바뀐 뒤 이 세번째 유형의 과거시제를 취한다.
단수 복수
3인칭 akāsi, “he made” akaṃsu
2인칭 akāsi akattha
1인칭 akāsiṃ akamhă
다음의 것들도 비슷하게 활용한다.
(ṭ)ṭhā aṭṭhāsi he stood, he remained
dā adāsi he gave
(p)pa-hā pahāsi he renounced
어근 hū는 매우 불규칙한 과거시제 활용을 한다. 단수는 강변화(guṇa)를 일으키고 s를 취한다. 3인칭 복수는 어근의 모음(the root vowel) 대신 e를 사용한다.
단수 복수
3인칭 ahosi, ‘he was’, ‘there was’ ahesuṃ
2인칭 ahosi ahuvattha
1인칭 ahosiṃ ahumha
(-bhosi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위의 활용을 따르는 경우 어근 bhū는 단지 접두사를 가진 과거
시제에만 발견된다.)
과거시제는 역사적 또는 이야기체의 과거 뿐만아니라 특히 (현재) 완료시제를21) 포함한 모든 종류의 과거 행위에 사용된다. 완료시제로 쓰이는 경우: desesiṃ = ‘I have taught’. (시간 관계의 보다 정확한 구분이 필요한 경우, 제 24과에서 보여지듯이, 분사들이 본동사와 함께 쓰인다.) 2인칭과 1인칭 복수 과거시제는 종종 빠-리 문헌에서 발견되지 않는다. 3인칭의 과거는 단수건 복수건 매우 빈번하게 쓰인다.
(2) 동사와 동작주(agent)의 일치
하나의 동사가 둘 또는 그 이상의 동작주를 갖는 경우 동사는 동작주의 합계와 일치한다. 그래서 동사는 복수가 된다. 드물긴하지만 동사가 자신과 가장 가까운 동작주와 일치하거나 집합명사로 된 동작주와 일치해서 단수가 되기도 한다. 여러 인칭들이 함께 있는 경우 2인칭이 3인칭에 우선하고, 1인칭은 2인칭, 3인칭 둘다보다 우선한다.
어휘
불변화사들 (nipāta)
atha then (kho와 결합해서 atha kho가 되면 ‘then’, ‘moreover’, ‘rather’를 의미
한다.)
ettha here
kho indeed (약한 강조의 의미를 갖음)
ca and [항상 연결하는 단어 뒤에 오거나 연결하는 구의 첫 단어 뒤에 온다.
그래서 ‘전접어’???(enclitic;22) 자체의 악센트가 없어서 바로 앞 말의 일부처럼 발음되는 말) 또는 ‘후치사??(後置詞, postpositive23))’라 한다.]
tadā then
nāma by name (이름 다음에 사용된) (때로는 단순히 강조하기 위해 쓰임:
‘indeed’)
bhūtapubbaṃ formely, once upon a time
sace if
a로 끝나는 남성명사들
kumāro boy, prince
purohito high priest,24) (approx.) prime minister (the priest whi is chief adviser
to the king, “instructing”: anu-sās25), him in both
secular matters and religious duties)
māṇavo boy, young priest
rājaputto prince
sahāyo friend
연습문제 4
영어로 번역하라. (Translate into English)
1. upāsakā nisīdimsu: The lay disciples sat down.
2. bhūtapubbaṃ rājā Disampati nāma ahosi: * 주어: rājā; Disampati nāma: adj.절.
* bhūtapubbaṃ: ind. formely, once upon a time;
* nāma: by name (used after the name) (sometimes merely emphatic, “indeed”).
Formely there was a king, Disampati by name.
Formely there was a king called Disampati.
Reṇu nāma kumāro putto ahosi: The boy (prince) named Reṇu was (his) son.
kumāro; 주어: putto; 보어. 왕의 아들
Govindo nāma brāhmaṇo purohito ahosi: 주어: brāhmaṇo; purohito; 보어.
(His) prime minister was a priest named Govinda.
* purohita: m. a king’s religious adviser, high priest,
(approx.) prime minister (the priest who is chief adviser to the king,
“instructing”: anu-sās, him in both secular matters and religious duties)
The brāhmaṇa called Govinda was (his) priest. (Joshi)
Jotipālo nāma māṇavo putto ahosi. * māṇava: m. boy, young priest.
(Whose) son was the young priest named Jotipāla. (A. K. Warder)
The boy(māṇavo) called Jatipāla was (his) son. (J. R. Joshi)
브라만 고빈다의 아들
* Jotipālo nāma: 형용사절; * māṇavo: 주어; * putto: 주격보어; * ahosi: 동사.
Reṇu ca rājaputto Jotipālo ca māṇavo26) sahāyā ahesuṃ:
주어: Reṇu 와 Jotipāla; * sahāyā, m. pl. nom. friend - 주격보어.
Prince Reṇu and the young priest Jotipāla were friends.
Prince Reṇu and the boy Jotipāla were friends. (J. R. Joshi)
atha kho Govindo brāhmaṇo kālam akāsi27): Then the priest Govinda died.
(sub.) (adj.) Then the brāhmaṇa Govinda died.
(akāsi, 2nd., 3rd. sg. aor. of karoti)
* The idiom “made his time” means “he died”.
rājā Disampati paridevesi: The king Disampati lamented. 주어: Disampati.
3. evaṃ tadā āsi: So it was then.
* tadā: ind. then; āsi: 1st, 2nd, 3rd, sg. aor. of √as (atthi).
4. 빠-리어로 번역하라. (Translate into Pali) (p. 27)
1. The priest went away. brāhmaṇa pakkāmi.
* pakkāmi: [(p)pa (out, away) +√kam (to walk)], he went away, pl. pakkamiṃsu
(the singular past tense has irregular lengthening28) of the root vowl in all
three persons, the plural is regular; the present 3rd. sg. form is pakkamati)
2. The fortunate one entered the village. bhagavā gāmaṃ pāvisi.
* pāvisi: [(p)pa-vis], he entered, he went in (note presence of augment between
prefix and root, forming a long vowl: pa + a > pā)
3. The son was called Uttara: 1) putto Uttaro nāma ahosi.
2) Uttaro nāma putto ahosi.
* hū is very irregular in the aorist.
ahosiṃ ahumha, “we were”, “there were”
ahosi ahuvattha
ahosi ahesuṃ
4. The fortunate one addressed Ānanda: * addressed: āmantesi [ā-mant]
* āmantesi coincides in form with the 2nd person singular present and has to
be distinguished by the contest.
bhagavā Ānandaṃ āmantesi.
5. I have taught the doctrine: (ahaṃ) dhammaṃ desesim.
desesiṃ [√dis] desimha, “we taught”
desesi desittha
desesi desimha
* 2nd, 3rd, sg. desesi coincides in form with the 2nd person singular present and
has to be distinguished by the context. The second form of aorist.
6. The nobles approached the prince: khattiyā rājaputtaṃ upasaṃkamiṃsu.
upasaṃkamiṃ [upa-saṃ-√(k)kam] upasaṃkamiṃha
upasaṃkami upasaṃkamittha
upasaṃkami upasaṃkamiṃsu.
* The first form of aorist.
7. I spoke thus: (ahaṃ) evaṃ abhāsiṃ.
* √bhās: abhāsi, he said, he spoke (this root takes the augment),
(the first form of aorist).
8. The prince went forth: rājaputto pabbaji.
* (p)pa-√(v)vaj: pabbaji, “he went forth”, (the first form of aorist).
5. 제 5과
(1) 인칭 대명사와 지시 대명사 (p. 28)
인칭 대명사는 다음과 같이 곡용한다.
1인칭 [어간 ma(d)]29)
단수 복수
주격 ahaṃ, ‘I’ mayaṃ, ‘we’
목적격 maṃ, ‘me’ amhe, ‘us’
2인칭 [어간 ta(d)]
단수 복수
주격 tvaṃ, ‘thou’, ‘you’ tumhe, ‘you’
목적격 taṃ (or tvaṃ), ‘thee’, ‘you’ tumhe, ‘you’
3인칭 [어간 ta(d)]
단수 복수
남성 여성 남성 여성
주격 so, ‘he’ sā, ‘she’ te tā
목적격 taṃ, ‘him’, taṃ, ‘her’ " "
비록 인칭은 동사의 활용어미에 의해서 표현되지만, 1인칭, 2인칭 대명사는 자주 사용되고 주어를 약간 강조하게 된다. 3인칭 대명사는 이러한 방식으로는 훨씬 덜 자주 사용된다. 3인칭 대명사는 또한 세가지 성에 있어서 ‘that’ 나 ‘it’ 를 의미하는 지시사로도 쓰인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앞에 나온 어구를 지시하는 대명사’30)로 알려진 것으로 사용된다. 즉, 이것은 대화체에서 앞서 언급되었던 어떤 사람이나 사물을 언급하는 역할을 한다. (눈앞에) 현존하는 사람이나 사물을 언급하는 “pronouns of presence”가 회화나 다른 직접화법에 쓰이는 것과는 달리, ta(d)는 빈번히 이야기 속에 나오는 어떤 사람이나 사물을 언급할 때 쓰이고 그래서 청중에게 이 사람이나 사물이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pronoun of absence’ 라고 불린다. ta(d)는 이야기체의 문장들을 계속되는 문단이나 더긴 단락과 연결하는 역활을 한다. 3인칭 대명사는 또한 (다른 대명사와 결합하거나 때로는 강조적 1인칭의 의미를 갖는 1인칭 동사와 결합해서) 강조 대명사로 쓰인다. 예를 들면 so ’haṃ ‘나’ (문자 그대로는 ‘저 나 (that I)’와 같은 표현이다. 명사와 결합해서 이것은 다시 강조적으로 쓰이고 그래서 가끔 ‘그 (the)’로 번역될 수 있다. 남성과 여성 지시대명사의 곡용은 위와 같고 중성 지시대명사의 곡용은 다음과 같다.
단수 복수
주격과 목적격** taṃ or tad tāni
** 주의: 빠-리어에서 중성의 단어는 주격과 목적격이 항상 동일한 형태를 취한다.
지시 대명사의 또 다른 유형은 영어의 ‘he’, ‘she’, ‘it’, ‘this’ (또한 목적어가 있을 때 ‘that’)와 대체로 일치하는 현재의 대상이나 사람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것은 직접화법에서 듣는 사람에게 어떤 사람이나 사물을 가리키는 ‘대상 지시적인 (deictic)’ 대명사라고 불러도 좋다. 곡용어미는 모두 동일하게 접두사 e를 가지고 있다.
[어근 eta(d)]
단수 복수
남성 여성 중성 남성 여성 중성
주격 eso esā etaṃ ete etā etāni
(가끔 esa) (etad)
목적격 etaṃ etaṃ etaṃ ete etā etāni
(etad)
또한 ‘대상 지시적인’ 또는 ‘현재의 (present)’, 그리고 he, she, it 또는 this로 번역될 수 있으며, 그래서 eta(d)와 의미를 구별하기 힘든31) 또 다른 지시 대명사는 다음과 같이 곡용한다.
(어간 idaṃ)
단수 복수
남성 여성 중성 남성 여성 중성
주격 ayaṃ ayaṃ idaṃ ime imā imāni
목적격 imaṃ imaṃ idaṃ ime imā imāni
빠-리어에는 정관사가 없기 때문에 지시 대명사는 가끔 영어에서 정관사가 쓰이는 곳에 쓰이고 그래서 가끔 he, that, this 등등 보다도 ‘그 (the)’로 번역되기도 한다. 지시대명사는 자신이 지시하는 명사와 성(性)과 수(數)가 일치해야 한다.
(2) 동사 as (있다, 존재하다) (p. 30)
동사 as (to be)는 어떤 사람이나 사물이 존재한다는 것을 강조적으로 단언한다. (한편 hoti는 강조적이지 않고 “그 장관은 사제다”, 등등과 “어떤 사람이 즐거워하다 (a man is/becomes pleased)” 등등과 같이 일어나거 (happens)나 되는 (becomes) 어떤 것들의 속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쓰인다. 그러나 ‘되다 (become)’, ‘생기다(come into existence)’를 나타내는 일반적이고 보다 강조적인 동사는 uppajjati다: 제 3류활용 동사, 제 10과 참조). 동사 as의 활용은 매우 불규칙하며 현재 시제의 활용은 다음과 같다.
단수 복수
3인칭 atthi santi
2인칭 asi attha
1인칭 asmi 또는 amhi amha (때로는 amhā)
다른 동사들과는 달리 as동사는 ‘There is’ 진술문의 맨 앞에 쓰인다. 이것은 언급되어진 것을 강조적으로 단언하는 의미를 가진다.
(3) 부 정 (negation) (p. 31)
두가지 주된 부정을 나타내는 불변화사 na와 mā가 있다. na는 일반적인 부정어 (not)로써 부정되는 단어나 구의 앞에 오거나 또는 부정문의 맨 앞에 온다.
예문: tvaṃ na passasi: you do not see.
na의 모음 a는 이것 뒤에 오는 단어가 모음으로 시작되면 종종 탈락된다.
예문: n’ atthi: ‘it is not’, ‘it doesn’t exist’.
두번째 부정어 mā는 보통 2인칭 과거시제와 함께 ‘금지’나, ‘부정적인 연결’, ‘바램’을 나타내기 위하여 쓰인다. 그런데 이 과거시제는 이 때 시간적인 관계를 잃어버리고 현재시제나 미래시제가 된다 (가끔 사정이 달랐더라면 접두 모음자가 붙을 동사가 이 문장구조에서는 접두 모음자 없이 나타난다).
예문: mā paridevesi32): don’t grieve
아주 드물긴 하지만 가끔 mā는 3인칭 동사를 가진 문장에서 불변화사 eva 또는 h’ eva33)와 함께 나타난다.
예문: mā h’ eva rājā kālam akāsi: may the king not die.
(mā h’ eva는 ‘don’t’ 또는 단순히 ‘not’를 의미한다.)
3인칭과 함께 쓰인 mā는 공손한 표현에 일정하게 나타난다 (다음과를 보라).
이중부정은 강한 긍정에 해당한다.
예문: mā h’ eva kho kumāro na rajjaṃ kāresi35):
Don’t let the prince not rule (kāresi: aor. 3 sg.) the kingdom (rajjaṃ).
즉, let him rule, he must rule.
* h’ eva: ha (emphatic particle; “ndeed”) + eva (emphatic particle). (p. 31)
* mā h’ eva: mā h’ eva는 ‘don’t’ 또는 단순히 ‘not’를 의미한다. (p. 31中下)
(4) vac의 과거시제 (aorist) (p. 32)
동사 vac (to say)의 과거시제는 매우 불규칙한 활용을 한다.
단수 복수
3인칭 avoca, he said, avocuṃ
2인칭 avoca (avaca) avocuttha (avacuttha)
1인칭 avocaṃ avocumha (-umhā)
(5) 호격 (Vocative Case) (p. 32)
a로 끝나는 남성 명사의 호격, or ‘nominative of address’는 단수의 경우 활용하지 않는 어간을 갖는다: deva, 오! 왕이시여. 복수의 경우는 주격 복수와 동일하다. 호격은 바로 앞말의 일부처럼 발음되도록 쓰인다. 즉, 호격은 문장의 맨 앞에 오지 않는다.
어휘
제 1류활용동사
apa-i apeti he goes from, he goes away (poetic)
불변화사들
tuṇhī silent, silently
tena this way, that way
pi also, too (ca와 마찬가지로 이것은 단어 위에 오거나 이것에 연결되는 구
의 첫 단어 뒤에 온다.)
ha indeed
a로 끝나는 남성명사들
issaro lord, god
nirodho cessation (of unhappiness and of perception, sensation and mental state)
peace of mind, calm
paribbājako wanderer
mahārājā great king, king (nom. sg. as rājan-, but rest follows a declension on
stem -rāja-, e.g.: acc. mahārājaṃ. The nom. pl. may
be written either ∼ā or ∼āno)36)
연습문제 5
영어로 번역하라. (Translate into English) (p. 33)
1) Reṇu rājaputto rājānaṃ Disampatiṃ etad avoca. (avoca: 1st, 2nd, sg. aor.)
Prince Reṇu said this to the king Disampati.
mā kho tvaṃ deva pridevesi.
O king, don’t grieve. (mā가 2인칭 과거시제와 쓰이면 금지, 부정적 연결, 바램을 나타내
고 시제는 과거가 아니라 현재나 미래가 된다. p. 31)
Your Majesty, don’t grive.
atthi deva Jotipālo nāma māṇavo putto ti.
There is, O king, the young priest, (his) son named Jotipāla.
There is, Your Majesty, the young priest, (his) son named Jotipāla.
atha kho rājā Disampati purisaṃ āmantesi.
(atha, then; atha kho, then, more over, rather; p. 26)
Then King Disampati addressed a man.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āmantesi는 2인칭 복
수 현제시제가 아니라 3인칭 단수 과거시제이다.)
2) ahaṃ ime dhamme desesiṃ.
I have taught these doctrines.
3) rājā khattiyo taṃ purisaṃ etad avoca. (avoca, 2nd, 3rd, sg. aor. of vacati)
(etad, n. sg. nom., acc. he, she, it, this, that, p. 30)
The noble king said this to that man.
4) mā samaṇaṃ upasaṃkami. (upasaṃkami, 2nd, 3rd, sg. aor., 그러나 시제 시제는 현
재나 미래, p. 31이나 이 연습문제의 1)번 참조)
Don't approach the philosopher.
5) ahaṃ purohito brāhmaṇo ahosiṃ. (ahosiṃ, 1st, sg. aor. p. 26)
I was the priest who was prime minister.
I was the brāhmaṇa who was a priest. (J. R. Joshi)
I was the priestly brāhmaṇa. (J. R. Joshi)
6) ahaṃ asmi brahmā issaro.37) (asmi, 1st, sg. present of as)
(issaro, m. sg. nom. lord, god, the Creator)
I am God the Lord.
I am Brahmā the Lord. (J. R. Joshi)
7) idaṃ avoca bhagavā.38) (idaṃ, n. sg. nom. acc.)
This the fortunate one said.
8) te rājaputtaṃ avocuṃ (te, m. pl. nom. acc. p. 28)
They said to the prince.
9) mā saddam akattha. (sadda, m. sound, noise, a word; akattha; 2nd, pl. aor. of kar)
(mā가 2인칭 과거시제와 쓰이면 금지, 부정적 연결, 바램을 나타내
고 시제는 과거가 아니라 현재나 미래가 된다. p. 31)
Don’t make a noise.
10) so nirodhaṃ phusati. [so, m. sg. nom. of ta(d), p. 28;
phusati, 3rd, sg. present, to touch, reach, attain]
He attains cessation (of sufferings).
11) samaṇā amha. (amha, 1st, pl, aor. of as, p. 31)
We are philosophers.
12) na taṃ deva vañcemi. (taṃ, 2nd, sg. acc; m. f. 3rd, sg. acc.; n. sg. nom., acc.,
pp. 28-29; vanñceti, to cheat, to deceive)
O King, I am not deceiving you.
13) eso mahāraja bhagavā. [eso, m. sg. nom. of eta(d)]
Great King, this is the fortunate one.
14) mayaṃ bhagavantaṃ upasaṃkamimhā. (mayaṃ, 2nd, pl. nom.;
-imhā or -imha, 1st, pl. aor. p. 24)
We have approached the fortunate one.
15) atthi kāyo. (atthi, 3rd, sg. present of as)
There is the body.
Boy exists. (J. R. Joshi)
16) upeti pi apeti pi. (pi, also, too, and also, but, p. 32)
It goes to (him) and it goes away.
It approaches as well as goes away. (J. R. Joshi)
* pi --- pi: not only A but also B = B as well as A.
17) evaṃ etaṃ brāhmaṇa.
This is so, brāhmaṇa (priest).
This is so, O brāhmaṇa ! (J. R. Joshi)
빠-리어로 번역하라. (Translate into Pali) (p. 34)
1. The wanderer said this to the fortunate one.
paribbājako bhagavantaṃ etaṃ (etad) avoca. (* avoca: 1st, 2nd sg. aor. of vac.)
paribbājako etaṃ (etad) bhagavantaṃ avoca.
* 경전의 용례를 따르면 첫번째 문장이 맞다. 간접목적어 (사람)이 먼저 오고 직접
목적어 (사물)는 뒤에 온다.
2. Those wanderers were silent.
te paribbājakā tuṇhī ahesuṃ.
* hū is very irregular in the aorist.
ahosiṃ ahumha, “we were”, “there were”
ahosi ahuvattha
ahosi ahesuṃ
3. I teach the doctrine. ahaṃ dhammaṃ desemi.
4. I am a priest. (ahaṃ) brāhmaṇo asmi (amhi).
5. This king is a human being, I too is a human being.
ayaṃ rājā manusso, ahaṃ pi manusso.
6. I love her. ahaṃ taṃ kāmemi. [√kam, kāmati; to love, desire]
(ahaṃ) taṃ kāmemi. ?????
7. Don't go in (sing., use two words only). mā pāvisi.
* (p)pa-vis pāvisi he entered, he went in (note the presence
of augment between prefix and root,
forming a long vowl: pa + a > pā)
8. We said to that fortunate one. mayaṃ (amhe) taṃ bhagavantaṃ avocumha.
9. Don't grieve. mā paridevittha. (mā가 2인칭 과거시제와 쓰이면 금지, 부정적 연결, 바
램을 나타내고 시제는 과거가 아니라 현재나 미래가
된다. p. 31)
10. He goes forth. so pabbajati.
11. Then (add kho) Mahāgovinda the priest towards those nobles approached that way.
atha kho Mahāgovindo brāhmaṇo yena te khattiyā tena upasaṃkami.
atha kho Mahāgovindo brāhmaṇo yena so maggo tena te khattiyā upasaṃkami. ??
12. He said this to those nobles. (so) te khattiye etad (etaṃ) avoca.
* te: m. pl. nom. acc. they, them, those ...
13. They ask me the meaning. te (tā, tāni) maṃ (mamaṃ) atthaṃ pucchanti.
14. He said this to us. so amhe (amhākaṃ, no) etad avoca.
15. She said this to me. sā maṃ (mamaṃ) etad avoca.
16. I teach this doctrine. [ahaṃ] etaṃ (imaṃ) dhammaṃ desemi.
17. This is cessation (use idaṃ). ayaṃ nirodho.
(subject must nom.[= ayaṃ], since nirodho is nom.)
18. You are (emphatically) priests, O Vāseṭṭhas.
(word order: pronoun, kho, verb, vocative ...)
tumhe kho attha Vāseṭṭhā brāhmaṇā.
제 6과
(1) 명령법 (Imperative Tense) (p. 34)
1) 명령(pañcamī)법은 어떤 특별한 활용어미를 가진 현재 어간으로부터 만들어진다.
단수 복수
3인칭 bhabatu bhavantu
2인칭 bhava/bhavāhi bhavatha
1인칭 bhavāmi bhavāma
2) 1인칭 단수, 복수, 2인칭 복수는 직설법 현재시제와 일치한다. 2인칭 단수는 보통 활용하지 않지만 가끔 활용어미 hi가 첨가된다. 이 경우 어간의 모음 a는 2차 강변화를 일으킨다.
아래의 동사들과 모든 7류활용 동사는 일정하게 hi 활용어미를 갖는다.
jīv jīvāhi (jīva) live !, make your living ! (hi가 붙는 경우 어간의 모음 a에
2차 강변화가 일어나 ā가 된다.)
i ehi go! you must go!
vad vadehi (vada???) say!, speak! (vadati; vadeti; vajjati; to say, to speak)
(전재성, p. 463)
hū hohi be!
3) hū의 3인칭 단수 명령법은 hotu이다. 때로는 (hū가 아니라) as로부터 나온 3인칭 단수 명령법 atthu가 쓰이기도 한다. 이 atthu는 항상 비인칭적으로 쓰이며 그래서 it may be, may it be, it shall be를 의미하게 된다. (as가 다른 인칭에서는 명령법으로 잘 쓰이지 않는다. 예: attha = you be !)
4) 명령법은 명령, 금지를 나타내지만 또한 초청이나 소망을 나타내기도 한다. 2인칭 명령법의 경우는 보통 명령의 의미를 갖는다. 반면에 언급되고 있는 사람의 직함이나 이름 또는 존칭 대명사와 함께 비슷한 상황에서 쓰여진 3인칭 명령법은 공손한 초대를 나타낸다.
5) 명령법 동사들은 종종 문장 맨 앞에 위치한다.
6) (ṭ)ṭhā의 명령법은 (‘wait’, ‘remain’, ettha tiṭṭha; wait here라는 의미 이외에) ‘let it be’, ‘never mind’, ‘let him not’, ‘don't trouble’ 등의 의미로도 쓰인다.
예문: tiṭṭhatha tumhe. [tiṭṭhatha, 2nd, pl. imper. of tiṭṭhati; to stand, abide, stay,
remain; tumhe, 2nd, pl. nom. acc. of ta(d)]
Don't you bother.
(2) 존칭어 (p. 35)
bhū의 현재분사인 어간 bhavant는, 단지 3인칭 동사와 함께 쓰이는 경우 (호격인 경우는 예외; 제 8과 p. 47을 보라), 공손하거나 존경을 나타내는 말의 대명사로 쓰인다 (tvaṃ은 친근한 말에만 쓰인다).
단 수
주격 bhavaṃ, you, sir, his honour
목적격 bhavantaṃ
(3) 인용문 (Quotation)
1) 불변화사 ti는 인용이 끝났음을 나타내고 직접화법 내의 인용부분의 끝에 위치한다. 이것은 또한 생각이 난 어떤 것을 언급할 때도 쓰인다. 시의 한 줄이건 또는 한 단어이건 간에 (예: 정의를 내리거나 단어 또는 개념을 언급할 때; kāyo ti = ‘body’, kusalan ti39) = the word ‘good’, ‘the good’, ‘the concept of the good’) 인용된 것은 어느 것이나 동일한 방식으로 언급된다.
2) 빠-리어에서 간접화법은 거의 쓰이지 않는다. 그래서 영어에서 “he said (or thought) that so and so” 또는 “when he asked so and so”와 같은 구문 대신에 “so and so ti he said”와 같이 ti를 가진 직접화법을 쓴다.
3) ti 바로 앞에 오는 어떤 단모음은 2차 강변화를 일으킨다. 순수 콧소리 ṃ은 치비음 (齒鼻音; dental nasal) n으로 바뀐다.
예문: evaṃ devā ti. = “(it is) so, O king” (devā의 ā는 ti 때문에 2차 강변화를 일
으킨 것이다.)
n’ eso n’ atthī ti vadāmi. = I don't say ‘this doesn't exist’.
(첫번째 na는 vadāmi를 부정하고, 두번째 na는 atthi를 부정한다. 인용부분은
첫번째 na 다음의 eso에서부터 시작한다.)
4) 이 불변화사 ti는 좀더 긴 형태 iti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것은 강조적이고 그래서 일반적으로 ‘this’, ‘that’, ‘thus’로 번역될 수 있다. 이것은 원 단어의 끝을 명시하는 대신 멀리 있는 진술 (또는 철학적인 견해나 개념)을 나타내기도 한다. ti와 iti는 함께 강조 용법으로 쓰일 수 있다.
(4) 제 6류활용 동사 (p. 36)
1) tan 즉 제 6류활용 (tanādi gaṇa)40) 동사들은 접미사 o를 가진 현재어간을 갖는다. 인칭 어미들은 제 1류활용 동사와 같다. 어근 kar (to do, to make, to work)의 현재시제는 다음과 같다.
단수 복수
3인칭 karoti karonti
2인칭 karosi karotha
1인칭 karomi karoma
2) 이 동사의 명령법은 karotu (3rd sg.), karontu (3rd pl.), karohi (end sg.) 등등이다 (나머지는 현재시제와 같이 활용한다.)
3) 유사하게 활용하는 단어들:
(p)pa-ap(p) pappoti he attains, he arrives (잘 안쓰이고 시적인 동사다.
일반적인 말에는 phusati 와 upasaṃkamati가 쓰인다.)
vi-ā-kar vyākaroti he explains
tan tanoti it expands, it stretches
sak(k) sakkoti he can, he is able to (부정사와 함께 쓰인다:
제 19과 참조, p. 135)
(과거시제의 경우 이 동사는 s를 가진 과거시제의 세번째 유형을 따른다. 그러나
k + s는 kh가 되기 때문에 과거형은 asakkhi가 된다.)
4) kar는 이 유형에 속하는 동사들 가운데서 가장 빈번하게 쓰이는 유일한 동사이다. kar는 다음과 같은 많은 숙어 속에서 발견된다: take in the hand, assume an appearance or expression, 묘기를 연출하다??? (perform a feat), 대답하다 (make a reply), 또한 sajjhāyaṃ karoti = he does studying, 즉 he studies 문장에서 처럼 ‘수동자 명사(patientnoun)에 의해 지정된 행위를 하다’는 의미로 쓰인다.
어휘
제 1류활용 동사들
anu-sās (to rule) anusāsati he advises, he instructs (특히 왕의 대신들
이 하는 경우나 비유적으로는 스승이 충고하는 경우에 쓰인다.)
(접두사 anu는 after, following을 의미)
abhi-(k)kam abhikkamati he goes forware, he advances
ā-i eti he comes (모음들이 합체가 된다. 그리고 단지 문맥에 의해서만 의미가 goes 인지 comes 인지 결정할 수 있다.)
khād khādati he eats, he bites, he chews
pā pivati he drinks (불규칙 어간)
(p)pa-hū pahoti he can [sak(k) sakkoti보다 더 강조적임)
a로 끝나는 남성명사들:
okāso opportunity
thūpo monument, pagoda
pariyāyo course (무엇을 하는 연설, 태도를 포함한 문자그대로의 그
리고 비유적인 과정)
vaṇṇo colour, beauty, praise, class
saṇkho conch (trumpet)
sajjhāyo learning, studying, study
불변화사
bhavaṃ good fortune !, best wishes !
(as의 명령법과 함께 쓰인 인사말에서)
연습문제 6
영어로 번역하라. (Translate into English)
1) ehi41) tvaṃ purisa [ehi; eti (to go, to come)의 명령법] You must go, (my) man.
O (may) man, come on. (Joshi)
2) yena Jotipālo māṇavo ten’42) upasaṃkama. (upasaṃkama; 2nd sg. imper. p. 36)
Go to where the young (priest) Jotipāla is.
Go to the young Jotipāla. (Joshi)
(yena ... tena or yena ... tad; --가 있는 그 곳에, 영어로는 그저 ‘to’로 번역)
3) Jotipālaṃ māṇavaṃ evaṃ vadehi . . . evaṃ43) devā44) ti . . .
so puriso Jotipālaṃ māṇavaṃ etad avoca: [so; m. sg. nom. of ta(d)]
adj. sub. i. obj. d. obj. verb
Say thus to the young priest Jotipālaṃ . . . “Yes, Your Majesty”. . .
That man said this to the young priest Jotipālaṃ:
4) bhavam45) atthu bhavantaṃ Jotipālaṃ46) māṇavaṃ (atthu; 3rd sg, imper., it may be,
may it be, it shall be―always impersonal, p. 35)
[bhavantaṃ; bhū의 현재분사인 어간 bhavant는, 단지 3인칭 동사와 함께 쓰이는
경우 (호격인 경우는 예외; 제 8과를 보라), 공손하거나 존경을 나타내는
말의 대명사로 쓰인다. p. 35]
[bhavaṃ; 불변화사 good fortune !, best wishes !
(as의 명령법과 함께 쓰인 인사말에서)]
* 이 문장의 주어는 bhavam(n. sg. nom.)이고 동사는 atthu인데 이 동사는 뒤에
오는 목적격 havantam Jotipālaṃ과는 아무 관계가 없다. 숙어처럼 쓰이는 인사
말이므로 유의 할 것. atthu 뒤에는 항상 목적격이 오며 문맥에 따라 2인칭일
수도 있고 3칭일 수도 있다. atthu 대신 hotu를 써도 된다.
‘bhavam atthu’ + 2인칭 또는 3인칭 존경어 (목적격)
(hotu)
May there be good fortune to your honour the young priest Jotipāla.
May there be good fortune to the young Venerable Jotipāla. (Joshi)
5) rājā Disampati bhavantaṃ Jotipālaṃ māṇavaṃ āmanteti . . .
(āmantesi; to call, to adress, to invite)
King Disampati addresses his hornour the young priest Jotipāla.
King Disampati addresses the young Venerable Jotipāla. (Joshi)
6) Jotipālo māṇavo yena rājā Disampati ten’ upasaṃkami.
The young priest Jotipāla went to where King Disampati was.
The young Jotipāla approached King Disampati.
7) Jotipālaṃ māṇavaṃ rājā Disampati etad avoca. [etad; n. sg. nom. of eta(d)]
(avoca; 3rd sg. aor. of vac)
King Disampati said this to the young priest Jotipāla.
8) anusāsatu bhavaṃ Jotipālo māṇavo . . . te atthe anusāsati.
[anusāsatu; 3rd sg. imper. of anusāsati (he advises, instructs), p. 34]
(bhavaṃ; 3rd sg. nom. 존경을 나타내는 말, p. 35: as의 명령법과 같이 쓰이지 않았
기 때문에 good fortune !, best wishes !를 의미하는 불변화사가 아님, p. 38)
Let the honourable young priest Jotipāla advise . . .
te atthe anusāsati. (te; m. pl. nom. acc.: atthe; m. pl. acc. meaning, welfare, gain,
purpose, matter, affair)
He advises those purposes (objectives).
He advises those topics (matters, objects). (Joshi)
9) gaccha tvaṃ Ānanda. (gaccha; 2nd sg. imperative tense, p. 34)
You must go, Ānanda.
Go, you Ānanda. (Joshi)47)
10) idaṃ hara. (hara; 2nd sg. imper. of harati)
Take this.
Carry this. (Joshi)
11) etu bhagavā. [etu; 3rd sg. imper. of eti (he comes)]
Let the fortunate one come.
12) ayaṃ samaṇo Gotamo48) āgacchati.
This is the philosopher Gotama coming.
Here comes the samaṇa (philosopher) Gotama !
13) nibbeṭhehi sace pahosi. (nibbeṭhehi; 어간에 hi가 붙어서 2nd sg. imper.을 만드는 경 우, p. 35) [pahosi; 3rd, 2nd sg. aor. of pahoti (he can)]
Rebut (it) if you can.
14) desetu sugato49) dhammaṃ.
[desetu; 3rd sg. imper. of deseti (to preach, point out)]
Let the well-gone teach the doctrne.
Let Sugata teach the doctrine. (Joshi)
15) pivatha khādathā ti. (pivatha; 2nd pl. imper. of pivati (to drink)
(khādathā; 끝의 ā는 원래 a인데 뒤의 ti때문에 장음화됨)
(All of you) Drink ! Eat !
16) abhikkama mahārāja. [abhikkama; 2nd sg. imper. of abhikkamati (to proceed)]
Go forward, O Great King. (Your Majesty ???, Imperial Majesty ???)
Go forware, Your Majesty !
17) thūpaṃ karonti. They make a pogada.
18) etha tumhe. [etha; 2nd pl. imper. of eti (to go), p. 34]
(You) go
Go, you.
Come (Return), you. (문맥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다.)
빠-리어로 번역하라. (p. 38)
1. Let the fortunate one sit down. nisidatu bhagavā.
2. Bring that. āhara (āharāhi) idaṃ, or idaṃ āhara (āharāhi).
āhara taṃ.
3. That man must come. etu so puriso.
4. Let the priest not trouble. tiṭṭhatu purohito. (see p. 35中下)
5. He makes an opportunity. (so) okāsaṃ karoti.
6. The king said this: “We must go”. ema mayaṃ ti rājā etad avoca. (x)
rājā etad avoca: amhe gacchāmā50) ti.
gaccheyyāmā ti rājā avoca.51) (Joshi)
7. I do not say this world doesn’t exist. (ahaṃ) na n’ atthi ayaṃ loko ti vadāmi.
(ahaṃ) na ayaṃ loko n’ atthi ti vadāmi.
ayaṃ loko n’ atthi ti na vadāmi. (Joshi)
* p. 36에 의할 것같으면 두번째 문장도 맞는데 ???
8. Give that up. * give up: pajahati. pajaha (pajahāhi) taṃ.
taṃ pajaha (pajahāhi).
9. Let not the honourable Govinda go forth. mā bhavaṃ Govindo pabbaji.
bhavaṃ Govindo na pabbajatu.
* 부정어 mā는 보통 2인칭 과거시제와 함께 ‘금지’나, ‘부정적인 연결’, ‘바램’을 나타내기 위하여 쓰인다. 그런데 이 과거시제는 이 때 시간적인 관계를 잃어버리고 현재시제나 미래시제가 된다 (가끔 사정이 달랐더라면 접두 모음자가 붙을 동사가 이 문장구조에서는 접두 모음자 없이 나타난다). (p. 31)
10. Study (plur.). uggaṇhātha (adhīyatha, vīmaṃsatha).
sajjhāyaṃ karotha.
11. Ask the fortunate one (about) this subject-matter.
bhagavantaṃ etaṃ atthaṃ pucchatha.
etaṃ atthaṃ bhagavantaṃ pucchatha.
12. This conch (trumpet) makes a noise. ayaṃ saṅkho saddaṃ karoti.
(m. sg. nom.) (m. sg. acc.)
제 7과 (p. 39)
(1) 과거분사 (past participle)
1) 과거분사는 일반적으로 접미사 ta나 ita와 더불어 어근으로부터 만들어진다.
(p)pa-(k)kam pakkanta gone away, left (동화작용으로 m + t > nt)
kar kata done (어근의 마지막에 있는 r인 탈락)
kilam kilanta tired
kup (to be angry) kupita angered
gam gata gone (m은 탈락됨)
adhi-gam adhigata understood
(접두사 adhi는
‘아주’, ‘완전히’ (over)
를 의미)
saṃ-anu-ā-gam samannāgata endowed, acquired
(동화작용으로 anu-ā > anvā > annā 가 됨)
ni-(g)gah niggahīta refuted
(to seize, to grasp)
chaḍḍ chaḍḍita thrown away, abandoned
(p)pa-(ñ)ñap paññatta declared, prepared (p는 t에 동화됨)
(ṭ)ṭhā ṭhita stood, stayed (어근의 마지막 모음 ā가 탈락)
saṃ-tus santuṭṭha contented, satisfied
(to be pleased)
dis desita taught (현재어간이 사용됨)
(d)dis diṭṭha seen (불규칙한 동화작용이 일어남)
pucch puṭṭha asked (동화작용으로 cch + ta가 ṭṭha가 됨)
bandh baddha bound (콧소리가 탈락하고 t가 dh에 동화됨)
bhās bhāsita spoken
bhū bhūta been
ni(r)-mā nimmita created
(to measure)
vi-muc vimutta freed
(to become freed)
ni-rudh niruddha stopped, ceased, ended
(to obstruct)
vac vutta said (불규칙 활용; 어근이 약화된 형태)
(p)pa-(v)vaj pabbajita gone forth
sam santa calmed
(s)su (to hear) suta heard
2) 과거분사는 보통 수동적인 (kammapada) 의미를 갖지만, 특별히 ‘go’, ‘move’, ‘go forth’의 의미를 갖는 자동사의 과거분사들은 (그리고 자동사적로 쓰이는 몇몇 타동사의 과거분사 조차도), 능동으로 간주된다. 과거분사는 정형동사의 (보통 수동) 과거시제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면 이 과거분사는 주격형태를 취하게 되고 능동인 경우는 동작주(agent)와 성과 수가 일치하고 수동인 경우는 수동주(patient)와 성과 수가 일치하게 된다. 보통 과거분사 는 회화에서 현재완료를 나타낸다.
예문: mayaṃ . . . upasaṃkantā = we have approached . . . , we have come . . . (자
신들의 도착을 누구에게 알리는 경우)
3) 정형동사처럼 단독으로 쓰이는 대신에, 과거분사는 ‘이다 (to be)’를 의미하는 현재시제의 동사를 동반할 (보통 동사 앞에 옴) 수 있는데, 이것은 현재완료의 의미를 강조한다. (p. 40)
[‘조동사의 도움을 빌리는 활용 (periphrastic)’이라고 불리는 이 문장구조는 제 24과에서 좀더 상세히 언급될 것이다. p. 233]
4) 어떤 과거분사들은 명사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bhāsitaṃ은 ‘what is spoken’, ‘speech’, ‘saying’을 의미할 수 있다.
5) 모든 과거분사는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로 (예: kupita = ‘angry’) 사용될 수 있고 이 경우 명사와 성, 수, 격이 일치한다.
6) 어떤 과거분사들은 명사로써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그리고 이것들은 모든 성 (남성, 여성, 중성)에 있어서 a로 끝나는 명사처럼 곡용한다.52)
(2) a로 끝나는 중성명사들
a로 끝나는 중성명사는 곡용어미 aṃ을 가진 주격 단수와 목적격 단수 행태를 갖는다. 그리고 주격과 목적격 복수는 곡용어미 āni를 갖는다. 나머지 격들의 곡용은 a로 끝나는 남성명사의 곡용과 동일하다. 어간 yāna (carriage)로부터 다음과 같은 격변화를 갖는다.
단수 복수
주격 및 목적격 yānaṃ yānāni
(3) 기구격 (器具格; Instrumental Case)
1) 세번째 즉 기구(tatiyā, karaṇa)격은 행위가 이루어지는데 수단이되는 기구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된다.
2) a로 끝나는 남성과 중성명사는 단수 기구격 곡용어미 ena와 복수 곡용어미 ehi를 갖는다. 1인칭 대명사 단수 기구격은 mayā와 me (나에 의해; by me)이다. me는 자체의 악센트가 없어서 바로 앞말의 일부처럼 발음된다 (enclitic). (가장 밀접한 단어 뒤에 올 필요는 없지만 그러나 문두에 올 수 는 없다.) 1인칭 대명사 복수 기구격은 amhehi이다.
예문: kāyena phusati = he touches with (his) body. 마찬가지로 he acquiesced “by his silence”는 . . . tuṇhībhāvena 이고 bringing water “in a bowl”은 pattena 이다.
3) 기구격은 ‘covered with dust’, ‘. . . with clothes (dressing)’, ‘pleased with’ 또는 ‘by’ a saying or seeing 을 포함한 광범위한 숙어를 포함하고 그리고 다음 과에서 다룰 일련의 특별한 용법들을 가지고 있다.
(4) 수동문
1) 문장의 행위가 수동(kammapada) 동사에 의해 표현될 경우 동작주(agent)는 기구격으로 표현된다. 일반적인 문장구조에서는, 비인칭 (bhāva) 수동 동사로 쓰여지며 문장의 동사로써 중성 단수 주격변화를 하는, 과거분사가 쓰인다.
예문: evaṃ me sutaṃ = ‘thus it was heard by me’, or
‘thus I have heard’ (현재완료).
2) 만약 수동주가 있고 행위가 과거분사에 의해서 표현되면 이 수동주는 주격이 된다. 그리고 분사는 마치 형용사인 것처럼 수동주와 성, 수, 격이 일치한다.
예문: mayā ime sattā nimmitā = by me these beings were (/have been) created,
= I (have) created these beings.
** 주의: 문장의 구조가 능동이냐 수동이냐에 따라, 동작주 (kattar)는 주격이나 기구격으로 표현되고 수동주 (kamma)도 목적격이나 주격으로 표현된다.
3) 자음으로 끝나는 어간들은 ā 곡용어미를 가진 기구격을 갖는다.
어간 기구격
bhagavant bhagavatā
brahman brahmunā (brahmanā)
rājan raññā (j + n이 ññ으로 동화됨)
4) 대명사의 기구격
주격 기구격 (단수) 기구격 (복수)
tvaṃ tayā, te tumhehi
so and taṃ tena tehi
sā tāya tāhi
ayaṃ iminā (m. 과 n.) imehi (m. 과 n.)
imāya (f.) imāhi (f.)
** a로 끝나는 중성명사들의 단수 주격
āsanaṃ seat
kammaṃ work
kicchaṃ difficulty
gehaṃ house, building
gottaṃ clan
cīvaraṃ robe
dānaṃ gift, donation, alms.
dukkhaṃ unhappiness, misery, suffering
dvāraṃ door, gate
dhanaṃ money, wealth
puññaṃ merit, good, goodness, meritorious action
maraṇaṃ death
yojanaṃ league (실제로 약 4.5 마일)
sahassaṃ thousand
sīlaṃ virtue, good conduct
sukhaṃ happiness
불변화사
āma yes
연습문제 7 (p. 43)
영어로 번역하라. (Translate into English) (p. 42)
1) iminā mayaṃ nimmitā. (iminā; m. and n. sg. ins. of ayaṃ-he, she, this, p. 42)
We were created by him (this). He (This) (has) created us.
* nimmitā (pp.)는 수동주(patient)인 mayaṃ과 성, 수, 격이 일치해야한다.
2) mayaṃ brahmunā nimmitā. (brahmunā; m. sg. ins. of brahman)
We were created by Brahmā.53)
3) desito Ānanda mayā dhammo.54) (desita가 dhammo와 격이 일치해야 하므로
desito가 됨)
The doctrine was taught by me, O Ānanda !
4) iminā tvaṃ purisa dhanena jīvāhi. (jīvāhi; 2nd sg. imper. of jīvati)
O man ! (You) make a living by this money.
5) vimutto tathāgato. The thus-gone was (has been) freed.
6) te ca me evaṃ puṭṭhā āmā ti vadanti.
[te; they (pl. nom.): me; by me: paṭṭhā; pl. nom. 주어와 성, 수, 격이 일치;
āmā; yes, 끝의 ā는 뒤의 ti 때문에 a가 장음화 됨]
(ca는 접속하는 문장의 첫 단어 다음에 위치. 이 문장의 ca는 앞문장과 연결되는 ca
임)
They have been (were) asked thus by me and say, ‘yes’.
They being asked by me thus, say ‘yes’. (Joshi)
* puṭṭha (asked)는 과거분사로 형용사 구실을 하기 때문에 구로 만들어야 한다.
7) idam āsanaṃ paññattaṃ.55) (paññattaṃ; n. sg. nom. of paññāpeti-prepare)
This seat has been prepared.
8) ete manussā gehaṃ pavisanti.
These human beings enter the house.
These people enter the house. (Joshi)
9) niggahīto ’si.
You (sig.) have been refuted.
(과거분사가 be동사(atthi, hoti)와 결합하면 현재완료의 의미를 강조, p. 40, 마지막
문단. cf). Dr. J. R. Joshi는 이 문장과 ‘tvaṃ niggahīto’라는 문장 사에에는 차이가
없다고 본다. 단지 전자는 회화체에 후자는 문어체에 쓰이는 것으로 봄)
10) kilanto ’smi (kilanta; tired)
I have been tired.
11) dānaṃ detha. [detha; 2nd pl. present of deti (to give)]
2nd pl. imper. of deti
You give gift (alms). --- 이렇게 해석되려면 주어 (tumhe)가 필요.
Give alms.
Give gift. (Joshi)
빠-리어로 번역하라. (p. 43)
1. They experience happiness.
(te, tā, tāni) sukhaṃ paṭisaṃvedenti.
2. The doctrine has been declared by me.
mayā dhammo paññatto.
paññatto mayā dhammo. (emphasis)
3. The wanderer is (hoti) contented. paribbājako santuṭṭho hoti.
4. Death (is) misery. maraṇaṃ dukkhaṃ (hoti).
5. I have heard this. 1). ahaṃ etaṃ (etad) asuṇiṃ (assuṃ).
idaṃ (imaṃ)
2). etaṃ (etad) me sutaṃ atthi (hoti).
idaṃ (imaṃ)
6. I did the work. 1) ahaṃ kammaṃ akariṃ (akam).
2) mayā kammaṃ kataṃ.
7. He gives a donation. (so) dānaṃ deti (dadāti).
8. The boy (is) tired. kumāro kilanto.
제 8과 (p. 44)
(1) 기구격의 또 다른 용법들
참고로 기구격의 다소 다른 특별 용법들을 여기서 다룬다.
1) 수반, 동반 (accompaniment)
brāhmaṇena saddhiṃ = with the priest, accompanied by the priest.
불변화사 saddhiṃ (--와 함께; with)은 일반적으로 명사를 따라다니는 이러한
표현에 쓰인다. 그래서 마찬가지로 saddhiṃ은 기구격을 요한다고 말할 수 있다.
누구와의 이야기 (talking), 토론 (discussing)에는 saddhiṃ이 필요하지 않다.
2) 소유 (갖춤)
‘--을 갖춘 (endowed with)’을 의미하는 과거분사 또는 재귀대명사 attan의 기구
격이 문제의 도덕적인 행위나 비도덕적인 행위를 나타내는 기구격으로 된 단어
와 함께 쓰여진다.
예문: sīlehi samannāgato, = endowed with virtues.
(기구격) (과거분사 --을 갖춘)
Filled ‘with water’; filled ‘with happiness’; filled ‘with noise’ (saddena)
(sadda; noise, sound)
3) 원인, 이유
(과학적, 철학적인 대화에는 인과관계를 표현하기 위하여 탈격을 쓴다: 제 14과,
p. 89)
bhagavatā vādena kupito (bhagavatā; m. sg. ins. abl.)
= angry at the fortuante one’ statement.
cīvarena santuṭṭho = satisfied with the robe.
atthena = because of that business/matter.
karaṇīyena = (engaged in some) business (duty).
* karaṇīyaṃ: n. duty, business.
iminā p’ aṅgena (iminā; m. n. sg. ins. of ima = this; pi = also)
= (you shouldn't go56)) for this reason
(aṅgaṃ 은 ‘limb’, ‘characteristic’, ‘factor’ 등을 의미하고 그래서 ‘because of
this’, related to ‘endowment’와 같은 표현에 쓰인다.)
4) 동등
samasamo vaṇṇena = quite equal in beauty. (sama; adj. equal, even, similar)
비교를 하는 경우 단지 비교의 행위가 우선 일반적이며 막연하게 묘사되는 경우에
한해서 기구격을 사용할 수 있다.
예: purisena purisaṃ = (comparing) a man with a man.
(“이것이 저것보다 낫다”와 같이 구체적인 비교에서는 탈격이 사용된다: 제 14과
참조, p. 92)
cf. 탈격은 가끔 비교 또는 구별에 쓰인 다 ( 의미가 ‘가장’을 나타낼 때는 소유격
이 사용된다. 제 18과 p. 124를 보라)
기구격은 원인과 치수를 나타내는 탈격과 혼용되듯이 가끔 비교급에도 쓰인다. (p. 92)
5) 가격
sahassena = for a thousand (즉 1000 kahāpaṇa (표준 은화)에 판다)
6) 길 (방향): ‘by one way’, ‘by another way’
dvārena = by the gate (entering, leaving)
7) 방향, 방위
from West to East (둘다 기구격, 그리고 각각의 뒤에 불변화사 ca가 붙는다.)
from North to South
8) 방법
iminā; in this way.
iminā pariyāyena; through this course (procedure), in this manner.
kāyena paṭisaṃvedeti; he experiences thruogh his body.
santena, calmly
(이와같은 기구격들은 ‘방법의 부사’처럼 쓰일 수 있다.)
on his right side (놓여 있는 방식)
kicchena adhigataṃ; understood with difficulty.
he sat practicing a certain kind of meditation.57) (기구격, 마치 앉아 있는 방법인양)
serving with action (kammena), whether physical or mental, or with speech;
honouring, entertaining, etc., with music, dancing, garlands, etc. 등등과 같은 표
현에서 처럼 이 의미가 사실 일반적인 ‘기구’라는 의미에 가깝다.
9) 생계의 수단, 설명 또는 묘사 (cf. instrument)의 수단, dānena (by giving) 또는 of
expiating past deeds (kammaṃ)와 같이 공덕 (puññaṃ)을 쌓는 수단.
10) 탈것 (vehicle)
yānena gacchati; he goes in (by) a carriage.
nāgena; by elephant.
11) 동기 (motive)
gāravena; through respect (he did not speak); 존경심 때문에
12) 시간표현 (???)
Time by means of which (at the end of which)58) or particular time at which.
aparena samayena; after some time, in due course. (* apara; aonther, other)
tena samayena; at that time.
accayena; through (after) the passage/passing away (of time or of a person:
소유격으로 지정된)
13) 나이 (age at which)
14) 치수 (measure; cf. 탈격은 제 14과 참조, p. 90, 92)
dvādasayojanāni ahosi āyāmena; it (a city) was twelve leagues in length.
sattayojanāni vitthārena; seven leagues in breadth.
치수를 의미하는 matta-로 끝나는 복합어들도 기구격으로 쓰인다.
jannumattena59); knee deep.
15) 분류: 탄생, 씨족, 가계, 종류, 같은 혈연관계
Gotamo gottena; a Gotama by clan
jātivādena; in respect of class (station by birth)
16) 분리 (dissociation)
(비고; 수반, 동반: 우리는 많은 수의 단어와 표현에서 반대되고 모순되는 개념들이
결합되는 경향들을 발견한다. 그러나 지금의 경우는 다행히도 모호하지 않다.)
adaṇḍena; without force (부정 접두사 a-)
또한 기구격은 ‘--은 제외하고’, ‘--은 별문제로 하고’를 의미하는 불변화사
aññatra60)와 함께 쓰인다.
예: aññatra brāhmaṇena; expect for the priest. (사제는 제외하고)
17) 기구격이 쓰인 숙어들
āsanena nimanteti; he invites to sit down = he offers a seat.
kālena kālaṃ; from time to time, regularly.
lābhena lābhaṃ; from gain to gain (항상 더 많은 이익을 바람, 한 이익에다 또
다른 이익을 가지도록)
aññena aññaṃ (one with another, 문자그대로는 other with other를 의미);
irrelevantly.
sabbena sabbaṃ (all with all), 즉 completely, absolutely throughly (어떤 교리를
알았을 때 처럼)
(2) 현재분사 (Present Participle) (p. 46)
1) 능동의 의미를 갖는 현재분사 (missakiriyā)는 접미사 nt나 māna를 붙여 동사의 현재
어간으로부터 만들어진다. 그리고 명사처럼 곡용한다.
2) 현재분사는 문장의 본동사와 함께 (missa; mixed, combined) 동시적으로 발생하는 행위를 나타낸다.
3) 어근 bhū로부터 둘다 being (있는, 존재하는)을 의미하는 어간 bhavant와 bhavamāna
가 만들어진다. 대부분의 모든 동사에 있어서 훨씬 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어간 nt
는 gam의 경우 다음과 같이 곡용한다. (pp. gata)
단수(singular) 복수(plural)
주격 gacchaṃ, gacchanto gacchantā
= going
목적격 gacchantaṃ gacchante
기구격 gacchatā gacchantehi
4) 단수 기구격은 (비음 n이 없는) 약어간 형태를61) 가지고 있음에 유의하라.
5) 다른 활용형들의 남성 단수 주격.
karonto; doing, paññāpento; declaring
6) 접미사 māna를 가진 현재분사는 a로 끝나는 다른 명사들과 완전히 동일하게 곡용한
다. as로부터 어간 samāna (= being)가 만들어지고 남성 단수 주격은 samāno이다. 비
록 sant가 쓰이지만 이것보다는 samāno가 훨씬 자주 쓰인다. bhavant (그리고 bhava)
와 sant는 being 이란 의미뿐만아니라 또한 어떤 특별한 의미를62) 갖기 때문에 특별
한 의미를 갖고 있지 않은 samāna는 모호한 표현을 피하게 한다.63)
7) 현재분사는 (과거분사가 그러하듯이)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로 쓰이고 그래서 수식하
는 명사와 성, 수, 격이 일치한다.
(3) 대명사 bhavant (p. 47) ------ p. 35 참조.
1) Bhavant는 being을 의미하는 경우 gacchant (going)처럼 곡용한다. 동일한 어간으로부터 you, sir, your honour, his honour를 의미하는 존칭대명사 bhavant가 만들어진다. 이 단어는 광범위한 곡용형을 가지고 있다.
남성
단수 복수
주격 bhavaṃ bhavanto 또는 bhonto
(ava가 축약되어 o가 됨)
목적격 bhavantaṃ bhavante
기구격 bhotā bhavantehi
2) 단수 호격: bho (복수 호격은 주격처럼 bhonto이다.)
3) 이 대명사의 주격은 3인칭에 쓰이고 호격은 2인칭에 쓰인다.
예; ayaṃ bhavaṃ; this honourable.
tvaṃ bho; you, sir.
(4) 동명사 (Gerund) (p.48)
1) 불변화분사인 동명사 (pubbakiriyā)는 문의 본동사의 행위에 선행하는 행위를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그래서 동명사는 종속절을 끝낼 수 있다.
2) 동명사의 동작주는 본동사의 동작주와 동일하다.
3) 복합문은 본동사를 가진 주절에 선행하는 분사 또는 동명사에 의해 끝나는 절과 함께 만들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작주는 행위의 그룹, 즉 일련의 행위를 수행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4) 각각의 절은 자신의 수동주 (patient)를 가질 수 있다 (즉, 동명사는 다른 동사형태들처럼 목적격의 수동주를 취할 수 있다.
5) 동명사는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보통 접미사 tvā, itvā, 또는 ya를 붙임으로써 과거분사와 동일한 어근64)으로부터 만들어진다.
upa-saṃ-(k)kam upasaṃkamitvā having approached
kar katvā/karitvā having done
gam gantvā having gone
(g)gah gahetvā having taken
chid chinditvā having cut
u(d)-(ṭ)ṭhā uṭṭhāya having stood up
(위로를 의미하는
접두사 u(d)와 함께65))
ā-dā ādāya having taken (종종 영어에서
taking과 같은 의미로 쓰임)
(d)dis disvā having seen
vac vatvā having said
abhi-vad abhivādetvā having greeted
ni-vās nivāsetvā having dressed
vi-vic (to seperate) vivicca having become separated from;
(vic + ya > vicca) having become isolated
(p)pa-vis pavisitvā having entered
(s)su sutvā having heard
(p)paṭi-(s)su paṭissutvā having agreed; having assented
(p)pa-hā pahāya having renounced
hū hutvā having been
어휘
제 1류활용 동사들
ji jayati he conquers, he wins, he defeats
labh labhati he obtains, he gets
(p)pa-su [to crush, pasavati he generates
to extract (liquids),
to produce]
명사들
āyāmo length
gāravo respect
daṇḍo stick, force, punishment
gāravo respect
nāgo elephant
pañho question
bhūto living being (명사로 사용된 bhū의 과거분사)
vitthāro breadth
agāraṃ house, home
annaṃ food
cittaṃ thought, mind, heart (비유적으로)
jīvitaṃ life
jhānaṃ meditation
ṭhānaṃ place
nagaraṃ city
nibbānaṃ, extinction (of existence), liberation (from existence), Nirvāṇa66)
prinibbānaṃ
pānaṃ drink
bhāsitaṃ speaking, saying (명사로 쓰여진 bhās의 과거분사)
bhojanaṃ meal, food
vatthaṃ garment (plural: clothes, dress)
viññāṇaṃ consciousness
veraṃ · heatred
saraṇaṃ protection, refuge
senāsanaṃ abode, resting place
불변화사
diṭṭhā excellent, splendid !, it's lucky, it's wonderful
vata (바로 앞말의 surely, indeed ! (바람, 후회, 비난, 놀람을 표현하는 강한 강조 또
일부처럼 발음됨) 는 약간 비속한 감탄사적인 말:
cf. alas !, I say ! (이봐, 여보세요, 아이구 깜짝
이야 !)
handa well !
연습문제 8
영어로 번역하라. (Translate into English)
1) ahaṃ tena samayena rājā Mahāsudassano ahosiṃ.
(tena samayena; at that time , p. 45 中下: ahosiṃ; 1st sg. aor. of hoti)
I was the king Mahāsudassana at that time.
2) dānena n’ atthi puññaṃ.
There is no merit in donation (gift, generosity).
through donation.
3) te ’haṃ67) upasaṃkamitvā evaṃ vadāmi (te; m. pl. acc.)
Having approached them, I say thus.
4) maṃ abhivādetvā pakkāmi (maṃ; 1st sg. acc. of amha)
(pakkāmi; 3rd sg. aor. of pakkamati = go away)
Having saluted me, he went away.
5) disvā evaṃ avocumha. [avocumha =avacumha; 1st pl. aor. of vacati (say)]
Having seen, we said so (thus).
6) diṭṭhā bho satta jīvasi. (bho; m. sg. voc. of bhavant, p. 47下)
(주의: bho는 2인칭에 쓰인다: tvaṃ bho; you, sir. p. 47)
(diṭṭhā; Indecl. excellent, splendid !, it's lucky, it's wonderful)
Excellent, O being, you are alive.
7) jayaṃ veraṃ pasavati. [jayaṃ; 1) n. sg. victory.(남성인데 gāthā에서는 중성으로도 씀)
2) pr.p. of jayati (conquer)
veraṃ; n. sg. nom. acc. hatred:
pasavati; to bring forth, to give birth to, to generate]
The conqueror brings forth hatred (of the conquered, defeated). (x)
(수야홍원, 빠-리어 사전, p. 110의 해석)
1) Victory brings forth hatred (of the conquered, defeated).
2) He, while conquering, produces hatred.
8) brāhmaṇo brahmunā manteti. (brahmunā; m. sg. ins. of brahman: manteti; to
consult, to discuss)
The brahmaṇa discusses with Brahmā.
The brahmaṇa takes consel with Brahmā.
9) evaṃ bho ti. (* ti는 영어의 “ ”에 해당된다.)
“Yes, sir”.
10) handa vata bho gacchāma. (handa; well !: vata: surely, indeed !)
Well ! let's go, friend. (???)
Well ! let's go, you, sir. (Joshi)
11) kālaṃ karonto avoca. (karonto; m. sg. nom. pr.p. doing)
He, while dying, said.
12) rājā samāno idaṃ labhati. (samāno: m. sg. nom. as의 현재분사, p. 47)
(현재분사 + 본동사) labhati; he gets, he obtains)
The king has gotten this. (x)
He, being a king, obtains this.
13) jhānaṃ jhāyati.
He does meditation. = He meditates.
14) mayaṃ bhagavantaṃ saraṇaṃ gacchāma, dhammañ ca68).
We go to the fortunate one as a refuge, and (go to) the doctrine (as a refuge).(직역)
We take refuge in the fortunate one and the doctrine.
15) jīvitaṃ demi. I give the life.
I grant (his, her, its) life.
I save your life. 또는 I save the life. (Joshi)
cf) <
jīvitaṃ demi. = I save your life (Bird)
빠-리어로 번역하라. (p. 50)
1. They enter by this gate. (te, tā, tāni) iminā (anena) ahidvārena pavisanti.
* gate: n. ahidvārena, pākāradvāra.
2. The king, having greeted the fortunate one, sat down.
bhagavantaṃ adhivādetvā, rājā nisīdi.
3. Having approached (and) greeted the fortunate one, they sat down.
bhagavantaṃ upasaṃkamitvā adhivādetvā, nisīdiṃsu.
4. Having approached them I ask these questions. * question; m. pañha.
te (tā, tāni) upasaṃkamitvā, (ahaṃ) ime pañhe pucchāmi.
5. Having dressed, taking a bowl I entered the village.
nivāsetvā pattaṃ ādānaṃ (ahaṃ) gāmaṃ pāvisiṃ. (x)
nivāsetvā pattaṃ ādāya (ahaṃ) gāmaṃ pāvisiṃ.
* pāvisiṃ: 3rd sg. pāvisi (of pavisati); pa + a (augment) > pā (see p. 24)
6. Gentlemen ! do not say thus. (mā + 2nd pl. aor.)
mā ayya (mahāsaya) evaṃ avocuttha (avacuttha). (x)
mā ayyā (mahāsayā) evaṃ avocuttha (avacuttha).
7. The honourable Jotipāla went forth. bhavaṃ Jotipālo pabbaji.
8. (As he is) going he sees. gacchanto passati.
9. I do not take counsel with God. (ahaṃ) brahmunā na mantemi.
(ahaṃ) devena na mantemi. (Joshi)
10. He entered the house. (so) agāraṃ pavisi (pāvisi).
* pāvisi: pa + a (augment) > pā (p. 24)
11. He gives a drink. (so) pānaṃ deti (dadāti).
(n, sg. acc.)
12. I do not get food. (ahaṃ) bhojanaṃ na labhāmi. na bhojanaṃ labhāmi.
(n. sg.)
13. He sees the garment. (so) vatthaṃ passati.
(n. sg. acc.)
14. He is (hoti) satisfied with the resting place. (so) senāsanena santuṭṭho hoti. (o)
(so) santuṭṭho senāsanena hoti. (x)
* 동사를 수식하는 단어는 (senāsanena) 보통 동사 앞에 온다. 우리말의 어순과 같다.
15. Living beings experience unhappiness. bhūtā dukkhaṃ paṭsaṃvedenti.
(m. pl. nom.)
16. The lay disciples come to the place.
upāsakā ṭhānaṃ enti (āgacchanti, upasaṃkamanti).
(n. sg. acc.)
제 9과 (p. 51)
(1) 수동활용
1) 동사는 어근에 접미사 ya 나 iya, īya를 붙여서 수동어간을 형성한다.
2) 어근은 보통 변하지 않지만 어떤 어근들은 약형 (weak form)을 갖기도 한다.69)
3) 보통 어근은 과거분사의 어근과 동일하다.
4) 모음으로 끝나는 어근은 종종 마지막 모음을 잃게 된다.
5) 활용어미들은 능동과 마찬가지다.
6) 동사가 능동이냐 수동이냐를 보여주는 것은 바로 어간이다.
7) 어근 (p)pa-hā의 직설법 현재 수동형 (kammapada)은 다음과 같다.
(어근의 모음은 탈락됨)
단수 복수
3인칭 pahīyati; pahīyanti
it is given up
2인칭 pahīyasi pahīyatha
1인칭 pahīyāmi pahīyāma
8) 단순 동사70) hā (to abandon, to diminish)는 약화되지 않은 어간 hāya를 갖는다.
9) 접미사 ya는 빈번히 어근의 마지막 자음에 동화된다. 그래서 가끔 이 ya가 존재한다는 것을 단지 동화된 이 겹자음의 외형를 통해 추론할 수 있다.
다른 동사의 수동형:
kar (to do) kariyati/karīyati it is done (i는 단모음이나 장모음
**kayirati (同意異形) 둘다 가능)
(ñ)ñā (to know)
(접두사 (p)pa와 함께) paññāyati it is understood
dā dīyati it is given
(d)dis dissati he is seen
(dis + ya > dissa)
vac (to say) vuccati it is said, it is called
(과거분사는 vutta)
han (to kill) haññati he is killed
10) 수동동사는 빠-리어에서 그다지 일반적이지 않다. 과거분사를 가진 어떤 허가된
표현에서 쓰이는 것을 제외하고, 빠-리어는 능동문을 훨씬 더 선호한다.
11) 과거수동은 가끔 수동어간에 과거활용 어미를 더해서 만들어진다.
예: haññiṃsu; they were killed.
12) 현재분사 수동(현재수동 분사???)은 수동어간에 māna를 더해서 만들어지고 분사처럼
활용한다.
예: kayiramāna; being done
(2) ā로 끝나는 여성명사들 (p. 52)
ā로 끝나는 여성명사들은 첫 세 격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곡용한다.
단수 복수
주격 kathā; talk, story kathā 또는 kathāyo
목적격 kathaṃ '' ''
기구격 kathāya kathāhi
ā로 끝나는 여성명사들.
avijjā ignorance
upāsikā female lay disciple
taṇhā desire, thrist
devatā deity, devine being, spirit
paññā understanding, wisdom
parisā assembly
mālā garland
vācā speech
vijjā science, knowledge
vedanā sensation
saññā perception
sālā hall
어휘
** 제 1류활용 동사
apa-(k)kam apakkamati he goes off, he withdraws
(접두사 apa =
off, away)
** 명사
ajo goat
** 불변화사
bhante sir ! (불교 승려들에게 하는 공손한 말)
vā or, either (앞 단어의 일부처럼 쓰이고 용법은 ca와 같다. (제 4
과 어휘편 참조)
saccaṃ it is true that, is it true that ? (이것이 의문문인지 아니지는
문맥을 통해서 알 수 있고 회화에서는 어조를 통해 알 수
있다.)
연습문제 9 (p. 53)
영어로 번역하라. (Translate into English)
1) kāyā hāyanti. [hāyanti; 3rd pl. pass. of [hā], hāyati (to abandon, to diminish)]
Bodies are abandoned (diminished).
2) ayaṃ kho sā brāhmaṇa paññā. (sā; f. sg. nom. that:
paññā; f. sg. pl. nom. wisdom, understanding)
O brahman, indeed, this is that wisdom.
3) esā taṇhā pahīyati.
(esā; f. sg. nom. of etad: pahīyati; 3rd sg. pass of (p)pa-hā: taṇhā; f. sg. nom. p. 51)
This desire is given up.
4) bhojanaṃ dīyati (bhojanaṃ; n. sg. nom. acc. food: dīyati; is given, pass. of dā)
The food is given.
5) saccaṃ Nigrodha bhāsitā te esā vācā (interrogative).
(saccaṃ; it is true that, is it true that ?: bhāsitā; pp. f. sg. nom., spoken, p. 40:
te; 2nd sg. ins.: esā; f. sg. nom., this: vācā; f. sg. nom., spceech)
Is it true, O Nigrodha, that this speech was spoken by you ?
Is it true, O Nigrodha, that you made this speech ?
6) saccaṃ bhante bhāsitā me esā vācā (affirmative reply to the prededing sentence).
It is true, Venerable, that this speech was spoken by me.
It is true, Venerable, that I made this speech.
7) idaṃ vuccati cittam ti vā viññāṇan ti vā.71)
(idaṃ; n. sg. nom.: vuccati; it is said, it is called, pp.= vutta)
This is called the mind or (this is called) consciousness. (x)
This is called “citta” or “viññāṇa”. (Joshi)
8) tā devatā maṃ etad avocuṃ. (* devatā; f. pl. nom., deity, divine being, spirt)
Those deities said this to me.
9) atthi kho bho Maṇikā72) nāma vijjā.
Sir, there is a science called Maṇikā, magic science for thought-reading.
Sir, there is a techique called Maṇikā, magic science for thought-reading. (Joshi)
10) saññā ca vedanā ca niruddhā honti.73) (* saññā; f. sense, perception:
* vedanā; f. pain, sensation: * niruddhā; f. pl. nom., pp. of nirujjhati - to ceas,
dissolve, vanish)
Perception and sensation has been ceased.
Perception and sensation are stoped. (x)
Perceptions and sensations has been ceased. (o)
11) Sujātā nāma bhante upāsikā kālakatā.74) * kālakatā; pp. dead, died.
O Venerable, the female lay disciple called Sujātā has been dead (was died)
12) evaṃ pi kho Sunakkhatto mayā vuccamāno apakkami.
(* mayā; 1st sg. ins. abl: * apakkamati; goes off, withdraws, apa-(pre.)= off, away:
* vuccamāna; vucca (the passive stem) + māna(현재수동분사화 접미사), being said,
being called. (p. 52): * (a)pi; ind. also, and also, even so, but, however, probably,
perhaps.
Thus, and also Sunakkhatta, being called by me, went off.
13) samaṇo Gotamo imaṃ prisaṃ āgacchati. * parisā; f. an assembly.
The samaṇa Gotama comes to this assembly.
빠-리어로 번역하라 (현재시제를 가진 문장에 현재수동형을 사용해서) (p. 54)
Translate into Pali, using the present passive in the present time sentences: -
1. These phenomena are abandoned. ime dhammā pahīyanti. (p. 51)
2. Goats are killed. ajā haññanti.
3. The priest is seen. purohito dissati.
4. Ignorance is given up. avijjā pahīyati. * avijjā: f. ignorance.
5. He is called an ascetic. so samaṇo vuccati.
so samaṇo ti vuccati. (Joshi)
6. This is called misery. * misery; apāyo, upāyāso, dukkhaṃ, anayo.
ayaṃ apāyo ti vuccati. (x) idaṃ dukkhaṃ ti vuccati. (o)
* apāya: m. the hell, state of loss and woe, lapse, loss.
7. Taking a garland they went to the hall. * take; harati, gaṇhāti, ādāti, apaneti.
* Present participles (missakiriyā), active in meaning, are formed from the present stem of verbs by
adding the suffixes nt or māna and declining like nouns. They indicate an action which takes places
simultaneously with (missa) the main action of the sentence. (p. 46)
1) mālaṃ ādāya (haritvā), (te, tā, tāni) sālaṃ gacchiṃsu (upasaṃkamiṃsu).
2) mālaṃ harantā, (te, tā, tāni) sālaṃ gacchiṃsu.
* mālā; f. garland: * sālā; f. a hall.
제 10과 (p. 54)
(1) 미래시제 (Future Tense)
1) 미래(bhavissantī)시제는 현재시제와 동일한 활용어미들을 가지고 있으며 강어근 형태와 접미사 iss 또는 제 7류활용 동사인 경우는 보통 접미사 ess를 가진 어간에 이 활용어미들이 붙는다.
gam gamissati he will go
dis desessati he will teach
bhū bhavissati he will be, there will be
[as (to be)와 ‘to be’를 의미하는 다른 동사들은 거의 자신들의 미래형을 갖지 않는다. bhavissati가 이들 대신에 쓰인다.]
labh labhissati he will get
saṃ-vi-bhaj saṃvibhajissati he will share
(=to resort to)
2) 미래시제는 확실함이나 결심 (1인칭의 경우), 결정 등을 나타낼 뿐만아니라 가능성 (bhavissati가 특히 종종 이 의미를 갖는다.), 가정법 미래를 표현하기 위하여 쓰인다.
예문: sace ahaṃ . . . labhissāmi, saṃvibhajissāmi . . .
= If I get . . . I will share . . .
3) 자연의 법칙이나 선천적, 후천적인 습관을 따르는 것도 미래시제로 표현할 수 있다.
예문: all living beings (must/will) die = . . . nikkhipissanti, 문자그대로는 ‘(몸을)
내던지다 (throw down)’, ‘내려놓다 (put down)’를 의미한다.
4) 미래시제는 ‘영원한 진리’를 표현하기 위하여 현재시제를 사용하는 것 보다 더 강조적
으로 쓰인다: they will do this. 이것은 또한 후회나 불찬성의 감정적인 색채를 표현
할 수도 있다. 분개 (또는 불찬성)는 보통 ‘kathaṃ hi nāma . . .’ = for how could
(will) he . . . 75)로 시작하는 구(句) 속에서 미래시제로 표현할 수 있다.
(* nāma; indeed)
5) 미래시제는 또한 당혹, 놀람, 경이 등을 표현한다.
예문: kim ev’ idaṃ bhavissati; what can this be ?, what is this (stuff) ?
6) 미래수동 동사는 수동 어간에 미래를 나타내는 동일한 접미사 (iss나 ess)와 활용어미
를 붙여 만든다.
예: (p)pa-hā -> pahīyati (수동형) -> pahīyissati (미래수동형); it will be given up.
(2) 소유격 (Genitive Case) (p. 55)
1) 여섯번째 즉 소유 (chaṭṭhī, sāmin)격은 보통 두 명사 간의 관계 (sambandha)를 나타
낸다. 호격을 제외한 다른 모든 격들은 보통 동사와 직접 연결되기 때
문에 kārika (acting)격으로 분류된다.
2) 소유격은 종종 ‘--의 (of)’로 번역되고 그래서 소유를 나타내는 격으로 쓰인다.
3) 소유격의 주된 두가지 특징적인 용법은 다음과 같이 구별된다.
(1) 소유자 (sāmin; possessor)를 나타낸다.
(2) 관계된 단어가 전체 소유자 가운데 부분(avayava)을 나타낸다.)
이 둘 가운데 소유를 나타내는 소유격이 훨씬 더 많이 쓰이고 다양한 의미를 가진다.
4) 소유격의 곡용은 다음과 같다.
주격 소유격
loko lokassa
lokā lokānaṃ
cittaṃ cittassa
cittāni cittānaṃ
kathā kathāya (단수는 기구격과 같다)
kathānaṃ (복수)
bhagavā bhagavato
rājā rañño
brahmā brahmuno
ahaṃ mama, (가끔 mamaṃ), me (앞 단어의 일부 처럼 쓰임)
mayaṃ amhākaṃ
tvaṃ tava, te (앞 단어의 일부처럼 쓰임)
tumhe tumhākaṃ
(e)so와 tad (e)tassa
sā tassā
te와 tāni tesaṃ
ayaṃ assa 또는 imassa (남성형)
assā 또는 imassā (여성형)
ime imesaṃ
imā imāsaṃ
bhavaṃ bhoto
5) 보통 소유격으로 된 단어는 이 단어와 관계가 있는 단어 바로 앞에 온다.
예: rañño thūpo; a king’s monument
6) 소유를 나타내는 소유격을 가진 문장구조는 빈번히 have 동사를 가진 영어의 문장구
조와 일치한다. (빠-리어에서 ‘가지다 (to have)’는 거의 동사로 표현되지 않고 대부분
의 경우 소유격으로 표현된다.) 문장내에 다른 동사가 없으면 동사 ‘있다 (to be)’가 사
용된다.
예: idaṃ assa hoti. [assa; m. sg. dat. gen. of ima (this, him)]
[idaṃ; n. sg. nom. of ima (this)]
Of him there is this. = He has this.
( 그는 ‘다음과 같은 생각 (idaṃ)’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 그러므로 assa는 gen.로 봐야한다. 그리고
이 문장에서는 idaṃ이 강조되고 있기 때문에 강조되는 단어인 idaṃ이 문두로 나가고 assa가 뒤에
오게 된다. assa처럼 대명사가 아니고 처음 나오는 명사가 소유격으로 쓰이는 경우는 그 명사가 문
두에 올 수 있다.)
자주 쓰이는 이런 형태의 숙어로 동작주 (agent)에 의해 생각된 직접화법을 포함하는
tassa evaṃ hoti . . .76) (또는 ahosi 등등)가 있다.
= 문자그대로는 of him thus it is (또는 was 등등)
= he has this thought.
= he thinks thus.
7) 제 8과 (p. 45 끝에서 세번째 문단)에서 언급되었듯이 기간을 나타내는 단어의 소유격
+ accayena로 구성된 숙어는 일어나는 어떤 것 뒤의 시간 (또는 일어나는 어떤 것을
경과하는 시간)을 나타낸다.
예문: sattāhassa accayena . . . pabbajissāma.
= After a week . . . we will go forth.
비슷한 숙어로 mama + accayena = 내 뒤에 (after me)가 있다. 이것은 내가 죽은 뒤
에 (after I have passed away), 나의 죽음 뒤에 (after my death/parinibbāna)라는 의
미를 갖는다.
8) 소유격의 근본적인 역할인 명사와 명사 사이를 단순히 관계지우는 매우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성질 덕분에 소유격은 정확함이 불필요한 곳에서 다소 느슨하게 사용될 수 있다. 명사는 분사들을77) 포함하기 때문에 우리는 종종 (소위 주격소유격, 목적격소유격이라고 불리는) 분사가 하는 행위의 동작주나 수동주를 나타내는 소유격으로 된 명사가 앞에 오는 동사의 기능을 가진 분사를 발견한다78) (정형동사에 해당한다. 제 7과 p. 40 두번째 문단). 공식적으로 이 구조들는 위에서 언급한 일반 소유격의 형태 (sambandha)와 같지만, 그러나 해석에 있어서 옛 주석가들은 또한 분사로 사용되는 kāraka격들인 기구격 (동작주) 또는 목적격 (수동주)을 대신하는 것으로써 이 구조들을 종종 설명해 왔다. 이것 때문에몇몇 후대의 저자들은 마치 빠-리어의 소유격이 kāraka격으로 사용되는 것처럼 주격소유격과 목적격 소유격을 만들었다 (중세의 빠-리어 문법학자들은 단순히 다른격을 대신하는 것으로 소유격을 설명하거나 소유격과 관계가 있는 필수적인 격으로 된 다른 명사가 생략된 것으로 가정한다. 몇몇 현대의 저자들은 그저 kāraka와 sambandha 격 (형태) 사이의 구별을 무시해버린다).
* 동작주 소유격 (agent-genitive = subjective genitive; 주격소유격)의 실예들:
brāhmaṇassa pūjito (Soṇadaṇḍo) = (Soṇadaṇḍo was) honoured of (=by) the priest.
yesaṃ . . . devā . . . adiṭṭhā. (yesaṃ; m. pl. dat. gen. of ya = who, which)
= those . . . who have not seen . . . the gods (adiṭṭhā는 부정 과거분사)
= of (=by)whom the gods are unseen
[주석서는 yesaṃ을 yehi (복수 기구격)로 간주한다.]
* 수동주 소유격 (patient-genitive = objective genitive; 목적격 소유격):
ahaṃ . . . tassa yaññassa jāyetā79) = I . . . (was) the performer of that sacrifice.
11) 소유격은 또한 ‘채움 (filling)’과 관계되어 사용될 경우 기구격을 대신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cf. 제 8과 p. 44, ins. of possession). 소유격이 형용사 (제 11과, p. 60) ‘가득찬 (pūra; full)’과 함께 쓰인 경우 (아래의 번역이 제시하고 있듯이 분사는 아니지만 의미는 분사와 비슷하다.)
예문: kumbhiṃ . . . pūraṃ . . . suvaṇṇassa = pot . . . full . . . of gold.
(kumbhiṃ은 ī로 끝나는 여성명사 kumbhī (pot)의 목적격)
12) 소유격은 또한 piṭṭhito (behind), purato (before, in front of), antarena (between), me purato (in front of me), kāyānam antarena (between the bodies; 여기서 body란 궁극적인 몸, 요소, 원자를 의미한다. 그래서 문맥의 의미는 ‘원자 사이를 자르다’는 의미)와 같은 어떤 불변화사들과 함께 쓰어진다. 숙어 uttaraṃ nagarassa80) (=north of the city)가 이런 불변화사들이 갖는 세가지 위치 관계들과 비교될 수 있다.
13) 절대 소유격 (genitive absolut)이라고 불리는 구조는 소유격의 명사 (또는 대명사) 바로 뒤에 또한 소유격의 분사가 오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 서술적 관계는 문장의 다른 단어들과 따로 위치하고 그래서 ‘(명사가 분사를 하고 있었던) 동안 (while)’을 의미한다. 절대 서술적 관계 (absolut nexus)에 있는 동작주(agent)는 주 문장의 동작주와 다르다.
예문: telassa jhāyamānassa; as (while) the oil is burning
[(j)jhe; to burn: jhāyati는 (j)jhe; to meditate와 동음이의어]
jhāyamāna81); 현재분사: jhāyamānassa (현재분사의 소유격)
14) 종종 절대 소유격은 분사가 ‘봄 (seeing)’, ‘방관함 (looking on)’을 의미하는 경우, ‘(명사가 분사를 함에도) 불구하고’, ‘바로 그들의 면전에서 (under their very noses)’와 같이 무시, 경시 (disregarding)를 나타내는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예문: mātāpitunnaṃ . . . rudantānaṃ . . . pabbajito.
(mātāpitunnaṃ; 복수 소유격: rudantānaṃ 현재분사의 소유격 복수)
though his parents were weeping, he went forth.
어휘
제 1류활용 동사
arah arahati he deserves, he must, he ought
kilam kilamati he becomes tired
rud rudati he weeps
vīj vījati he fans
subh sobhati he makes it clear (자동사)
제 7류활용 동사
pūj pūjeti he honours
veṭh veṭheti he wraps
명사들
anto side, end, extreme
jayo victory
dāso slave
bhāga share
yañño sacrifice (ritual)
telaṃ oil (sesame oil)
bhayaṃ danger
ratanaṃ gem, precious thing
sarīraṃ body (사람이나 동물의 몸; kāya도 이런 의미를 갖지만 또한 ‘물질’, ‘분자’라
는 의미도 갖기 때문에 보다 광범위하게 쓰인다.)
복수 sarīrāni는 (화장 후 남은 붓다의) 유골 [(bodily) relics]을 의미하
는데 쓰인다.
suvaṇṇaṃ gold
불변화사
antarena between (소유격과 함께)
ciraṃ for a long time, after a long time
pana but, however (pana는 앞 단어의 일부처럼 쓰임)
piṭṭhito behind (소유격과 함께)
과거분사
āropita disproved (ropeti로부터 왔다; 제 13과)
연습문제 10 (p. 59)
영어로 번역하라.
1) na ciraṃ tathāgatassa parinibbānaṃ bhavissati.
There will be the parinibbāna of the fortunate one not before long.
The parinibbāna of the fortunate one will take place not before long.
2) imassa jayo bhavissati. (imassa; m. sg. dat. gen; 여기서는 gen.)
There will be his victory.
3) brāhmaṇā brahmuno puttā.
The priests are the sons of God.
4) dukkhass’ antaṃ karissanti. (dukkhassa; n. sg. gen)
They will make the end of suffering.
5) āropito te vādo.
(āropito; pp. of āropeti = to put on, to impeach, to get ready)
= disproved. * vādaṃ āropeti = to refute a person. 이 문장은 과거분사가 문두에 나
가 있기 때문에 강조된 문장이다. 정상 어순은 ‘te vādo āropito’이다.
(te; 2nd sg. gen. of tumha)
Your saying was disproved. (x) Your saying is disproved. (o)
(회화체에서 te가 쓰이는 경우는 바로 상대방를 보고 이야기를 하고 있는 중이기 때문
에 과거분사로 되어 있더라도 과거시제가 아니라 현재시제로 번역해야 한다. cf)
tassa vādo āropito = His saying was disproved.)
6) ayaṃ imassa bhāsitassa attho. (bhāsita; n. speech, saying)
(ayaṃ; m. f. sg. nom. of ima = this)
This is the meaning of this saying.
7) mā me purato aṭṭhāsi. (me; 1st sg. gen. of amha; purato는 소유격과 함께 쓰여
before, in front of를 의미: aṭṭhāsi; 3rd sg. aor. of tiṭṭhati = stand)
Don’t stand in front of me.
8) so maṃ pañhena, ahaṃ veyyākaraṇena sobhissāmi.
(so; he: maṃ; 1st sg. acc. of amha: veyyākaraṇaṃ; explanation, analysis:
sobhati; he makes it clear, p. 59) (sobhati; to be fit, to be proper -- Joshi)
He will make it clear by his asking me, I will make it clear by explanation. (x)
He shall be proper to me in question, I shall be proper in reply. (x)
He shall be proper (person) (to ask) me questions, I shall be proper (person) in
reply. (Dr. J. R. Joshi)
9) tena kho pana samayena Ānando bhagavato piṭṭhito ṭhito hoti bhagavantaṃ vījamāno.82)
(pana; but, however, ind.: tena samayena; at that time, p. 45 기구격 참조: bhagavato;
m. sg. dat. gen., 여기서는 gen.: piṭṭhito; behind, piṭṭhī 의 dat. 와더는 불변화사로 봄,
p. 59: ṭhito hoti; ṭhito는 pp. stood - 정형동사처럼 단독으로 쓰이는 대신에, 과거분사는 ‘이다 (to be)’를 의미하는 현재시제의 동사를 동반할 (보통 동사 앞에 옴) 수 있는데, 이것은 현재완료의 의미를 강조한다. [‘조동사의 도움을 빌리는 활용 (periphrastic)’이라고 불리는 이 문장구조는 제 24과에 서 좀더 상세히 언급될 것이다.], p. 40:
(bhagavantaṃ; m. sg. acc.: vījamāna; vījati (to fan)의 현재분사, fanning)
However, at that time, Ānanda has been stood behind the Buddha, fanning him.
However, at that time, Ānanda, fanning the Buddha, has been stood behind him.
10) kammaṃ kho pana me karontassa kāyo kilamissati.
(me karontassa; 절대소유격, p. 58. me; 1st sg. gen: karonta; pr.p doing)
While I am doing work, however, (my) body will become tired.
11) tassa ratanāni bhavanti. (tassa; m. sg. dat. gen. 여기서는 gen:
ratanāni; n. pl. nom. acc. 여기서는 nom.)
There are his gems.
He has gemes.
빠-리어로 번역하라.
1) These people will have sons.
imesaṃ manussānaṃ puttā bhavissanti.83) (o)
puttā imesaṃ manussānaṃ bhavissanti. (x)
2) I am his slave. ahaṃ tassa dāso (hoti). (x) ahaṃ tassa dāso (homi). (o)
3) There will be danger. bhayaṃ bhavissati.
4) He will teach the doctrine. so dhammaṃ desessati.
5) I will be an ascetic. ahaṃ samaṇo bhavissāmi.
6) The priest has a son. putto purohitassa atthi.
7) They wrap the king's body in a garment (instrumental)
Te rañño sarīraṃ (kāyaṃ) vatthena veṭhenti.
8) This is the pagoda of that fortunate one.
ayaṃ tassa bhagavato thūpo (cetiyaṃ) (hoti).
9) We deserve a share of the relics of the fortunate one.
mayaṃ bhagavato sarīrānaṃ bhāgaṃ arahāma. (narrative) (△)
(n. pl. gen)(m. sg. acc)
mayaṃ arahāma bhagavato sarīrānaṃ bhāgaṃ. (colloquial) (o)
* 이 문장에서는 ‘arahāma (deserve)가 중요하기 때문에 두번째 문장이 좋다.
제 11과 (p. 60)
(1) 형용사들
1) 형용사 (guṇanāma)들은84) 한정사 (attribute-words)로써 자신이 수식하는 명사에 따라 세가지 성에 있어서 다른 명사들과 동일하게 곡용한다.
2) a로 끝나는 대부분의 형용사들은 ā로 끝나는 여성형을 갖는다.
3) 또한 형용사는 자신이 수식하는 명사와 수와 격도 일치한다.
4) 형용사가 두개 또는 그 이상의 명사에 공통적으로 관계할 때는 이 명사들의 합계와 일치해서 복수가 되거나 가장 가까이에 있는 명사와 일치하게 된다. 세째로는 수식받는 단어들을 집합적으로 취급해서 단수로 보고 그래서 형용사도 단수가 된다.
5) 성 (性)이 상충되는 곳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우선하고 중성이 남성과 여성보다 우선한다. 85)
6) 형용사는 보통 자신이 수식하는 명사 앞에 오지만 (그래서 한정명사와 대조됨: cf. 제 1과), 몇개의 형용사가 하나의 명사를 수식하는 경우 빈번히 하나의 형용사만 그 명사 앞에 오고 나머지는 명사 뒤에 온다.
7) 동일한 명사를 지칭하는 지시대명사는 그 전체 그룹 앞에 온다.
8) 하나의 형용사 또는 (모든) 형용사들이 명사뒤에 오게되면 이것은 보통 그 명사가 서술되는 것을 나타내거나 또는 달리 말하면 문제의 한정사가 강조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면 ‘. . . who is/which is’라고 번역해야 한다.86)
9) 만약 ‘서술 관계 (nexus)’와 ‘수식.피수식 관계의 연결 (junction)’이라는 용어를 쓰면, 형용사 + 명사의 어순은 수식.피수식 관계의 연결에 해당하고 명사 + 형용사의 어순은 (동일한 격의 다른 명사도 마찬가지) 서술 관계에 해당한다.
10) 그러나 문장내에 동사가 없는 경우는, 어순에 관계 없이 서술 관계임을 알아야 한다. 서술형용사가 먼저 오는 것은 (논쟁중에 있듯이) 이 서술형용사가 강조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87)
a로 끝나는 형용사
akusala bad
atīta past
ananta infinite
iddha powerful
kanta agreeable, (제 7류활용 동사 kāmeti > kam의 p.p.)
lovely
kalyāṇa beautiful, good
kusala good
dakkhiṇa right (hand), southern
dhuva fixed
nicca permanent
pacchima last, western
pahūta much, many
piya dear
phīta prosperous
vāma left
sassata eternal
sukara easy
sukha happy
11) 과거분사는 형용사로 사용되면 특별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diṭṭha; visible.
12) 명사와 형용사 사이의 구별은 절대적이지 않다. 그래서 많은 단어들이 두가지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 kusalaṃ; the good kusala; good, good at.
sukhaṃ; happiness sukha; happy
마찬가지로 보통 형용사로 쓰이는 kalyāṇa88)와 다른 단어들도 중성의 추상명사로 쓰일 수 있다.
(2) 제 3류활용 동사 (p. 62)
1) dvi 즉 제 3류활용 (divādi gaṇa)동사들은 접미사 ya를 가진 현재어간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형태상 제 3류활용 동사는 접미사 ya를 가진 수동형을 닮았다.
2) 인칭활용어미들은 제 1류활용 동사와 같다.
3) 어근 man (to think)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현재시제의 활용이 이루어진다 (어간: man + ya > mañña).
단수 복수
3인칭 maññati maññanti
2인칭 maññasi maññatha
1인칭 maññāmi maññāma
비슷하게 활용하는 동사들:
chid chijjati he cuts (down)
jan jāyati he is born (자동사이고 어간이 불규칙하게 형성됨)
ā-dā ādiyati he takes (어근의 모음이 불규칙하게 탈락됨, 이 동
사의 수동활용은 i 나 ī 다.)
ā-pad āpajjati he acquires, he produces, he gets, he has (가지고
있다는 의미일 때는 자동사이다.)
pad (to go) uppajjati it happens, it aries, it becomes
(접두사 u(d)와 함께)
upa-pad upapajjati he transmigrates, he is reborn
upa-saṃ-pad upasampajjati he enters into
ni-pad nipajjati he lies down
(p)paṭi-pas paṭipajjati he engages in, he follows, he practices,
he behaves (habitually)
vi-muc vimuccati he is freed
ni-rudh nirujjhati it stops, it ceases
vid vijjati it is, it occurs, it is found (to be the case)
4) ṭhānaṃ (n. place, condition)과 함께 쓰인 숙어로써 vijjati는 사건이나 추리의 가능성을 나타낸다. 예: ṭhānaṃ etaṃ vijjati = this/it is possible, it is the case (문자그대로는 this
place is found이다.)
n’ etaṃ ṭhānaṃ vijjati = this is impossible, it is not the case
5) 이 두 귀절 (숙어)는 possible 또는 impossible이란 의미로 인용된 (. . . ti)말 바로 뒤에 올 수 있다. 또는 관계대명사 (제 12과) 뒤에 와서 관계대명사에 의해 소개된다.
6) 명령법은 제 1류활용 동사에서와 마찬가지로 이 (현재) 어간들으로부터 만들어진다.
7) u(d)-pad 로부터 만들어진 과거시제는 udapādi (its arose)임에 주의하라.89)
8) 이러한 동사들로부터 과거시제를 만들 때 현재어간이 가끔 사용된다: -pajji 등등.
이것은 미래시제에서도 마찬가지이다: -pajjissati 등등.
9) 수동형은 가끔 능동형과 동일하다. 그래서 이런 경우는 문맥을 통해 그 의미를 추론해내야 한다: rukkhā chijjanti는 trees are cut down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제 3류활용 동사에 속하는 많은 동사들이 자동사이다. 그래서 가끔 한 단어를 수동으로 간주해야 할지 단순히 자동사로 간주해야 할지 결정하기 어려울 때가 있다. 제 9과에서 나온 hāyati는 몇몇 문법학자들에 의해 ‘is abandoned’를 의미하는 (pa)hīyati에 반대되는 것으로써 ‘감소하다, 작아지다 (diminishes)’, ‘시들다, 말라 죽다 (withers away)’를 의미하는 능동 자동사로 간주한다.
(3) na로 끝나는 과거분사 (Past Participles) (p. 64)
어떤 동사들은 접미사 na가 붙는 과거분사를 갖는다. 이 때 종종 어근의 마지막 자음이 접미사의 자음 n에 동화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chid chinna cut off
dā dinna given
ā-pad āpanna possessing, having
u(d)-pad uppanna happened, arisen
upa-pad upapanna transmigrated, reborn, arisen, come into existence
(p)paṭi-pad paṭipanna engaged in, following, parctising
sam-pad sampanna endowed with, having
bhid bhinna divided, spilt
ni-sīd nisinna seated
hā hīna diminished, eliminated.
(2) (d)dis 와 gam의 과거시제 (aorist) (p. 64)
어근 (d)dis (to see)90)는 어근의 모음을 a로 바꾼 채 ā로 끝나는 활용어미를 가진 과거시제를 갖는다.
단수 복수
3인칭 addasā addasaṃsu, addasāsuṃ
2인칭 addasā addasatha
1인칭 addasaṃ addasāma
A few verbs may form an aorist with double inflections, taking the ā inflection of addasā plus s and some of the inflections found with s aorists. Some of these forms from gam are regularly used, mixed with single forms corresponding to those of (d)dis:
단수 복수
3인칭 agamāsi; he went agamaṃsu (with the double inflection)
2인칭 agamā (이중 활용 없이) agamittha (제1 과거시제 유형을 따름)
1인칭 agamāsiṃ agamamhā
(d)dis 자체로부터 나온 이중활용 형인 addasāsuṃ91) (3rd pl.)이 addasaṃsu와 함께 쓰인다.
어휘
제 1류활용 동사들:
abhi-u(d)-kir abbhukkirati he sprinkles (abhi의 i 다음에 다른 모음이
오는 경우 i 는 가끔 y로 바뀐다. 현재의 경
우는 이 y가 선행하는 자음에 동화된다. 그
래서 abhi-u > abhyu > abbhu 가 된다.)
과거분사들:
cu cuta fallen, passed away
vi-pari-ṇaṃ vipariṇata changed
명사들:
ādādho illness
kārako doer
bhiṅkāro vase, ceremonial vessel
rukkho tree
saṃvaro restraint
cakkaṃ wheel
disā direction
samaññā designation, agreed usage
불변화사들:
āvuso sir ! (같은 연배나 손아래 사람에게 하는 공손한 말)
idha here, in this connection
kuto pana (whence then ? ― 수사의문): much less, let alone
tato thence, then, from there, from that
micchā wrongly, badly (micchā와 sammā는 접미사처럼 동사나 명사와 함께
sammā rightly, perfectly 복합어로 쓰인다.)
연습문제 11 (p. 66)
영어로 번역하라.
1) no kho ahaṃ āvuso addasaṃ. (āvuso; sir !: addasaṃ; 1st sg. aor. of (d)dis - to see,
No, indeed, I didn't see, sir ! p. 64)
2) ayaṃ tathāgatassa pacchimā vācā. (pacchima; latest: vāvā: f. sg. nom.)
This is (was) the last saying of the Tathāgata (thus gone).
3) pāmujjam bhavissati, sukho ca vihāro. (pāmujja; n. delight, joy, happiness)
There will be delight, and (there will be) good dwelling.
4) addasā92) kho bhagavā tā devatāyo. (addasā; 3rd sg. aor. of (d)dis - to see, p. 64)
The fortunate one saw those deities.
5) iminā kho evaṃ bho pariyāyena Jotipālassa māṇavassa Mahāgovindo ti samaññā
udapādi. (udapādi; it arose, aor. of uppajjati: pariyāyo; course: iminā pariyāyena;
through this course (procedure), in this manner, p. 45: samaññā; f. designation.
O Sirs, in this manner, the young Jotipāla came to be called “mahāgovinda”.
[* ti samaññā udapādi; is called (--라고 불리어지다; gen.), the name “ ” arose
(--라는 이름이 생겼다; dat)] ???? 다시 체크할 것.
6) sassato loko.
The world is eteranl.
7) so gacchati dakkhiṇaṃ disaṃ (dakkhiṇā; the south, dakkiṇaṃ f. sg. acc.:
disā; direction, disaṃ f. sg. acc.)
He goes to the direction of the South.
He goes to the South.
8) kusalan ti pi no bhavissati, kuto pana kusalassa kārako.
* kuto pana; much less, let alone, whence then ? (수사의문문)
“There will not be the good, let alone (there will not be) the doer of the good.”
9) ahaṃ kho maggaṃ agamāsiṃ. (agamāsiṃ: 1st sg. aor. of gam)
Indeed, I went to the path. (x) Indeed, I went on/by the path. (o)
(* magga (the path)는 팔정도를 의미함)
10) kalyāṇaṃ vuccati brāhmaṇa.
(kalyāṇaṃ; n. goodness, merit, virtue, welfare: vuccati; to be said or called)
O brāhmaṇa, it is well said. (x)
O brāhmaṇa, benediction (benedictory verse) is being uttered. (Joshi)
(kalyāṇaṃ; 축복을 기원하는 기도문을 의미)
11) atha kho rājā Mahāsudassano vāmena hatthena bhiṅkāraṃ gahetvā dakkhiṇena hatthena cakkaratanaṃ93) abbhukkiri.
* abbhukkirati는 ‘--을 솟다, 붓다’는 의미인데 문맥을 통해 이 단어의 직접목적어가 물(water)임을 알아차려야 한다.
Then, King Mahāsudassana, having taken the ceremonial water vessel in his left hand, sprinkled (water) over the wheel-gem with his right hand.
12) idaṃ kusalaṃ. This is good. This is the good.
13) ayaṃ Jambudīpo94) iddho c’ eva bhavissati phīto ca.
This India will be prosperous, and also (will be) rich.
14) micchā paṭipanno tvaṃ asi, aham asmi sammā paṭipanno.
(paṭipanna: p.p. of paṭipajjati, engaged in, following, practising)
You are following wrongly, I am following rightly.
You are practising wrongly, I am practising rightly.
15) so tato cuto idhūpapanno.95)
(tato; from there, thence, then, from that, p. 65: cuto; pp. of cavati - pass away;
idha; here, in this world: upapanno; pp. of upapajjati - to be reborn in, to rise)
He passed away from there, came into existence here (in this world).
16) addasā paribbājako bhagavantaṃ āgacchantaṃ.
(addasā: 3rd sg. aor. of dakkhati (dis + a) - to see:
paribbājaka; m. wandering religious mendicant.)
The wanderer saw the fortunate one (who was) coming.
17) saññā uppajjanti pi nirujjhanti pi. (uppajjati; it happens, it arises, it becomes:
nirujjhati; it stops, it ceases, p. 63:
saññā; f. pl. nom. sense, perception)
Perceptions cease as well as arise.
18) bhagavato ābādho uppajji. (bhagavato; m. sg. dat. & gen. 여기서는 dat.로 쓰임)
Illness arose to the fortunate one.
19) saṃvaraṃ āpajjati. (āpajjati; to gey into, to undergo, to meet with,)
he acquires, he gets, he produces, he has(가지다는 의미
일 때는 자동사, p. 62)
He undergos the restraint.
He attains to the restraint.
20) ahaṃ kho kammaṃ akāsiṃ. (akāsiṃ; 1st sg. aor. of karoti)
I indeed did work.
kammaṃ kho pana me karontassa kāyo kilanto, handāhaṃ96) nipajjāmi.
(* me karontassa; 절대속격으로 해석: handāhaṃ = handa + ahaṃ)
(* nipajjāmi: 1st, sg. present; 1st, sg. imperative, 여기서는 imperative로 쓰임)
And now, while I was donig the work, my body was tired, let me lie down.
21) imaṃ mayaṃ addasāma idha upapannaṃ. (* imaṃ: m., f. sg. acc; n. sg. nom. acc.)
(* upapanna; transmigrated, reborn, arisen, come into existence.)
(이 문장은 imaṃ (him)이 강조되어 문두로 나간 형태를 취하고 있다.)
(구문론적으로 보자면 upapannaṃ은 pp.의 형태로 형용사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이
문장은 단문이다.)
We saw him reborn here.
빠-리어로 번역하라.
1) The universe is infinite. loko ananto (hoti).
ananto loko.
2) This is not easy (use the neuter: impersonal statement)
na idaṃ (imaṃ) sukaraṃ (hoti).
3) I followed the road. ahaṃ maggaṃ agamāsiṃ.
4) The king saw the boy. rājā kumāraṃ addasā.97) (p. 64)
5) The city was prosperous. nagaraṃ phītaṃ ahosi.
nagaraṃ ahosi phītaṃ.
6) He (is) fixed, permanent, eternal (four words, order as here)
so dhuvo nicco sassato (hoti).
dhuvo so nicco sassato (hoti).
7) We saw the fortunate one. mayaṃ bhagavantaṃ addasāma.
8) The speech (is) agreeable. bhāsitaṃ (vacanaṃ) kantaṃ (hoti).
9) My life (was) given by him (he spared my life), his life (was) given by me (I spared his life).
mama jīvaṃ tena (iminā) dinnaṃ, tassa (assa) jīvaṃ me dinnaṃ. (x)
jīvitaṃ jīvitaṃ
tena me jīvitaṃ dinnaṃ, tassa mayā.
(ins.) (dat.) (dat.), (ins.)
(tena가 문두에 온 것은 me가 문두에 올 수 없고 항상 두번째 위치에 오기 때문이며, tassa mayā 뒤에는
문맥상 알 수 있기 때문에 jīvitaṃ dinnaṃ이 생략됨. 그리고 영어의 소유격 my가 빠-리어에서는 여격으
로 쓰였음에 주의할 것. 이 문장을 능동문으로 바꾸면 so mayaṃ mama jīvitaṃ adāsi, . . . 가 된다.)
10) See ! Ānanda - They (are) past, ended, changed.
passa (passāhi) Ānanda te atītā niruddhā vipariṇatā (honti).
11) He has much gold.
(1). pahūtaṃ suvaṇṇaṃ assa (tassa) hoti. (assa; gen. of possessive)
(2). assa98) (tassa) pahūtaṃ suvaṇṇaṃ hoti.
(3). tassa pahūtaṃ suvaṇṇaṃ hoti. (o) * He가 강조되고 있기 때문에 이 문장이 좋다.
제 12과 (p. 67)
(1) 여격 (Dative Case)
1) 네번째 즉 여 (catutthī, sampadāna)격은 행위가 이루어지는 목적과 어떤 것이 주어지는 사람 (간접목적어)을 나타내기 위하여 쓰인다.
2) 여격은 어떤 일이 누구를 위해서 이루어지거나 일어나는 어떤 일이 누구에게 이익을 가져다주는 경우에 이 누구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익의 여격).
3) 여격은 또한 많은 개별적인 동사들과 같이 쓰일 수 있다. (아래를 보라.)
4) 여격인지 소유격인지 구별이 잘 안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이 격이 다른 명사와 관계하고 있으면 소유격이고 동사와 관계하고 있으면 여격이다.
5) 모든 곡용에서 소유격 형태는 또한 여격을 위해서도 사용되지만, 이것과 함께 a로 끝나는 남성과 중성 단수를 위한 특별한 여격 활용어미가 있다:
주격 여격
piṇḍo piṇḍāya, piṇḍassa
nibbānaṃ nibbānāya, nibbānassa
6) 여격을 나타내는 활용어미 āya 는 목적을 나타내는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99):
gāmaṃ piṇḍāya pāvisi = he entered the village for alms.
7) 여격과 함께 쓰이는 동사는 다음과 같다. 우리는 여격을 취하는 다른 단어들과 여격과 같이 쓰이는 잡동사니의 문장구조들도 여기서 같이 언급하도록 하겠다.
① 여격은 ‘to please’를 의미하는 (k)kham이란 동사와 같이 쓰인다 (이 문장구조에서 ‘누구’에 해당하는 단어가 여격이 된다).
② 그리고 동일한 동사 (k)kham이 ‘to forgive’를 의미할 때도 여격과 같이 쓰인다 (이 문장구조에서는 누구에 해당하는 것이 여격이 되고 무엇을 에 해당하는 것은 목적격이 된다). * 누구에게 무엇을 (죄를) 용서하다.
③ ‘to ascent to (someone)’을 의미하는 동사 (p)paṭi-(s)su는 여격과 같이 쓰인다.
④ 여격은 to serve, attend on/to someone or something (여격)을 의미하는 동사 upa-(ṭ)ṭhā가 특히 사역활용 (제 13과)으로 쓰이는 경우 같이 쓰인다.
예: to cause nourses to attend to the boy (여격)
to cause the mind to attend to knowledge
⑤ 동사 dhar가 hold for/over을 의미할 때 숨겨진 (sheltered, ????)사람이 여격으로써 이 동사와 같이 쓰인다.100) * hold for/ over = take support
⑥ 이 동사 (dhar)가 owe를 의미하는 경우, ‘무언가를 누구에게 빚지다’는 문장구조에서 ‘누구에게’ 해당하는 부분이 여격을 취한다.
⑦ 동사 ā-ruc (to inform)는 정보를 받는 사람을 여격으로 취한다 [한편 ā-mant (to invite, to call)는 목적격을 취한다].
⑧ to be angry at (kup 등등)101), to curse (sap), to long for (pih), to be clear to [(p)pa-(k)khā; visible, apparent], to appear to [pātu(r)-bhū; manifest] 등을 의미하는 동사들은 여격을 취한다.
8) (동사에서 나온) 형용사 piya (dear)는 ‘누구에게’에 해당하는 여격의 단어를 취한다.
9) for the shake of (위에 나온 목적을 나타내는 여격)는 노력의 대상이 되는 소유격의 사람이나 사물이 atthāya 앞에 붙어서 표현된다.102)
10) 불변화사 alaṃ (sufficient, enough, adequate, perfected)은 여격을 취한다. 충분하다 [sufficient; 어떤 목적을 위해서]는 일반적인 의미외에 이 alaṃ은 ‘누구에게 충분하다, 충분하고도 남는다’라는 구문에서 여격을 취하는 ‘누구에게’와 함께 거절 또는 반대를 (‘enough !’ = ‘stop’, ‘I won't’ 등등) 의미하는 숙어로 쓰인다 (I won't = alaṃ me; it is sufficient for you = alaṃ vo)
11) 부정을 나타내는 분사 (미래 수동; 제 16과를 보라.)로써 ‘inable’, ‘incapable’을 의미하고 형용사 기능을 하는 abhabba는, 행해질 수 없는 행위가 행위명사로 쓰이는 경우, 여격의 이 명사를 취한다.
12) 좋은 바람이 표현될 때 바램이 표현되는 대상이 되는 사람을 여격으로 쓴다.
예문: may there be (hotu) long life for him.
good luck to you (bhaddaṃ bhavato hotu)
welcome to you (svāgataṃ bhavato hotu).
13) svāgataṃ (welcome)과 마찬가지로 불변화사 sotthi (safety, safely)와 namo103) (‘hail !; 만세 !’)는 여격을 취한다.
14) 많은 표현에서 여격으로 쓰였는지 소유격으로 쓰였는지 의심이가는 수가 있다. 현대 유럽의 언어학자들은 주로 다른 원리를 따르기 때문에 몇가지 예에 있어서 인도 언어학자들의 분류에 동의하지 않는다. 그러나 옛 주석가들과 문법학자 자신들도 모든 점에 의견을 같이하고 있지는 않다. ‘to have’ (제 10과)를 의미하는 소유격은 여격으로 간주되어 왔고 (이것은 유럽언어에서, 특히 불어와 독어에서, 자주 등장하며 언어학자 자신들의 언어 사용법을 반영하고 있다.), (p)paṭi-(s)su [to ascent to (someone)]와 같이 쓰이는 여격은 소유격으로 간주된다 (이 구조를 speech를 의미하는 단어가 생략된 것으로 설명하는 몇몇 옛 주석가들에 의해서). 명사 ‘vippaṭisāro (regret)’는 여격의 후회하는 사람을 취한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두 명사 사이의 단순한 관계로 간주될 수도 있다: rañño . . . vippaṭisāro; (there may be) regret . . . to/of the king = the king may regret. 몇가지 비슷한 예들이 있는데 이 경우에 해당하는 주된 기준은 이것이 (명사와 관계된) 형용사적으로 쓰인 경우는 소유격이 되고 동사와 관계된 부사적으로 쓰인 경우는 여격이 된다. 형용사와 부사의 접경에 있는 단어들은 댜양하게 해석될 수 있다. 그래서 동사적인 명사와 동사적인 형용사들은 (해석을 할 때) 더 많은 모호성을 가져다 준다. 사실 절대적이고 변치않는 여격이나 소유격은 없다. 문법학자들이 그들 자신의 설명 원리를 만들고 적절히 자신들이 발견한 구조들을 분석한 것일 뿐이다.
15) 부정사 (제 19과)도 의미에 있어서 목적을 나타내는 여격과 부분적으로 일치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16) 여격과 같이 쓰이는 매우 중요한 숙어로써 ‘무엇을 위한 적절한 시간’, ‘무엇을 위한 기회’를 나타내는 것이 있다. 그래서 etassa kālo는 ‘it is the time for this’, ‘it is the right time for this’; akālo . . . yācanāya는 ‘it is not the right time for asking’; yassa dāni kālaṃ maññasi104)는 문자그대로 ‘for which you think it is now (dāni) the right time’을 의미한다. 마지막 표현은 (공식적으로) (일의 압박 때문에 미안해하며 떠나려는 손님에게 주인이 하는) 작별인사에 아주 많이 쓰인다. 이것은 대충 ‘well, if you really must go . . .’에 해당한다. 이것은 또한 “원하신다면 언제든지 떠날 수 있읍니다 (you can start whenever you wish)”를 의미하는 준비가 완료되었다는 것을 주인에게 알리는 하인에 의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2) (s)su의 과거 (Aorist) (p. 70)
동사 (s)su의 과거시제는 다음과 같이 할용한다.
단수 복수
3인칭 assosi; he heard assosuṃ
2인칭 assosi assuttha
1인칭 assosiṃ assumha
(비고: 제 4과에서 언급되었던 과거시제의 두번째 유형에 속하지만 여기서는 접두모음자가 있음에 유의할 것.
cf. hū)
(p)paṭi-(s)su의 과거시제는 paccassosi105)이다.
(3) 관계대명사 (Relative Pronoun) (p. 70)
관계대명사는 지시대명사 so, sā, taṃ, 또는 tad와 마찬가지로 세가지 성에 따라 곡용하는 어간 ya (who, which)를 갖는다.
단수 복수
남성 중성 여성 남성 중성 여성
주격 yo yaṃ, yad yā ye yāni yā
목적격 yaṃ " " yaṃ " " "
기구격 yena yena yāya yehi yehi yāhi
여격 yassa yassa yassā yesaṃ yesaaṃ yāsaṃ
소유격 " " " " " "
관계대명사는 대부분 관계절에 사용되지만 격의 형태 가운데 어떤 것들은 불변화사로도 쓰인다. (p. 118, 119)
(4) 관계절 (Relative Clause) (p. 70)
1) 관계절 (aniyamuddesa)은 빠-리어에서는 ‘종속절 (subordinate clause)’이라는 규칙적인 형태이다 (분사와 동명사를 가진 절도 또한 자주 사용된다 ― cf. 제 8과 ― 그러나 이것은 종속절과 같은 종류가 아니다). 이러한 용법은 아주 빈번히 사용된다. 관계사 (대명사 또는 yattha (where)와 같은 불변화사)에 의해 이끌려지는 종속절과 지시사 (niyamato paṭiniddesa)에 의해 이끌려지는 주절로 문장이 분절되는 것이 빠-리어의 두드러진 특징이다.
2) 복문(periods)은 관계절, 지시절, (ca와 같은 접속 불변화사에 의해 연결된) 등위절, 직접화법 등등의 결합에 의해서 만들어질 수 있다. 문장과 마침표 구문의 사용법은 문장구조의 주요소들이 공부되고 그래서 함께 복습될 수 있을 때 제 27과에서 보다 강도 높게 탐구될 것이다. 불변화사를 가진 관계절 구문의 보다 자세한 복습은 또한 거기에서 이루어질 것이다.
3) 관계절은 일정하게 주절 앞에 온다. 관계사가 절을 이끌지만, 전체 문장을 이 전체 문장의 일부를 구성하는 이야기체 부분에 연결시키는 불변화사가 관계어 앞에 올 수도 있다.
예: atha kho ye icchiṃsu te akaṃsu = then (indeed) those who wished, worked
(문자그대로는 . . . who wished, they worked.)
4) 관계대명사는 자신이 언급하는 명사나 지시대명사와 반드시 성과 수가 일치해야 한다. 그러나 관계대명사는 자신의 관계절이나 문장 내의 단어를 연결시키는 어떤 격으로도 쓰일 수 있다. 예: yena dvārena nikkhami taṃ Gotamadvāraṃ nāma ahosi.106)
= the gate by which he left was called Gotama Gate
(by which (ins.) gate he left, that (nom.) Gotama Gate named was)
5) 지시대명사 뿐만아니라 다른 대명사들도 상관사의 역활을 한다. 예를 들면 인칭대명사와 대명사적 형용사 (아래를 보라) sabba (all)가 여기에 속한다.
예: ye . . . ahesuṃ, . . . sabbe . . . bhakkhesi
= those . . . who were there, . . . he devoured [bhakkh (VII)] them all.
6) 가끔 주절이 상관사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 (물론 이것은 이것이 가지고 있는 직접화법과 같은 특별한 행태에 의존한다.), 데체로 상관 지시사는 사용된다. 주절 내에 있는 (제목을 가진) 고유명사는 매우 빈번히 지시사 없이 사용된다.
7) 관계사의 반복은 그 절의 내용이 보편적임을 나타낸다: yo yo = whoever. 상관사 또한 반복될 수 있다. 예: yo yo . . . ādiyissati tassa tassa . . . anuppadassāmi107).
= whoever will take . . . to him I will grant . . .
8) 관계대명사 바로 뒤에 오는 지시대명사는 강조적으로 쓰인다 (제 5과 so ’haṃ 과 비교하라): yo so = ‘he who’, ‘that which’. 그래서 우리는 강조 지시사와 상관 지시사를 가진 더 많은 복합문을 가질 수 있다. 아래의 예문은 끝에 직접화법으로 된 절을 가지고 있다.
yo so satto paṭhamaṃ108) upapanno, tassa evaṃ hoti: ahaṃ asmi brahmā.
= that being who has come into existence first (in the evolution of the universe)
thinks he is God. (“Who that being first is reborn, has this taought: I am God.”)
(tassa; m. sg. dat. or gen. of ta = he, that)
(5) 관계 불변화사 (Relative Indeclinables) (p. 72)
1) yattha, yathā (as), yadā (when), yadi (if), yato (whence, because, since)와 같은 불변화사 외에도, 관계대명사의 어떤 형태는 자신들의 일반적인 용법외에 불변화사로도 쓰인다.
2) 그래서 중성 단수 주격, 목적격 형태 (특히 yaṃ)는 다양하고 비인칭적인 의미를 가진 that, what로 쓰인다.
3) hoti kho109) so samayo yaṃ . . . ayaṃ loko vivaṭṭati = there is indeed the (so) time that (i.e. when) . . . this world evolves. (여기서는 관계절이 주절 다음에 오는데 이것은 elevated speech이거나 주절을 강조하는 것이다. 주절은 주어/동작주로써 samayo를 가지고 있고, 종속절은 loko를 가지고 있다. loko절이 종속절이라는 것은 이 종속절이 시작되는 yaṃ에 의해서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종속절에는 some time, after a long time이란 말이 생략되어 있다.)
4) yaṃ은 무엇이 가능하다는 진술을 표시하는 ṭhānaṃ etaṃ vijjati (p. 63)라는 표현 다음에 빈번히 나타난다. ṭhānaṃ etaṃ vijjati yaṃ . . . = it is possible that . . . (물론 여기서 yaṃ은 지시사 etaṃ을 가진 상관사로 간주할 수도 있다.)
5) yad는 다른 불변화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사용된다. 중성 대명사 yad와 tad는 다음에 오는 단어가 구문론적으로 이들과 밀접한 관계가 있을 때 취하는 taṃ과 yaṃ의 연결형 (junction forms)이다. yad idaṃ (다른 지시사를 가진 남성형 yo so와 비교하라.)= which that는 ‘that is’, ‘i.e.’, ‘as for example’, ‘as’, ‘such as’, ‘to wit’를 의미하는 불변화 강조 지시사로 쓰인다.
6) 동작동사와 같이 쓰인 기구격 yena는 where, towards를 의미한다 [방법의 기구격 (by which)와 비교하라]. 이 yena는 주격을 지배한다 (제 1과 p. 14 참조). yena가 두번 겹쳐 쓰었을 때는 whenever를 의미한다: yena yena gacchati = whenever he goes. yena는 종종 동사 앞에 오는 상관사 tena와 함께 쓰인다: yena gāmo tena upasaṃkami = he approached the village.
(6) 의문대명사 (Interrogative Pronoun) (p. 73)
1)의문대명사는 어간 kiṃ (who ?, which ?, what ?)을 가지고 있으며 다음과 같이 곡용한다.
단수 복수
남성 중성 여성 남성 중성 여성
주격 ko kiṃ kā ke kāni kā
목적격 kaṃ kiṃ kaṃ " " "
기구격 kena kena kāya kehi kehi kāhi
여격 kassa, kassa, kassā kesaṃ kesaṃ kāsaṃ
kissa kissa
소유격 " " " " " "
2) (가끔 현대의 편집자들은 학생들을 돕기위하여 자신들의 책에 의문부호를 접어넣기도 하지만) 빠-리어에는 의문부호에 해당하는 것이 없다. 일반적인 규칙으로써 어떤 문장이 의문을 나타내는 단어를 포함하고 있으면 전체 문장이 의문문이 된다. 그러나 악간의 의문문은 의문을 나타내는 단어를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문맥을 통해 이것이 의문문임을 알아차려야 한다 (연습문제 9의 예문을 보라).
3) 가끔 어순의 도치가 일어나기도 한다.
예문: khamati te idaṃ = dose this please you ?, do you approve of this ?
(te; 2nd sg. ins. dat. gen.)
(idaṃ me khamati = this pleases me, I like this.)
(me; 1st sg. ins. dat. gen.)
4) 중성 단수형인 kaṃ은 가끔 그저 그 문장을 의문문으로 만드는 불변화사로 쓰인다 (이것은 영어에서 문장을 도치시킨 다음 의문부호를 다는 것과 같다).
예문: kaṃ saddaṃ assosi = Did he hear the noise ?
빠-리어는 직접화법을 선호하기 때문에 kiṃ saddaṃ assosī ti는 . . . (he asked) whether he heare the noise라고 번역될 것이다.
5) 의문사는 보통 그 절의 문두에 위치한다. 또한 아래의 어휘에 나오는 불변화사 nu와 api (14과의 어휘편에 나옴)와도 비교해 보라.
(7) 대명사적 형용사 (Pronominal Adjectives) (p. 74)
어떤 대명사들은 (이것들은 대명사와 형용사의 기능 둘다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끔 ‘대명사적 형용사’라고 불린다.) ya(d)의 곡용을 따르고 그래서 남성 복수 주격, 여격, 소유격의 곡용형이 형용사와 다르기 때문에 세심하게 형용사와 구별되어야 한다. 이와같이 sabba (all)로부터 우리는 단수 주격형인 sabbo (남성), sabbaṃ (중성, 유일한 형태), sabbā (여성), 그리고 ye와는 같고 kusalā (남성 복수 주격), kusale (남성 복수 목죽격)와는 다른 남성 복수 주격, 목적격인 sabbe, 또한 남성 복수 여격, 소유격인 sabbesaṃ (cf. yesaṃ, kusalānaṃ)을 가지게 된다.
비슷하게 곡용하는 대명사들:
añña other
aññatara a certain, a
apara another
para other, another
sabba all, entire
어휘
동사들:
ā-kaṅkh (I) ākaṅkhati he wishes
(k)kham (I) khamati it pleases, it suits, he approves,
he likes (여격의 사람과 같이 쓰임)110)
ni(r)-(k)kam (I) nikkhamati111) he goes out, he leaves
saṃ-ni-pat (I) sannipatanti they assemble
upa-ḷas (VII) upaḷāseti he plays, he sounds
(to exercise
an art)
명사들:
upasamo clam
janapado country
jīvo life-principle, soul
paccantajo borderer, foreigner
saṅkhadhamo conch blower
dassanaṃ seeing
phalaṃ fruit
형용사들:
kamanīya lovely
paccantima bordering, foreign
madanīya intoxicating
rajanīya exciting
불변화사들:
ajja today
ambho sir ! (not very respectful)
taṃ then, so, now [부사적으로 사용된 ta(d)의 목적격]112)
nu ? [앞말의 일부처럼 발음된다. 의문대명사를 강화시키는 의문 불변화사
(particle)113) 또는 의문문을 만들기 위하여 다른 불변화사들과 결합되는
의문불변화사: nanu; (is) not ?; 또는 by itself = does ?)
yathā as, how
연습문제 12 (p. 76)
1) yen’ ajja samaṇo Gotamo dvārena nikkhamissati taṃ Gotamadvāraṃ nāma bhavissati.
By which gate the ascetic Gotama will leave today, that Gotama Gate named will be.
The gate by which the ascetic Gotama will leave today, will be named Gotma Gate.
(taṃ; n. sg. nom.)
2) vatthāni pi’ ssa na yathā aññesaṃ.
(aññesaṃ; m. pl. dat. gen. of añña = other, p. 74 sabba를 참조)
(vatthāni; n. pl. nom. acc. of vattha = a cloth, garment)
(assa; ① m. n. sg. dat. gen. of ayaṃ, tad: ② 2nd, 3rd sg. opt. of atthi)
(yathā; ind. as, how, like, just as)
His clothes too are not like (those) of others.
His clothes too are unlike (those) of others.
3) imassa ko attho. (ko; m. sg. nom. of kiṃ = who ?, which ?, what ?)
What is the meaning of this ? What is the purpose of this ?
4) mayaṃ yaṃ icchissāma taṃ karissāma. (taṃ; n. sg. acc.)
We will do what we wish. (직역: 우리는 바라는 바의 것 그것을 할 것이다.)
5) kissa nu kho me idaṃ kammassa phalaṃ, kissa kammassa vipāko.
(subj.)
(kissa; m. n. sg. dat. gen. of kiṃ = who ?, which ?, what ?)
(kissa, me, kamassa = gen. 소유를 나타냄. Ex. I have kamma. 이때 have동사는 소육
격으로 표현된다. 마찬가지로 이 문장에서도 영어에서 “Kamma has fruit”로 표현되는
것이 소유격으로 표현되어 kammassa phalaṃ으로 됨.
(nu; ? 앞말의 일부처럼 발음된다. 의문대명사를 강화시키는 의문불변화사 또는 의문문
을 만들기 위하여 다른 불변화사들과 결합되는 의문불변화사:
nanu; (is) not ?; 또는 by itself = does ?)
Of which my action is this fruit ? of which (my) action (is this) effect ?
To which my action does this fruit belong ? to which (my) action (does this)
effect (belong).
6) taṃ kiṃ maññanti114) bhonto devā.
(taṃ: m., n., f., acc. 그러나 taṃ이 kiṃ 앞에 오는 경우는 불변화사로 쓰여 ‘then’,
‘therefore’, ‘in that context’라는 의미를 갖는다; kiṃ: n. sg. acc.; maññati: to
imagine, to be of opinion; bhonto: m. pl. nom. respectful address of bhavant, p. 35,
47)
My honourable gods, what do they think ? (x)
O Ven. gods, then what do you think ? (o)
7) n' atthi paro loko. = There is no another world.
8) ko 'si tvaṃ āvuso. = Who are you [sg.], sir ? (x) (당신은 누구입니까 ?)
Who are you [sg.], Friend ? (o)
* āvuso는 비슷한 나이의 사람에게 쓰이기 때문에 ‘Friend’라는 번역이 좋다.
9) kiṃ kusalaṃ kiṃ akusalaṃ. = What is the good, what is the bad ?
10) ke tumhe. (ke; m. pl. nom. acc.: tumhe; 2nd pl. nom. acc.)
Who are you [pl.] ? (당신들은 누구입니까 ?)
11) rājā samāno kiṃ labhati. * samāno; (1). pr. p of √as, m. sg. nom. (o)
(2). adj. equal, same, similar. (x)
What does the same king gets ? (x)
What one gets (being) as a king ? (o)
As a king, what does he get ? (o)
12) iminā me upasamena Udāyibhaddo kumāro samannāgato hotu.115)
(hotu: 3rd sg. imper. of hoti, p. 35; upasama: m. calmness, appeasement;
samannāgata: pp. be endowed with, be possessed of;)
May my prince Uhāyibhadda be endowed with this calmness.
13) puccha mahārāja yad ākaṅkhasi.
(puccha; 2nd sg. imper. of pucchati = to ask, to question:
yad; n. sg. acc. 모음 앞에서 yaṃ > yad)
Ask what you wish, Your Majesty.
14) karoti te bhagavā okāsaṃ. (어순을 도치시켜 의문문을 만드는 경우 --(x))
(karoti가 3인칭 단수이므로 주어는 bhagavā임)
(te: 2nd, sg. dat)
Does the Exalted One give an opportunity to you ? (x)116)
The Exalted One gives a chance to you.
cf) karoti bhagavā te okāsaṃ. (te: 3rd, pl. nom. acc.)
15) yaṃ kho ’ssa na kkhamati117) taṃ pajahati. (assa; n. sg. dat. gen. of ima = this)
(* khamati는 여격의 사람과 함께 쓰인다; tassa taṃ na kkhamati
= He does not like it.)
He abandons what he does not approve of.
He abandons what he does not like.
빠-리어로 번역하라.
1) He gave to me. so me (mama, mayhaṃ, mamaṃ) adāsi (dadi, adadi).
2) Prince Udāyibhadda (is) dear to me. Udāyibhaddo kumāro me piyo (hoti).
[piya (dear)는 여격의 사람과 같이 쓰인다]
3) The fortunate one, taking a bowl, entered the village for alms.
pattaṃ ādāya, bhagavā piṇḍāya gāmaṃ pāvisi. ( -āya; 목적을 나타내는 여격)
pattaṃ ādāya, bhagavā gāmaṃ piṇḍāya pāvisi.
4) He teaches the doctrine for “extinction”.
so dhammaṃ atthagamāyo (nibbānāya) deseti. atthagamāyo (x)
so nibbānāya dhammaṃ deseti. (정확히 우리말의 구조와 일치한다.)
5) He eats what he likes. yaṃ assa khamati taṃ bhuñjati (khādati). (o)
assa yaṃ khamati taṃ bhuñjati (khādati). (o)
(khamati는 여격의 사람과 같이 쓰임; assa khamati = He likes)
6) Then (atha) the gate by which the fortunate left was named Gtama Gate.
yen’ atha dvārena bhagavā nikkhami taṃ Gotamadvāraṃ nāma āsi. (x)
yen’ atha bhagavā dvārena nikkhami taṃ Gotamadvāraṃ nāma āsi. (x)
atha yena dvārena bhagavā nikkhami taṃ Gotamadvāraṃ nāma ahosi. (Joshi)
* āsi = was; ahosi = became.
* atha (then)가 앞 문장과 연결되어 사용되는 경우 관계대명사 앞에 올 수 있다.
7) What do you think, then, great king ?
taṃ kiṃ atha maññati mahārāja. (x) taṃ kiṃ maññasi mahārāja. (o)
* taṃ이 then을 의미하기 때문에 atha를 쓸 필요가 없고, 왕한테 신하나 일반 백성들이 묻는 경우는 존경을 표시하기 위하여 2인칭 동사 대신 3인칭 동사를 쓰지만, 부처님이나 당시의 승려, 사제들 또는 수행자들이 왕한테 묻는 경우는 존경을 표시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2인칭 동사를 그대로 쓴다.
8) We came here to see the honourable Gotama.
mayaṃ bhavantaṃ Gotamaṃ passituṃ idh’ āgamha. (past)
mayaṃ bhavantaṃ Gotamaṃ dassanāya idh’ upasaṃkamimhā. (past)
mayaṃ bhavantaṃ Gotamaṃ dassanāya idh’ upasaṃkantā. (pr. p., nom.)
(* dassana: action noun, p. 138 - 행위자 명사는 목적격이나 목적을 나타내는 소유
격으로 된 수동주 (행위의 직접목적어)를 취할 수 있다.)
9) Did you hear a noise, sir ? I didn't hear a noise, sir !
(1) assu (assosi) bho (bhante) saddaṃ. (x) su [śru]의 과거는 p. 70에 있음.
= kiṃ bho saddaṃ assu. (x)
kiṃ bho saddaṃ assuṇātha (2nd pl). (Joshi) ????
* bho가 2인칭 단수이지만 존경의 의미가 있기 때문에 동사는 2인칭 복수를 사용.
(2) no ahaṃ bho saddaṃ assuṃ (asuṇiṃ, assosiṃ). * asuṇiṃ이 일반적으로 쓰임.
= na ahaṃ bho saddaṃ assuṃ (asuṇiṃ, assosiṃ).
= ahaṃ bho saddaṃ na assuṃ (asuṇiṃ, assosiṃ).
10) We do not see his soul leaving.
mayaṃ assa jīvaṃ nikkhamantaṃ na passāma.
na mayaṃ assa jīvaṃ nikkhamantaṃ passāma.
na passāma mayaṃ assa jīvaṃ nikkhamantaṃ.
제 13과 (p. 77)
(1) 복합어 (Compounds)118)
1) (분사, 형용사, 대명사를 포함한) 명사는 결합되어 빈번히 복합어 (samāsa)가 된다119). 2) 복합어에서는 단지 마지막 명사만 곡용을 하고, 이 마지막 명사 앞에 전철로 붙는 것들은 보통 어간형이다.120)
3) 복합어는 문장내에서 문법적으로 마치 한 단어인 것 같은 기능을 한다. 그러나 의미는 종종, 마치 복합된 단어들이 문장내에서 분리된 단어들인 것 처럼, 이 복합어를 형성한 단어들의 의미가 결합된 것으로 나타난다.
4) 전철로 쓰인 곡용하지 않는 맴버는 문맥에 따라서 단수도 되고 복수도 될 수 있다.
5) 자주는 아니지만 가끔 복합된 단어들은 특별하고 제한된 의미를 갖는다.
6) 영어에서 ‘지빠귀 (blackbird)’는 복합어이지만, 이것은 어떤 특별한 종의 새를 의미하는 것이지 어떤 검은 새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비록 이 단어가 보다 느슨하게 사용될 지는 몰라도 동일한 내용이 ‘메뚜기 (grasshopper)’에도 적용된다.
7) 한편 ‘정신병원 (madhouse)’은 ‘미친사람을 위한 집 (병원)’ (또는 유사한 장소)를 의미한다.
8) ‘못에 사는 생물 (pondlife)’은 못에서 살고 있는 모든 동물과 식물을 포함한다.
9) 영어에서 또 다른 형태의 복합어로 ‘14 (fourteen = four and ten)’, 흰 도료가 칠해진 (whitewashed = heving a white wash on it, as a building), --와 나란히 (alongside = along the side of), 열 두달 (twelvemonth = a collection of twelve months, a year)가 인용될 수 있다.
10) 영어의 grasshopper, fourteen, blackbird, whitewashed, alongside, twelvemonth에 해당하는 빠-리어의 여섯가지 복합어 [六合釋 (육합석)]는 제 13, 15, 16, 19, 25, 26과에서 각각 설명될 것이다.
11) 복합어를 포함한 빠-리어의 문장들을 이해하기 위하여, 복합어는 복합어를 구성하는 맴버들 사이의 관계와 복합어와 문장의 다른 단어들 사이의 관계에 따라 분류된다.
(2) 의주석 (依主釋; Tappurisa Compounds) (p. 77)
1) 의주석으로 알려진 분류에서 (영어에서는 이 복합어에 해당하는 단어가 고안되지 않았기 때문에 빠-리어로된 이름121)을 그대로 쓴다.) 선행하는 맴버는 뒤에 오는 맴버와 직접적인 관계로 연관되어 있다.
2) 복합어 전체는 문법적으로 명사의 기능을 한다. 영어의 예로 ‘madhouse’가 이것을 보여준다. 빠-리어에서 for the mad에 해당하는 관계는 여격 (목적)으로 표현되는데, 만약 복합어가 없다면 선행하는 단어가 여격으로 나타나게 된다.
3) ‘grasshoper’의 예에서 ‘in the grass’를 나타내는 관계는 처소격 (제 16과)으로 표현된다.
4) 빠-리어에서는 어떤 격관계도 의주석으로 나타날 수 있는데 소유격 관계로 된 의주석이 가장 많다. 그것은 소유격이 두 명사 사이의 관계를 표현하는 일반적인 격이기 때문이다. 소유격 관계는 매우 일반적이거나 모하할지도 모른다. (소유격 관계를 제외한) 다른 격 (관계)들은 매우 특별한 관계를 나타내는데, (두번째 명사가 다소 동사적일 때는) 행위를 나타내는 관계를 의미하게 된다.
예: brāhmaṇaparisā = an assembly of priests ( priest-assembly)
rājaputto = son of a king (kingson), prince.
(an으로 끝나는 어간은 복합어에서 n을 잃게 된다.)
5) 복합어가 명사일 때 복합어의 마지막 단어는 보통 원래의 성을 간직한다.
6) 마찬가지로 분사가 tappurisa 복합어 (의주석)의 마지막 맴버로 온다. 그리고 복합어의 첫 맴버가 이 분사의 수동주 (직접목적어)일 때는 목적격 관계를 나타내듯이, 다른 격 관계들이 가장 자주 발견되는 것도 바로 이 tappurisa 복합어 (의주석)에서 이다.
7) (아마 많은 영어권 사람들이 은어 (jargon)라고 간주하는 약간의 현대 스타일을 제외하고는 영어에서 보다 훨씬 더 자우롭게) 빠-리어에서 복합어는 매우 자유롭게 만들어진다. 복합어는 두 맴버 (= 단어)에 한정되지 않고, 세개의 단어로된 복합어나 그 이상의 단어로 된 복합어 등 결합관계가 다양하며 아주 일반적이다.
예: kūṭāgārasālā = hall of the house with a gable (kūṭo)122)
(3) 사역활용 (Causative Conjugation) (p. 78)
1) 동사의 어떤 특별한 활용은 누군가 또는 어떤 다른 것이 어근의 행위를 하도록 시키거나, 어떤 것이 행해지도록 시키는 의미를 가지는데 이것을 사역동사 (causative)라 한다.
2) (형성과정과 활용에 있어서) 이 사역동사는 공식적으로 빈번히 제 7류활용 동사들과 일치한다. 마치 수동동사가 제 3류활용 동사들과 일치하는 것처럼. 그러나 가끔 어근에 붙는 구별이 분명한 사역접미사 (ā)p가 있다.
3) 일반적인 직설법 현재시제를 만들기 위해 어떤 활용형으로든 활용되는 어근들은 어간 e 또는 좀더 완전한 형태인 aya (또는 pe, āpe, paya, āpaya)와 같이 쓰여서 사역의 의미를 갖는다. 제 7류활용 동사에서처럼 어근의 모음은 보통 강변화나 2차 강변화를 일으킨다 (제 3과와 비교). 그 의미는 정규 사역의 의미를 가질 수도 있고 또는 보다 독특하고 숙어적인 의미를 가질 수도 있다.
4) 그래서 vac (to speak)으로부터 사역동사 vāceti (he makes speak); he reads aloud, he recites가 만들어 진다. 한편 vad (to say)로부터 사역동사 vādeti (he makes say); he plays (a muscial instrument)가 만들어 진다.
5) 가끔 한 동사를 독립적인 제 7류활용 동사 어근으로 분류해야 할지 아니면 널리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다른 동사의 사역형으로 분류해야 할지 결정하기가 쉽지않다. 문법가들 사이에서는 이와같은 이유로해서 적절한 동사의 분류에 대해 (예를 들면 vādeti) 어느 정도 일치를 보지 못하고 있다.
6)(ā)p와 함께 쓰인 chid로부터 사역동사 chedāpayati (he cause to cut)가 만들어 진다. (ā)p와 함께 쓰인 (ṭ)ṭhā로부터 ṭhăpayati가 만들어 지는데 여기서는 (대부분의 사역동사와는 반대로) 어근의 모음이 보통 단음화되고, 의미에 있어서도 종종 문자그대로의 의미인 ‘makes stand’, ‘erects’ 대신에 ‘he leaves aside’, ‘he excepts’를 의미하기도 한다.
7) (ā)p와 함께 쓰인 이중구조123)의 가능성에다가 (이중적인 형태 뿐만아니라 이중적인 의미를 가질 수 있는) e를 가진 사역형과 나란히 (ā)p를 두번 겹쳐 쓴 3중형이 가끔 만들어진다. 그래서 ruh (grow)로부터 사역형 ropeti (h가 탈락됨)와 또다른 사역형 ropāpeti; he causes to cause to grow, he has planted를 가지게 된다.
8) 일반동사와 같이 쓰인 것처럼, 사역동사 (hetukattar)의 동작주 (agent)는 주격이 된다. 행위가 사람이나 도구를 통하여 이루어질 때 이 사람이나 도구는 보통 목적격이 된다 (도구라는 개념 때문에 목적격 대신 기구격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래서 사역동사는 동등한 일반동사보다 하나 더 많은 수동주 (patient)를 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자동사의 사역형도 하나의 수동주를 취할 수 있고 (이 자동사가 타동사가 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타동사의 사역형은 두개의 수동주를, 일반적으로 두개의 목적격을 취하는 동사의 사역형은 세개의 수동주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to be’는 자동사로 수동주를 취하지 않는데 to cause to be [즉, to develop the mind (1) 처럼, to develop, etc.]는 하나의 수동주를 취한다. ‘to enter’는 하나의 수동주를 취할 수 있는데 ‘to cause to enter’는 두개의 수동주를 취할 수 있다 [to cause to enter a man (1) a house (2)]. to take, to lead 등은 두개의 수동주를 취하는데 (take (1)to a village (2) a goat), 이론상 (실제로는 이러한 무절제한 언어 사용은 피하는 것 같다.) to cause to take는 세개의 수동주를 취할 수 있다 [cause to take (1) (by) a man (2) to a village (3) a goat; puriso (agent) 1 purisaṃ 2 gāmaṃ 3 ajaṃ nāyeti, 또는 기구격을 가진 puriso purisena gāmaṃ ajaṃ nāyeti].
9) 사역활용 동사는, 제 7류활용 동사 어간으로부터 형성된 것처럼, 사역어간으로부터 형성된 다양한 시제와 분사들을 포함한다.
bhū의 사역형 현재시제:
단수 복수
3인칭 bhāveti bhāventi
2인칭 bhāvesi bhāvetha
1인칭 bhāvemi bhāvema
사역동사들:
kapp (VII) kappeti, pappāpeti he causes to be got ready,
(he arranges, he has put in order,
he put in oreder, he has organized.
he organizes)
kar kāreti he causes to work, he cause to make, (of kings) he governs,
he rules (causes the kingdom to
function)
kārāpeti he causes to make, he has built
chid chedāpeti he causes to cut
jan janeti he causes to be born, he produces
(j)jhe jhāpeti he causes to burn, he sets fire to
(ṭ)ṭhā ṭhapeti, ṭhăpayati he causes to stand, he erects,
he makes stand up,
he causes to remain, he expects
ni-pat nipāteti he causes to fall down,
he drops, he puts down
pā pāyeti he causes to drink
bhū bhāveti he causes to be, he develops
ā-mant āmantāpeti he causes to be addressed,
he has invited
muc muñcāpeti he causes to be free, he sets free124)
(p)paṭi-yat paṭiyādāpeti he causes to be prepared (t 가 d로
불규칙하게 바뀌었다)
yā yāpeti he causes to go, he keeps going
yuj (VII: yojeti) yojāpeti he causes to be yoked (carriage)
ā-ruc ārocāpeti he causes to be announced
ruh ropeti, ropāpeti he causes to grow, he plants
he causes to cause to grow, he has
planted.
ā-ruh (climb, mount) āropeti he causes to mount, he puts on top of, he shows, he shows up,
he disproves
(p)pa-valt pavatteti he causes to go, he sets going
ni(r)-vā nibbāpeti he causes to extinct,
he extinguishes (e.g. fire)
(p)pa-vid [vid (I): pavedeti he makes known
know, 그러나 최초의
현재어간은 쓰이지
않는다.]
(p)pa-vis paveseti he causes to enter, he brings in
(p)pa-(v)vaj pabbājeti he causes to go forth, he banishes
he has banished)
ni-sīd nisīdāpeti he causes to sit down
(s)su sāveti he causes to hear
pari-sudh (III) parisodheti he causes to become pure
(to become pure/
clean)
사역동사의 다른 시제들: (p. 82)
명령법: kappāpehi
과거시제: kārāpesi; ṭhapesuṃ; ārocāpesi, ārocāpesuṃ; ropāpesi; āropesuṃ
미래시제: jhāpessati, bhāvessati
분사들:
현재분사: kārento, kārayato (소유격); chedāpento, chedāpayato (소유격); dāpento; pācento (pac = cook, torment), pācayato (소유격); yojāpento
과거분사: kappita; kārita, kārāpita; bhāvita; pavattita; pavedita (제 7류활용 동사가 그러하듯이 보통 ita로 끝난다.)
동명사: kārāpetvā; āmantāpetvā; paṭiyādāpetvā; yojāpetvā; āropetvā; pavesetvā
일반동사의 시제의 일종인 것처럼 이론상 사역동사가 기계적으로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사역동사의 의미와 용법은 매우 숙어적이며 그래서 각 사역동사는 세심한 주의를 요한다.125)
어휘 (p. 82)
동사들:
명사들:
형용사들:
과거분사:
불변화사들:
연습문제 13 (p. 84)
영어로 번역하라.
1) brāhmaṇo mante vācesi.
(mante; m. pl. acc. mantras: vācesi; 3rd sg. caus. aor. red, taught, recited, vācesi는
사역동사이지만 실제 사역의 의미는 없다.)
The brāhmaṇa recited (taught) hymns (mantras).
2) so taṃ cittaṃ bhāveti. (bhāveti; he causes to be, he develops, p. 81)
(taṃ; n. sg. acc. * taṃ은 gen.이 아니기 때문에 his가 아니라 that (citta가 중성이므
로 taṃ도 중성 단수 목적격)로 해석해야 한다.)
He cultivates that mind (thought).
3) na taṃ (2nd. person) deva paccatthikānaṃ demi.
(paccatthiko; enemy: demi; 1st sg. pres.)
Your Majesty, I don't give you to the enemies.
4) ayaṃ dukkhasamudayo. (samudayo; m. sg. nom. rise, origin, produce)
(dukkhasamudayo; 의주석 (tappurisa compound) - 소유격관계)
This is the origin of suffering.
5) rājā kumārassa (여격) pāsāde kārāpesi. (kārāpesi; 3rd sg. caus. aor. p. 82)
The king had palaces built for his prince.
(Q: Can the dative sign -assa be used for purpose instead of the sign -āya ?)
cf) The king had (his) prince make palaces. (kumārena or kumāraṃ)
6) so iminā ca ariyena sīlakkhandhena samannāgato iminā ariyena indriyasaṃvarena samannāgato . . . vivittaṃ senāsanaṃ bhajati: araññaṃ, rukkhamūlaṃ, pabbataṃ, . . . abbhokāsaṃ palālapuñjaṃ.
Having been endowed with this noble moral practice and the noble subjugation of senses, He resorts to lonely lodging, such as forests, the foot of a tree, mountain, . . . unsheltered place, and a heap of straw. (ca ???)
7) idha tathāgatena anuttaraṃ dhammacakkaṃ pavattitaṃ.
(anuttara; unsurpassed, supreme)
(pavattita; pp. of pavatteti = to set going, to keep on, to wield)
Here the supreme wheel of Norm (dhamma) was set going by the thus-gone.
8) idaṃ paṇītaṃ.
This is excellent.
This is the excellent.
9) ye mālaṃ āropessanti, tesaṃ taṃ bhavissati sukhāya.
(ye; m. n. pl. nom. acc. who, which: tesaṃ; m. n. pl. dat. gen.)
(āropeti: to offer, to put on, to impeach, to get ready)
(taṃ; n. sg. nom.: sukhāya; ????)
Who will offer the garland, to them it will be for happiness.
It will be for happiness to those who will offer the garland.
10) tvaṃ pana samma Jīvaka kiṃ tuṇhī.
(tuṇhī; in. silent, silently: kiṃ; n. sg. nom. acc. what ? 여기서는 why ?, how is it ?
이라는 의미로 쓰임.)
(pane; but, however, now)
(samma; a term of familiar address seen only in voc., my dear)
But, my dear Jīvaka, are you silent ? (???)
But, my dear jīvaka, why are you silent ? (o)
11) kacci maṃ samma Jīvaka na paccatthikānaṃ desi.
(kacci; perhaps ?, I doubt whether ?, 의심을 나타내는 부정 의문 불변화사)
(1st sg. acc.: paccatthiko; enemy: desi; 2nd sg. present)
My dear Jīvaka, perhaps you don’t give me to the enemies ?
하이푼으로 표시된 복합어를 사용하여 빠-리어로 번역하라.
(Translate into Pali, using compounds where indicated by hyphens: -)
1) This is the cessation-of-unhappiness. (* cessation: m. nirodha)
(1) ayaṃ asukhanirodho (hoti). (x) * asukhanirodho; 이런 단어은 없음.
(2) ayaṃ dukkhanirodho (hoti). (o)
2) (It is) now the time-for-extinction of the fortunate one. (bhagavato; m. sg. dat. gen.)
* 주의: dāni (enclitic), “now” cannot stant at the beginning of sentence. p. 84.
ashunā [(i)dāni, etarahi] bhagavato parinibbānakālo (hoti).
3) Cunda the son-of-smith, having had delicious dishes prepared, had the time ammounced to the fortunate one: “(it is) time, sir, the meal (is) ready”.
[* khādaniyaṃ: foods, dishes (collective singular), p. 83; * ārocāpeti: he causes to
be announced, p. 81, 과거형에 대해서는 p. 25를 보라.]
paṇītaṃ khādanīyaṃ paṭiyādāpetvā, cundo kammāraputto bhagavato kālaṃ ārocāpesi: (atthi) kālo, bhante bhattaṃ niṭṭhitaṃ (hotī) ti). * hoti를 쓰는 경우는 ti의 영향으로 앞의 i가 장음화되어 hotī가 됨. 그리고 kālo 앞에 있는 atthi는 쓰지 않아야 한다.
4) The lion, king-of-beasts, went out. (1) sīho migarājā nikkhami. (o)
(2) migarājā sīho nikkhami. (x)
* 동격을 나타내는 명사는 뒤에 온다.
5) There are (atthi: the singular verb may be used for the plural also in this sense) other profound, delightful, doctrines which the “thus-gone” makes known.
(* añña, other가 대명사적 형용사로써 ye의 상관사로 쓰임. p. 74에서 격변화와 관
계된 내용을 참조라. ???)
(* 형용사가 세개인 경우 adj. + Noun + adj. + adj. 형태를 취함)
(1) ye tathāgato pavedeti, aññe dhammā gambhīrā paṇītā atthi. (x)(aññe: m. pl. nom.)
(2) aññe dhammā gambhīrā paṇītā atthi, ye tathāgato pavedeti. (x)
(3) atthi aññe dhammā gambhīrā paṇītā, ye tathāgato pavedeti. (x)
(4) atthi aññepi dhammā gambhīrā paṇītā, ye tathāgato pavedeti. (o)
(* atthi가 강조(?)되고 있기 때문에 4번 문장으로 해야한다. atthi가 3인칭 복수 대신에
쓰인것은 당시의 관습이지 특별한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다. p. 74에 동일한 문장형
태가 나온다. 스리랑카에서 이 두 문장들을 다시 확인할 것. 왜냐하면 Joshi박사는 p.
74에서는 hoti가 강조된 것이 아니고 회화체의 당시 관습이라고 했다가 여기서는 다
시 atthi가 강조되고 있다고 모순된 언급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 aññepi: aññe + pi (also)
* (1)번 문장은 문장 자체가 잘못되어 있고 (2)번 문장을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There are other dhammas which are excellent and profound, which are taught
by Tathāgata. (pi = also가 생략되었기 때문에 이런 해석이 됨)
6) He develops that thought. so taṃ cittaṃ bhāveti.
7) The king, having had the priests invited, said this: “let the priests see the boy”.
(purohito: 일반적인 사제를 의미함, p. 27 참조)
purohite (brāhmaṇe) āmantāpetvā, rājā etad avoca: passantu purohitā kumāranti.
(kumāraṃ + ti)
8) The king, having made the boy sit down, instructs (him).
(* anusāsati; to advise, to admonish, to instruct)
kumāraṃ nisīdāpetvā, rājā taṃ anusāsati.
9) The priest had a new house built to the east (instrumental or accusative126)) of the city.
purohito nagarassa puratthimena (puratthimaṃ) navaṃ gehaṃ kārāpesi.
* kārāpesi: 3rd sg. aor. of kārāpeti.
10) Recite the prayers ! (plural). 1) paṭhatha kalyāṇe (mante). (x)
2) kalyāne (mante) sajjhāyaṃ karotha. (x)
3) paṭhatha mante. (o)
* kalyāna는 mahāmaṅgala-sutta처럼 축복을 비는 기도문을 의미. sajjhāyaṃ karoti는
암송하기 위하여 계속해서 읽는 경우에 해당한다. 영어러는 study라는 의미에 가깝다.
11) I set free the goats. ahaṃ aje muñcāpemi. (muñcāpemi는 이중사역형: āp + e)
ahaṃ aje muñcemi. (muñcemi: 단순 사역형) (o)
제 14과 (p. 85)
(1) 부정대명사 (不定代名詞; Indefinite Pronoun)
부정대명사를 만들기 위하여 불변화사 ci(d)가 곡용된 의문대명사에 붙는다.
ko ci anyone, someone
kassa ci of anyone
kiñ ci anything, some (kiṃ의 ṃ은 c에 동화되어 구개음 비음 (ñ)이 됨.)
관계대명사와 함께
yaṃ kiñ ci whatever
부정어와 함께
na kiñ ci nothing, none at all
다른 단어가 밀접하게 뒤따를 때 연결형인 cid 가 종종 등장한다.
(2) 원망시제 (= 원망법; Optative Tense) (p. 86)
1) 원망 (또는 가능)시제 (sattamī)는 가정적인 행위를 나타내기 위하여 쓰인다. 이것은 ‘should’, ‘would’, ‘may’등등으로 번역될 수 있다. 이것은 특별한 활용어미들을 가지고 있는 모든 활용동사 유형의 현재어간으로부터 만들어진다.
단수 복수
3인칭 bhaveyya, he should be, bhaveyyuṃ
could be, may be
2인칭 bhaveyyāsi bhaveyyātha
1인칭 bhaveyyaṃ, bhaveyyāmi bhaveyyāma
(모두 e 어간을 가진) 다른 활용동사 유형으로부터:
man (III) maññeyya he should think
har (VI) kareyya he should do
dis (VII) deseyya he may teach
2) 비록 의미에 있어서는 차이가 거의 없지만, 동사 as (to be)는 두가지 형태의 원망시제를 가지고 있다. 첫번째 유형이 보다 자주 쓰이며 두번째 유형은 보다 세련된 즉, 시적인 표현에 쓰이며 두번째 유형의 경우에는 3인칭 단수형 만이 일정하게 쓰인다.
단수 복수
3인칭 assa, there would be assu
2인칭 assa assatha
1인칭 assaṃ assāma
단수 복수
3인칭 siyā, there may be, siyaṃsu (거의 쓰이지 않음)
there would be, (siyuṃ)
it might be
2인칭 (siyā) -
1인칭 (siyaṃ) -
3) 두번째 유형은 보통 사람이 아닌 것에 쓰이며, 3인칭 단수형을 제외하고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예문: siyā . . . kaṅkhā; there may be doubt (소유격 속에 동작주가 포함됨 = 주격을 나타내는 소유격127)). 괄호 속에 든 형태들은 간혹 시에서 발견된다.
4) 가끔 assa 와 siyā가 한 문장 내에서 같이 쓰이는데,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두가지 다른 형태의 원망시제를 갖는 것이 편리하다.
예문: siyā kho pana bhoto rañño evam assa128)
= but it might be (that) of his majesty (bhoto) the king there would be thus
(thought, idea).
여기서 siyā와 assa 사에에 의미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은 문장에서 이 둘은 항상 동일한 위치에 오고 동일한 기능을 하는데 siyā는 it might be의 의미로 앞에 오고 assa는 there would be 의 의미로 뒤에 온다. 대체로 siyā는 atthi의 원망시제로 쓰이고 assa는 hoti의 원망시제로 쓰인다. 그래서 siyā는 단언적인 atthi와 n' atthi와는 대조적으로 가능성을 단언하기 위하여 철학적인 설법에 아주 빈번히 사용된다. atthi와 마찬가지로 siyā도 단수 뿐만아니라 복수로도 사용될 수 있다.
5) 원망시제에는 수동형과 사역형이 있을 수 있다.
6) 원망시제는 의미에 있어서 요청, 초청, 바람, 가능성, 가정, 가설 뿐만아니라 온화한 명령이나 강한 명령을 나타낼 수 있다.
7) 가정적인 의미가 가장 일반적이다 (제 10과의 미래시제와 비교해 보라). 관계절이나 다른 종속절이 주절이 의존하게 되는 조건을 나타낼 때, 이 종속절의 동사는 원망시제를 쓸 수 있으며 불확실성의 정도에 의존한다.129)
8) 그러나 주절과 종속절의 동사들은 (끌림 또는 동화현상에 의해서) 동일한 시제를 갖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조건의 효과가 아주 가정적이면 양 절의 동사들은 보통 원망시제를 따른다. 예문: if you ask, he may accept, sace . . . yāceyyāsi . . . atha . . . adhivaseyya.
9) (화자나 저자에 의해, 이야기체에서는 이야기하는 사람에 의해서 ― 그러나 반드시 그가 인용하는 화자일 필요는 없다.) 한편 조건의 결과가 확실하고 사실적인 것으로 간주되면 양 절의 동사들은 현재시제로 쓸 수 있다. 예: “if a virtuous man approaches an assembly, he approaches without shame”.
10) 또는 ‘영원한 진리’ 대신에 위에서 처럼 특별한 미래의 행위가 고려되는 경우 양 절의 동사들은 미래시제를 쓸 수 있다. 예: if I have them salute (future of causation) one by one, the fortunate one will be (future) be unsaluted by them (all) before daybreak. 마찬가지로 I will not . . . until . . . ― 둘다 미래시제를 사용한다.).
11) 또한 양 절의 시제가 서로 다를 수도 있다.
“as . . . he explains (현재시제), so . . . you should (must) report (원망시제)” (왕이
사자에게 하는 명령).
= yathā . . . vyākaroti taṃ . . . āroceyyāsi.
“I shall teach (미래시제) a course of doctrine with which one may explain (원망시
제)”
= dhammapariyāyaṃ desessāmi yena samannāgato . . . vyākareyya.130)
12) 원망시제는 종종 숙어 ṭhānaṃ . . . vijjati yaṃ . . . 다음에 사용된다.
예: there exists (present) the case that . . . (가능한 행위나 사건의 원망시제)
그러나 (가능성이 확실하게 일어날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 가끔 현재시제가 사용된다. 그리고 관용구가 부정적일 때 (it is not possible), 미래시제가 사용된다. yaṃ이 없고 관용구를 선행할 때, 고려된 그 경우 (ṭhānaṃ)는 단순히 ti로 끝나는 인용문으로 주어질 수 있다. (빠-리어에도 또한 조건시제가 있지만 잘 쓰이지 않고 불가능한 가정을 언급하는데 한정되어 쓰인다.)
13) 가정적인 미래사건에 쓰이는 원망시제와 확실한 미래사건에 쓰이는 미래시제를 구별할 때, 다음의 예문이 이를 잘 나타내 준다.
예문: if he should get the kingdom he would share it (두 동사 모두 원망시제).
if I do (shall) get the kindgom I will share it (두 동사 모두 미래시제).
(3) 탈격 (Ablative Case) (p. 88)
1) 다섯번째 격 즉, 탈 (pañcamī, nissakka, apādāna)격은 행위가 시작하는 지점을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그 행위는 육체적일 수도 있고 정신적일 수도 있다.
2) 탈격은 또한 어떤 것이 일어나는 원인이나 기원을 표현한다.
3) 공식적으로 탈격은, a 어간을 가진 단수, 남성, 중성 지시대명사, 관계대명사, 다른 대명사들 또는 대명사처럼 곡용하는 대명사적 형용사들을 제외하고, 기구격과 형태가 일치한다.
4) 또한 어떤 어간에도 붙을 수 있는 접미사 to를 가진 특별한 단수 탈격이 있다.
5) 게다가 대명사적인 단수 탈격 곡용어미 smā 또는 mhā가 가끔 다양한 명사 어간에 붙는다.
주격 탈격
janapado janapadā
āsanaṃ āsanā
so, tad tasmā 또는 tamhā
ayaṃ imasmā 또는 imamhā
paccatthiko paccatthikato; 적으로부터 (단수 탈격을
나타내는 접미사 to 가 붙음)
6) 탈격이 사용된 예문들:
uṭṭhāy' āsanā; having got up from (his) seat. (이 구에서 단어들의 일상적인 순서
가 항상 거꾸로 된다.)131)
gāmā gāmaṃ; from village to village
agārasmā pabbajito; gone forth from home (대명사적인 곡용어미를 가진 명사)
dasahi ca lokadhātūhi132) devatā . . . sannipatitā;
and the gods . . . assembled from the ten universes.
kiṃ kāraṇā; from what cause ? = for what reason ? = why ?
7) 원인을 나타내는 탈격은 아주 중요하며 항상 철학적인 언급에 사용된다. (역주: 제 8과
p. 44; 원인, 이유 (cause)를 나타내는 기구격 참조)
예: vedanāpaccayā taṇhā; desire (is) from the sensation-cause.133)
= desire is caused by sensation.
kimpaccayā bhavo; from what cause134) (is) existence ?
kissa nirodhā bhavanirodho; from the cessation of what (is there) cessation of
existence ?
8) asmā로 끝나는 몇몇 대명사의 탈격은 원인을 나타내는 불변화사로 쓰인다.
예: kasmā = why ?, tasmā = therefore.
9) 탈격의 부차적인 사용
1. --로부터 고립된 (isolated), 분리된 (separated), 격리된 (secluded):
vivicca akusalehi dhammehi; having become separated from bad phenomena.
(uṭṭhā 와 같이 쓰였을 때처럼 vivicca 와 같이
쓰여 어순의 도치가 일어나는 것이 일반적임)
(p. 195의 어휘 가운데 동명사 항목을 참조)
2. --로부터의 두려움, 위험
na kuto ci135) bhayaṃ . . . yad idaṃ136) paccatthikato.
= . . . fear (danger) from nowhere, such as from an enemy.
(to 가 붙은 탈격과 비슷하게 만들어진 불변화사 kuto = whence ?)
3. --로부터 깨끗해진, 정화된 (문자그대로는 ‘더러움으로부터’, 비유적으로도 쓰임)
padosā cittaṃ parisodheti; he makes his mind pure from anger.
= he purifies his mind from anger.
4. (노예상태 등등으로부터) --로부터 자유롭게 된
cittaṃ āsavehi vimuccati; the mind is freed from the influxes.
5. (기원을 나타내는 소유격과 함께) --로부터의 방향
dakkhiṇato nagarassa; south of the city.
6. (공간이나 시간)으로부터의 거리; 이 의미는 항상 접미사 to와 함께 나타나며 대부분
접미사 to를 가진 불변화사로 쓰인다 (특히 ito = from here/now). 그렇지 않으면
보통 기구격이 쓰인다. (cf. 제 8과)
ito . . . ekatiṃso kappo; the thirty-first aeon from (before) now
ito tiṇṇaṃ māsānaṃ accayena137); after three months from now.
(탈격, 소유격, 기구격 등 세격이 결합되어 있음에 유의할 것)
dūrato āgacchantaṃ (seen); coming from the distance.
7. --를 삼가함 (abstinence from), --를 혐오함 (revulsion from)
virato methunā gāmadhammā; has abstained ( pp. of viramati) from sexual
vulgar (village) custom.
(methunā. n. sg. abl. sexual intercourse)
pisuṇāya vācāya paṭivirato; has abstained from malicious speech.
8. (병)으로부터 회복
tamhā ābādhā mutto; freed (recovered) from illness.
9. limit up to (within) which (with yāva)
yāva brahmalokā; as far as the wrold of God (heaven).
yāva sattamā; up to the seventh.
10. 동사 u(d)-(ṭ)ṭhā [to rise up (from), come out from ] ― 문자그대로도 쓰이고 비유
적으로도 쓰임.
patisallānā vuṭṭhito; come out from seclusion (privacy, withdrawing; 가끔
paṭisallānā 로도 쓰임)
[vuṭṭhita; pr. p. of vuṭṭhahati, vuṭṭhāti = to rise, arise,
emerge from, rise up (from), come out from]
jhānā vuṭṭhahitvā; having risen up (come out) from a meditation (trance)
(and passing into a higher or lower trance)
* jhānā; n. sg. abl. meditation.
11. --에 관하여 (with reference to), --의 관점에서 (from the standpoint of);
-to가 붙는 탈격을 취함
tathāgato atīte buddhe . . . gottato pi anussarati; the thus-gone recollects
past enlightened ones (Buddhas) with reference to (their) clan(s) also.
10) 불변화사와 함께 쓰이는 탈격 (p. 91)
1. aññatra; except for, apart from (이 불변화사는 ins. dat. abl.과 결합, p. 376)
aññatra phassā; except for contact, without touch.
[aññatra 는 종종 기구격을 취한다 (제 8과와 비교). 그래서 이 aññatra와 같이 쓰
인 곡용어미 ā는 가끔 기구격의 형태로 간주된다. 기구격의 -ā와 비교하라;
bhagavatā, raññā138)]
2. adho = below
adho kesamatthakā; below the top (matthako) of the hair.
3. ārakā = far from
ārakā sāmaññā; far from asceticism (sāmaññaṃ)
ārakā . . . vijjācaraṇasampadāya; far from success (f. sampadā) in knowledge
and practice (caraṇaṃ).
4. uddhaṃ = above, after, beyond
uddhaṃ pādatalā; above the soles (talaṃ; surface) of the feet.
kāyassa bhedā uddhaṃ; after the splitting up (death) of the body.
5. paraṃ = after
paraṃ maraṇā = after death.
6. yāva = up to, as far as [위의 9)-9 참조]
9)-9. limit up to (within) which (with yāva)
yāva brahmalokā; as far as the wrold of God (heaven).
yāva sattamā; up to the seventh.
11) 탈격은 가끔 비교 또는 구별에 쓰인 다 ( 의미가 ‘가장’을 나타낼 때는 소유격이 사용
된다. 제 18과를 보라).
na . . . vijjati añño samaṇo vā brāhmaṇo vā bhagavatā (탈격) bhiyyo 'bhiññataro;
there is . . . not any other philosopher or priest more learned than the fortunate
one.
[abhiññataro는 abhiñña의 비교급; bhiyyo (= more)는 또한 kuto와 같이 쓰인다:
kuto bhiyyo (lit. whence more) =관용적으로 let alone more, how could it be
more ?를 의미]
ito bhiyyo; more than this.
12) 기구격은 원인과 치수를 나타내는 탈격과 혼용되듯이 가끔 비교급에도 쓰인다.
(p. 44 끝부분 참조)
(4) 의주석 (依主釋; Tappurisa Compounds)내에 있는 의존적인 단어들 (p. 92)
1) 의존적인 단어 (samāsanta)는 단지 복합어 끝에만 오는 단어이다 [이것은 ‘구속된 형식 bound form)’이다]. 의존적인 단어는 독립적으로 쓰일 수 없다.
2) 어떤 tappurisa139) 복합어에서 이런 의존적인 단어들이 발견되는데, 일반적으로 이 단어들은 이 단어들이 바로 유래된 어근의 행위를 나타낸다.
예; -karo; doing, working (kar): kammakaro = worker
-kāro; making (kar, 사역형): kumbhakāro = potter (kumbho = pot)
-ggāho; seizing [(g)gah]: candaggāho = eclipse of the moon (cando)
-dharo; holding, remembering (dhar): dhammadharo = memorizer of the
doctrine.
-pāto; dropping, offering, collection (pat, to fall, 사역형): piṇḍapāto = alms
offering, alms collecting (이것은 구걸하는 스님에 의해 모아진 음식이라
는 의미를 갖는다).
3) 다른 격으로 쓰인 tappurisa 복합어 (의주석)와 마찬가지로 탈격이 쓰인 tappurisa 복합어도 만들어진다.
예: piṇḍapātapaṭikkanto; “(monk) returned from an alms collecting”.
어휘 (p. 93)
연습문제 14 (p. 95)
영어로 번역하라.
1). puccheyyām' ahaṃ bhante kañ cid eva desaṃ. (puccheyyāma: 1st sg. opt. pucchati;
kañ cid: anything, some; desaṃ: m. sg acc. region, country, a district, part)
(다른 단어가 밀접하게 뒤따를 때 연결형인 cid 가 종종 등장한다. p. 86)
* desaṃ pucchati: (어떤) 부분[점]에 대해 묻다. 수야, p. 130.
= Reverend Sir, I would (like to) ask a question on a certain country. (x)
Reverend Sir, I would (like to) ask a little. (Joshi)
Reverend Sir, I would (like to) ask a certain point. (???)
2) devā tamhā kāyā cavanti. (tamhā; m. sg. abl. of tad: kāyā; abl. body)
Gods fall away from that body.
3) upādānapaccayā bhavo. (upādāna; n. grasping, attachment: paccaya; m. cause, notive, requisite, means, support)
Existence (is) from the attachment-cause. = Existence is caused by attachment.
(p. 89 참조)
4) yan nūna mayaṃ kusalaṃ kareyyāma.
* nūna; in. indeed, surely, certainly;
yan nūna: what now if ?, what if ?, now if, supposing ?
so that (Joshi).
Now if we should do the good. (x)
Supposing we should do the good. (x)
So that we may do merit. (Joshi)
5) na hi bhagavā evaṃ vadeyya.
(hi; ind. indeed, for, because, though)
The fortunate one, indeed, may (would) not say thus.
(may 보다는 would를 사용할 것)
6) na dān' ime imamhā ābādhā vuṭṭhahissanti.
(dāni = idāni: now; ime: m. n. pl. nom., acc.; imamhā: m. n. sg. abl.;
ābādhā: m. sg. abl., from disease; viṭṭhahati: to rise, to arise, to emerge from)
These people will not arise (recover) from this disease.
7) te kālena kālaṃ upasaṃkamitvā paripuccheyyāsi (= “should”: exhortatio)
* te: m. pl. acc. of ta; kālena kālaṃ: from time to time, p. 46; paripuccheyyāsi: 2nd
sg. opt. of paripucchati, to ask about, to ask advice.
Having approached them, you should ask (them) advice from time to time.
8) tassa evam assa: ahaṃ kho pubbe dāso ahosiṃ.
* assa: 3rd sg. opt. there would (may) be p. 86; pubbe (loc.): in the past, formely;
ahosiṃ: 1st sg. aor. of hoti (is).
Of him there may be thus(= He may have the following thought):
Indeed, I was a slave in the past.
so140) 'mhi etarahi tamhā dāsavyā mutto.
* amhi: 1st sg. of as (to be); etarahi: now, at present; tamhā: m. sg. abl. of ta;
dāsavyā: m. sg. abl. from slavery; mutto: pp. of muñcati, released, pleased.
과거분사(mutto) + 현재시제(amhi) = 현재완료의 의미를 강조. p. 40.
I have released from that slavery now.
It is I who have released from that slavery now.
9) yattha pan' āvuso sabbaso vedayitaṃ n' atthi, api nu kho tattha “asmī” ti siyā.
* yattha: where; pana: but, however, now; sabbaso: ind. completely;
vedayitaṃ: n. sg. nom. sensation, felling, experience;
api or app (stands at beginning of senstence or clause; app is a junction form
before a vowel): (with optative) perhaps, (with indicative) does ? do ? did ? (i.e.
makes sentence interrogative: polite form of question) p. 93.
nu: ? p. 75; tattha: there, in this/that connection; asmi: 1st sg. pres. of √as;
siyā: 1) 3rd sg. opt. of √as, there would be, there may be, it might be, p. 87.
2) 2nd sg. opt., rarely.
O friend, but where there is no feeling at all (completely), indeed, may you say in this connection, “I am” ? (x)
O friend, but where there is no feeling at all (completely), would be there the (feeling) as ‘I am’ ?
10) khīṇā me āsavā.
* khīṇa: pp. of (k)khī, exhausted, wasted, perished (ṇ은 n의 불규칙형);
āsavā: m. pl. nom., influx influence, ideas which intoxicate the mind.
Influxes (passions) were exhausted by me. (x)
I exhausted influxes (passions). (x)
My passions are exhausted. (Joshi) (me: gen.)
11) na maṃ ko ci āsanena pi nimantesi.
* maṃ: 1st sg. acc.; ko ci: anyone, someone, p. 85; na ko ci: nobody, none;
āsana: n. a seat, sitting down; nimanteti: invites; āsanena nimanteti: to sit down,
offers a seat p. 93; nimantesi: 3rd sg. aor. p. 25.
Nobody even offered me a seat.
12) āyantu bhonto. * bhonto: 2nd pl. nom. of bhavant (와더, p. 47; 雲井昭善, p. 673)
āyanti: 3rd pl. pres.,かれらはやってくる, 近つ"いてくる.운정, p. 165.
3rd pl. pres. of āyāti(to come, to paaroach).
āyantu: 3rd pl. imper.
Welcome, Sir ! [May the Ven. ones arrive] (Joshi)
13) idha samaṇo vā brāhmaṇo vā kusalaṃ dhammaṃ adhigaccheyya.
* adhigacchati: [adhi-gam (I)], acquires.
Here a samaṇa or a brāhmaṇa should (may) acquire good state.
kusalaṃ dhammaṃ adhigantvā na parassa āroceyya.
* para: a. other, another; na para: on one else;
āroceti: tells, informs, announces.
Having acquired good state, he may tell no one else (about it). (x)
Having acquired good state, he may not tell to other. (o)
kiṃ hi paro parassa karissati.
Indeed (Because), what will one do for another ?
seyyathā pi nāma purāṇaṃ bandhanaṃ chinditvā aññaṃ navaṃ bhandhanaṃ kareyya.
* seyyathā pi: (just) as, just like, p. 145, 붓다닷타, p. 289.; purāṇa: a. ancient, old:
nāma: indeed; bandhana: n. bond, fetter; nava: a. new.
Just as he, having cut off an old fetter, would make another new fetter.
빠-리어로 번역하라 (Translate into Pali)
1) I got up from my seat and left. uṭṭhāy' āsanā ahaṃ pakkāmiṃ.
* get up: uṭṭhāti, uṭṭhahati, vuṭṭhāti, p. 93; uṭṭhāy' āsanā: having got up from (his)
seat.
leave: pakkamati. 과거시제의 단수형들이 장음화되는 현상에 대해서는 p. 24를 보라.
2) If the philosopher Gotama should come to this assembly we will ask (optative) him this question.
sace samaṇo gotamo idaṃ (imaṃ) parisaṃ (sabhaṃ) āgaccheyya, mayaṃ taṃ idaṃ pañhaṃ puccheyyāma.
3) What should we do ? kiṃ kareyyāma.
4) I should do meritorious actions.
(ahaṃ) puññāni kammāni (puññakammāni) kareyyaṃ.
5) Sensation is caused by (“from the condition of”) contact.
(= Sensation is from the contact-cause.)
phassa-paccayā vedanā (p. 89下)
6) You should explain it as it pleases you (te: both verbs optative).
* as (like): yathā; khamati; it please, it suits, he approves, he likes (사람이 여격으
로 쓰임, p. 76 참조); te: 2nd sg. dat. to you.
yathā te (taṃ) khameyya tathā taṃ (naṃ) vyākareyyāsi.
7) We would invite him to sit down. (p. 93 참조)
mayaṃ taṃ āsanean nimanteyyāma.
8) There will be an eclipse of the moon.
candassa gāho bhavissati. (x)
candaggāho bhavissati. (o) * 월식은 항상 복합어로 쓰임.
9) There is nothing here.
idha n' atthi. (x) idha n' atthi eka-deso. (x) * eka-desa: m. a part.
n' atthi ettha. (x) idha n'atthi kiñci. (o) n'atthi kiñci ettha. (o)
10) The priests would banish the priest from the city.
brāhmamaṇā brāhmaṇaṃ nagarā pabbājeyyuṃ.
(abl.)
제 15과 (p. 96)
(1) 제 5류활용 동사 (Fifth conjugation)
1) ki 동사 또는 제 5류활용 동사 (kiyādi gaṇa)는 접미사 nā를 가진 현재어간을 갖는다. 인칭 어미들은 제 1류활용 동사와 동일하다. 현재시제를 나타내는 접미사 앞에서 jā로 변하는 어근 (ñ)ñā = to know (learn, find out)는 다음과 같은 활용형들을 갖는다.
단수 복수
3인칭 jānāti jānanti
2인칭 jānāsi jānātha
1인칭 jānāmi jānāma
유사하게 활용하는 동사들:
ji jināti he wins
abhi-(ñ)ñā abhijānāti he knows, he is aware of,
he ascertains, he discovers
ā-(ñ)ñā ājānāti he learns, he grasps (fig.)
(p)pa-(ñ)ñā pajānāti he understands, he has insight
(p)paṭi-(ñ)ñā paṭijānāti he admits
vi-(ñ)ñā vijānāti he is conscious of, he discerns
saṃ-(ñ)ñā saṃjānāti he experiences, he perceives.
2) 어떤 동사에서는 반전음 (cerebral; ṇ)을 가진 접미사 ṇā가 쓰인다.
(k)ki kiṇāti he buys
(s)su suṇati he hears
3) 어근 (g)gah = to take, to seize에서는 어근의 마지막 자음과 접미사의 ṇ (反轉音)의 순서가 뒤바뀌게 된다.
(g)gah gaṇhāti he takes
4) 이 특별한 형태의 결과로 어떤 문법학자들은 이것을 gah활용 동사 (gahādi gaṇa)로 알려진 자체가 분리된 하나의 활용동사로 간주한다. 그래서 이 gah활용 동사는 그들의 계산으로는 여덟가지 유형의 활용동사들 가운데 제 6류활용 동사가 된다. 그들은 동일한 도치현상을 보이는 명사의 어근들도 이와 같이 분류한다.
5) 4)번에 해당하는 접두사를 가진 제 5류활용 동사들:
u(d)-(g)gah uggaṇhāti he learns, he memorizes
(p)paṭi-(g)gah paṭiggaṇhāti he accepts
6) 제 5류활용 동사의 다른 시제들은 다음과 같다.
1. 명령시제: jānātu (3rd sg.), jānāhi (2nd sg. 항상 -hi 형태로 쓰임) 등등.
2. 원망시제: jāneyya, 등등 (또한 희귀한 형태이긴 하지만 3rd sg. jaññā가 있다.).
3. 현재분사: jānaṃ 또는 jānanto (m. sg. nom), jānatā (ins.) 등등.
4. 과거시제: aññāsi [(ñ)ñā and ā-(ñ)ñā]141), jāniṃsu
[(s)su; to hear의 과거시제는 제 12과 p. 70을 참조)
5. 미래시제: jānissati 등등.
6. 동명사: aññāya [ā-(ñ)ñā로부터 옴 것임, 어두의 장음 ā는 이중자음 앞에서 단음화
됨; (ñ)ñā로부터 온 ñatvā는 잘 쓰이지 않는다.]
abhiññāya, sutvā, gahetvā
7. 과거분사: ñāta (aññāta는 보통 부정적인 unknown을 의미함):
suta: gahīta (가끔 gahĭta)
8. 수동형: paññāyati
9. 사역형: sāveti (= to make hear, to announce)
(2) Dvanda 복합어 (相違釋) - 명사를 나란히 늘어놓아 ca (and)가 생략된 경우. (p. 97)
1) 한 목록을 형성하는 두개 또는 그 이상의 명사들이 불변화사 ca에 의해 연결되는 대신에 복합어가 될 수 있다 (cf. 영어에서 fourteen = four and ten). 이러한 형태의 복합어를 dvanda (twin) 복합어라 한다.
2) 이것은 집합명사나 (맴버들의 성에 관계 없이) 중성명사로 사용될 수 있으며, 단수로 곡용을 하거나 (성을 간직한 채) 두개 또는 그 이상의 항목을 의미하는 복수 곡용을 하기도 한다.
3) 복합어의 단어들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항목을 나타낼 수 있다.
4) 만약 더 중요한 것, 즉 수위의 대상이 있다면 이것은 가끔 두번째 위치에 온다. 두번째 위치는 빠-리어에서 지배적인 자리이다. 그런데 영어에서는 그 위치가 다음과 같이 반대다.
candimasuriyā (복수); the sun and the moon. (candima; m: chandimā; f.)
samaṇabrāhmaṇā (복수); priests and ascetics.
Sāriputtamoggallānaṃ; Moggallāna and Sāriputta. (붓다의 두 상수 제자들)
pattacīvaraṃ; robe and bowl.
(3) 명사의 부정형과 명사에 붙는 다른 접두사들 (p. 98)
1) (형용사를 포함한) 명사는 모음 앞에서는 an이 되는 접두사 a를 첨가해서 부정형을 만들 수 있다. 몇가지 예들은 이미 살펴보았다: akusala (non-good), amanusso (non-human), avijjā (non-knowledge), ananto (unending; 모음 앞에서 an이 됨)
2) 정형동사는 이러한 방식으로 부정형이 반들어지지 않지만 분사의 부정형은 이러한 방식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예: vimutta = freed; avimutta = not freed.
anuppanna = not arisen.
adinna = not given
3) 현재분사와 동명사는 훨씬 드물게 이러한 방식으로 부정형을 만든다.
예: adisvā; not having seen
appahāya; not having renounced.
4) 명사 등에 붙는 접두사로 well, good을 의미하는 su와 ill, bad를 의미하는 du(r)가 있다 (이 접두사들은 easy/difficult, pleasant/unpleasant 등등과 같은 유사한 개념들을 광범위하게 포괄한다).
예: subhāsita; well-spoken
dullabha = rare (hard to get: labh)
5) 접두사를 가진 이러한 단어들은 복합어로 간주된다. 아래의 108 쪽과 137 쪽을 보라.
어휘 (p. 98)
연습문제 15 (p. 99)
영어로 번역하라.
1) tena hi brāhmaṇa suṇāhi.
(* suṇāhi; 제 5류활용 동사의 2nd sg. imper.는 항상 -hi가 됨, p. 97;
tena hi; if it is so)
O Brāhmaṇa, if it is so, hear.
2) no tvaṃ imaṃ dhammavinayaṃ ājānāsi. ahaṃ imaṃ dhammavinayaṃ ājānāmi.
* ājānāti: knows, understands, learns, grasps.
You don't understand this discipline and doctrine. I understand this discipline and
doctrine.
3) idha tathāgato jāto. Here the thus-gone was born. (jāta; pp. born)
4) ko imaṃ dhammaṃ khippam eva ājānissati. * khippaṃ: ind. quickly.
Who will understand this doctrine quickly ?
5) ekacco dānaṃ deti samaṇassa vā brāhmaṇassa vā annaṃ pānaṃ vatthaṃ yānaṃ
mālāgandhavilepanaṃ seyyāvasathapadīpeyyaṃ.
* ekacca: a. some, certain, a few; Pronoun, someone p. 99; annaṃ: food;
pānaṃ: drink; vatthaṃ: n. a cloth, garment, raiment;
yānaṃ: n. a vehicle; mālāgandhavilepanaṃ: mālā (f. a garland) +
gandha (m. scent, perfume) + vilepanaṃ (n. ointment, cosmetic);
seyyāvasathapadīpeyyaṃ: seyyā (f. a bed) + āvasatha (m. abode, dwelling,
rest-house) + padīpeyyaṃ (n. material for lighting).
Someone (A certain person) gives a gift to samaṇa or brāhmaṇa such as food, drink,
cloth, vehicle, garland, perfume, ointment, bed, abode, material for lighting.
6) ko nu kho pana bho jānāti.142) madanīyā kāmā.
* nu; ? (앞말의 일부처럼 발음된다. 의문대명사를 강화시키는 의문불변화사 또
는 의문문을 만들기 위하여 다른 불변화사들과 결합되는 의문불변화사:
nanu; (is) not ?; 또는 by itself = does ? p. 75)
* pana; but, however, now; madanīyā: Future Passive Participle with suffix anīya,
intoxicating, p. 106.
Sir, indeed, but who knows ? = Sir, indeed, but you never know.
Lusts are intoxicating.
7) jānāhi yadi vā taṃ bhavantaṃ Gotamaṃ tathā santaṃ143) yeva saddo abbhuggato, yadi vā no tathā.
* jānāhi: 2nd sg. imper. of jājāti, to know, learn, find out, 항상 -hi의 형태로 쓰임,
p. 97; yadi: if, whether, however; tathā: thus, true; yeva: (enclitic, in junction
sometimes va or yeva), only, alone, just, surely, p. 99; saddo: sound, noise, a
word; abbhuggata: pp. disseminated, spread (report).
* “--에 대하여 (with reference to)”가 주로 처소격을 쓰지만 가끔 목적격이 쓰이
는 경우, p. 17-18, p. 101 첫줄 참조.
Find out whether the report(reputation) spread regarding that honourable Gotama is surely true or not.
8) tassa evaṃ jānato evaṃ passato kāmāsavā pi cittaṃ vimuccati bhavāsavā pi cittaṃ vimuccati avijjāsavā pi cittaṃ vimuccati.
* jānato: pr.p. dat., gen. of jānāti (to know, learn, find out); passato:
????????????
9) yaṃ kiñ ci samudayadhammaṃ, sabban taṃ nirodhadhammaṃ.
????????????
10) n'atthi jātassa amaraṇaṃ. * amaraṇaṃ: a + maraṇaṃ.
????????????
제 16과 (p. 100)
(1) 처소격 (Locative Case)
1) 일곱번째 또는 처소 (sattamī, bhumma, adhikaraṇa, okāsa)격은 행위가 일어나는 장소, 시간, 상황을 나타낸다.
2) 복수는 행위가 일어나는 사회 (society)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된다.
3) 처소격은 또한 ‘about’, ‘in the case of’, ‘with reference to (즉, to agree on some points)’144), ‘in the situation of’ 라는 의미로 쓰인다.
4) 처소격은 또한 다음과 같은 숙어에도 쓰인다.
knowledge ‘about’, doubt ‘about’, established ‘in’ office or ‘in’ circumspect behaviour, training ‘under’ a teacher and conficence ‘in’ him, putting ‘into’ a jar, disappearing ‘in’ (from) a place.
5) 처소격은 (종속절과 동등한) ‘절대’ 구문 내에서 자주 사용된다.
6) a로 끝나는 남성과 중성 명사들은 e 곡용어미를 가진 단수 처소격과 esu 곡용어미를 가진 복수 처소격을 갖는다: loke; in the world, devesu; among the gods.
ā로 끝나는 여성명사는 āyaṃ 이나 āya 곡용어미를 가진 단수 처소격과 āsu를 가진 복수 처소격을 갖는다: kathāyaṃ, kathāya; in the speech, story.
kathāsu;
7) 지시대명사와 관계대명사는 다음과 같은 처소격 곡용을 한다.
단수: 남성, 중성; yasmiṃ 또는 yamhi,
여성; yāyaṃ, yāya, yassaṃ
복수: 남성, 중성; yesu
여성; yāsu
idaṃ으로부터,
단수: 남성, 중성; asmiṃ, imasmiṃ
여성; imāyaṃ, imāya
복수: 남성, 중성; imesu
여성; imāsu
8) 처소격이 사용된 예들: (p. 101)
1. 장소를 나타내는 처소격
dhammā raññe; qualities in a king
Nāḷandāyaṃ viharanto; dwelling in Nāḷandā145)
rukkhamūle nisinnaṃ; seated at the foot of a tree
(문자그대로는 나무뿌리에 앉았다는 말인데 열대나무에 적합한 표현)
devatā ākāse; deities in the sky
2. 시간을 나타내는 처소격
tasmiṃ samaye vedanaṃ vedeti; he feels a sensation on that occasion.
(at that time)
vassānaṃ pacchime māse; in the last month of the rainy season.
3. 상황 (situation)을 나타내는 처소격
tasmiṃ yaññe . . . na rukkhā chijjiṃsu; in that sacrifice . . . no trees were cut
down.
āpadāsu na vijahati; he does not abandon (him) in misfortune.
4. 사회를 나타내는 처소격
Māgadhesu viharati; he lives in Māgadha (문자그대로는 마가다 사람들 사이에
산다는 의미)
5. 관련 reference)등등을 나타내는 처소격
idam pi 'ssa hoti sīlasmiṃ; he has this as regards (moral) character.
citte cittānuppassī viharati; with reference to the mind, he lives observing the
mind.
dhammesu . . . ñāṇaṃ; knowledge of (about) phenpmena.
kaṇkhā . . . dhamme; doubt about the doctrine.
jīvite apekhaṃ; hope for life.
6. 처소격은 또한 yad idaṃ 다음에 쓰여질 수 있다.
7. 확립 (establishment)을 나타내는 처소격
pettike ṭhāne ṭhapesi; appointed (him) in his father's place.
satipaṭṭhānesu supatiṭṭhitacitta; (satipaṭṭhāna; application of mindfulness
supatiṭṭhitacitta; su + patiṭṭhita (p.p.) +citta)
= (whose) mind is well established in the condition of self-possession.
(sati는 다양하게 번역되는데 보통 mindfulness로 번역된다.)
8. 신뢰 (confidence)를 나타내는 처소격 (p. 102)
pasanno ahaṃ bhagavati; (pasanno; clear, bright, please, believing)
= I have confidence in the fortunate one. (bhagavant의 단수 처소격)
dhamme pasannā; she has confidence in the doctrine.
bhagavati brahmacariyaṃ caritvā; having lived the God-like life (= religious
life)under the fortunate one.
9. 사라짐 (disappearing)을 나타내는 처소격
brahmaloke antarahito; vanished from God's world (and appeared on Earth)
(이것은 스님이나 신의 초자연적인 힘 (iddhi)에 의해 이루어진다. 탈격에 의해서
표현되듯이 일반적인 사람들은 단지 조금씩 이동할 수 있을 뿐이다.)
9) 절대처소격은 제 10과의 절대 소유격처럼 명사 (또는 대명사) + 분사의 서술관계로 구성된다. 명사와 분사 둘다 처소격으로 쓰인다. 명사는 분사의 동작주이고 분사는 종종 수동형으로 쓰이지만 반드시 수동형일 필요는 없다. 그리고 이 동작주는 주 문장 (주절)의 동작주와 동일할 수 없고 절대처소격 구문은 주절내의 종속절을 형성한다. 게다가 형용사, 대명사, 서술명사 등과 같이 처소격의 동작주와 일치해서 처소격 곡용을 하는 단어들은 절대처소격 구문에 포함될 수 있다. 만약 분사가 수동주나 기구격 등등을 가지고 있는 경우, 이것은 ??? (목저격 등) 합당한 격을 갖게 될 것이다 [If the participle has a patient, instrument, etc., this will be in its proper case (accusative, etc.).] 또한 절대처소격으로 된 구에 포함된 불변화사들이 있을 수 있다.
한 문장은 다수의 구별되는 부차적인 행위들을 나타내는 각각 자신의 동작주와 같이 쓰이는 몇개의 절대처소격을 가질 수 있다.
예문: Though it is raining, it is pouring down, lightening is flashing, a thunderbolt
cracking ― that he should not see (anything), nor hear a sound ! (빠-리어에
서는 4개의 처소격이 쓰인다.)
절대처소격은 소유격보다 훨씬 더 자주 쓰이며, 부차적인 행위와 주 행위사의 특별한 형태의 관계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부차적인 행위는 주 행위를 선행하거나 또는 주 행위와 동시적일 수 있다. 어떤 형태의 부차적인 행위도 표현될 수 있다. 절대처소격으로 된 구는 문장의 주절에 선행하지만, 가끔 부가적으로 삽입된다.
예문: parinibbute bhagavati . . . Sakko . . . imaṃ gāthaṃ abhāsi;
(loc.) (loc.)
= when the fortunate one was ‘liberated’ . . . Sakka146) . . . spoke this verse.
imasmiṃ ca pana veyyākaraṇasmiṃ bhaññamāne Sakkassa . . .
dhammacakkhuṃ147) udapādi.
[bhaññamāna; bhaññati (pass. of bhaṇati= to speak)의 pr.p.]
= and moreover as this explanation was being spoken . . . the ‘eye of the
doctrine’ arose in (‘of’) Sakka.
upādāne kho sati bhavo hoti. (sati; as의 현재분사인 sant의 sg. loc.)
= attachment being, existence is.
= when there is attachment, there is existence.
Disampatimhi148) raññe kālakate . . . rājaputtaṃ rajje abhisiñciṃsu.
= after king Disampati died . . . they consecreated the prince in the kingdom.
(2) 미래수동분사 (Future Passive Participle) (p. 104)
1) 접미사 tabba, anīya149) 또는 ya가 붙어 만들어지는 미래분사는 과거분사처럼 보통 수동이다. 이것을 보통 ‘미래수동분사’라고 한다 (현재분사처럼 동일한 접미사가 붙어서 만들어지지만 현재어간 대신 미래어간에 붙는 미래능동분사도 또한 만들어지는데 그러나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전체 빠-리 성전에서 지금까지 단 하나의 명확한 예가 한 게송에서 알려져 있을 뿐이다. 빠-리어에서는 미래분사가 요구되는 어떤 구문에서도 ‘미래수동분사’가 사용된다).
2) 그 구조는 거의 과거분사와 같고, 그래서 미래수동분사는 문장의 동사, 형용사로 사용될 수 있으며, 약간의 미래수동분사는 명사로도 사용된다.
3) 비록 미래수동분사의 모든 형태들이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되지만, tabba가 붙어서 만들어진 미래수동분사는 문장의 동사로 더 많이 쓰이고, anīya가 붙은 것은 형용사로 많이 쓰인다.
4) 과거분사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미래수동분사는 a/ā 어간을 가진 세가지 성에 따라 곡용을 한다.
5) 미래수동분사의 의미는 일반적으로 단순히 미래가 아니라 오히려 명령시제나 원망시제를 나타낸다: this must be done, this should be done, this ought to be done, this can be done.
6) 어근에 강변화가 일어난 형태가 보통 미래수동분사에 쓰인다.
7) tabba나 itabba가 붙은 미래수동분사들:
(k)kam kamitabba to be walked
kar kātabba to be done
gam gantabba to be gone, must be gone
car caritabba must be lived, to be practised
jīv jī vitabba to be lived
(ñ)ñā jānitabba to be known
dā dātabba to be given, must be given, should be given
(d)dis daṭṭhabba to be seen, must be seen, should be viewed,
should be considered (in suchand such a
way)
pad pajjitabba (부합하는 의미를 가진 다양한 접두사들과
(현재어간에 함께 쓰임); to be gone,
붙음)
pā pātabba to be drunk
pucch pucchitabba to be asked
bhās bhāsitabba to be spoken, should be spoken
vac vattabba to be spoken
vid (III) veditabba to be known, to be found out,
to be discovered, to be ascertained
(s)su sotabba to be heard
sev sevitabba to be indulged in, to be pursued
han hantabba to be killed
8) 사역형:
kar kāretabba must be caused to be made,
should be caused to be made
(ṭ)ṭhā ṭhāpetabba to be established
bhū bhāvetabba to be developed
9) 접미사 anīya가 붙는 미래수동분사:
kam kamanīya to be loved, lovely
kar karaṇīya150) what must be done; duty, business (중성)
(k)kham khamanīya to be pleased; pleasure, contentment (중성)
khād khādanīya to be chewed; (hard) foods (중성)
(d)dis dassanīya what must be seen; beautiful
bhuj bhojanīya to be eaten; (soft) foods (중성)
mad (III) madanīya intoxicating
(to become intoxicated)
rañj (I) rajanīya exciting
(to become impassioned,
to be excited about)
ram ramaṇīya151) to be delighted in; delightful
vac vacanīya to be said, what ought to be said
10) 접미사 ya (또는 yya)가 붙은 미래수동분사
kar kicca to be done, what should be done,
business (중성)
dā deyya to be given, gift (중성)
pā peyya to be drunk
bhū bhabba capable
labh labbha to be obtained, possible
11) 접두사를 갖더라도 형태는 동일하다 (With prefixes the forms are the same.). 과거분사와 마찬가지로 (과거분사 만큼 자주는 아니지만), 미래수동분사는 접두사 a 또는 an을 붙여 부정형을 만들 수 있다. 예; abhabba; incapable.
12) 미래수동분사가 사용된 실례들:
1. 기구격의 동작주를 가진 비인칭적인 (만약 표현된다면, 중성 또는 동작주와 일치)미래수동:
te vo bhāvetabbā; they must be developed by you.
thūpo kātabba; a pagado should be built.
iminā . . . pariyāyena veditabbaṃ; it should be ascertained in this way (by this
way).
kataṃ paṭipajjitabbaṃ; how should one proceed (behave, conduct oneself)?
2. go, move, go forth 등등을 의미하는 자동사의 미리수동분사가 능동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드물다. 이들은 훨씬 수동적으로 쓰인다.
3. 가끔 미래수동분사 다음에 ‘to be’를 의미하는 동사의 현재 또는 미래시제가 뒤 따르른다 (‘우회적인 [완곡한] 구문’: 제 24과 p. 233 참조).
예문: . . . maggo gantabbo hoti; the road has to be travelled.
maggo kho me gantabbo bhavissati; the road will have to be travelled by
me, I shall have to travel along the road.
n' amhi kena ci upaṃkamitabbo; I am not to be approached (visited) by
(amhi; 1st sg. of as) anyone.
4. 미래수동분사는 무엇을 할 것, 또는 행해지기에 적합한 것을 생각하거나 (현재), 생각했거나 (과거), 생각할 지도 모르는 것을 (원망시제) 표현하기 위하여 man (III; think)과 함께 쓰인다. 예문: upasaṃkamitabbaṃ maññeyya; he may think it (an essembly) is to be
approached, he might consider it worth approaching.
5. 형용사로 쓰인 미래수동분사 (연습문제 12과에 나오는 rajanīyo 등등을 또한 보라)
ramaṇīya pabbato; the mountain is delightful.
6. 명사로 쓰인 미래수동분사
pure vacanīyaṃ pacchā avaca. (avaca; 2nd, 3rd sg. aor.)
= you said last (after) what you ought to be said first (before).
(3) Kammadhāraya 복합어 (持業釋; Kammadhāraya Compounds) (p. 108
1) tappurisa 복합어 (依主釋; 명사형 + 명사형)와 다소 유사한 (그래서 가끔 아류로서 의주석에 포함되기도 한다.) 일군의 복합어가 Kammadhāraya 복합어이다.
2) tappurisa 복합어와 마찬가지로 kammadhāraya 복합어는 명사의 기능을 하지만, 이 분류에 있어서 합성된 두 단어는 동일한 자리 또는 대상을 지칭한다. (cf. 영어에서 blackbird; 지빠귀, 찌르레기). 관계를 나타내는 대신에 이것은 소재지가 동일하다. 그래서 복합어의 첫번째 맴버는 두번째 맴버의 속성을 나타낸다.
3) 만약 이 맴버들이 합성되지 않는다면, 두 맴버는 명사와 속성 또는 동격관계에 있는 두 명사이기 때문에 이것들은 동일한 격을 갖게 될 것이다.
4) 하나의 tappurisa 복합어가 분활된다면 첫번째 맴버는 복합어내에서 본래부터 가지고 있는 격관계를 나타낼 것이고 두번째 맴버는 문장 내에서 복합어가 하는 기능에 의해 결정된 원래 이 복합어가 가지고 있는 격과 동일할 것이다. 만약 kammadhāraya 복합어가 나누어지면 두번째 맴버는 또한 원래 이 복합어가 가지고 있는 격과 동일 하겠지만, 첫번째 맴버도 두번째 맴버와 격이 일치해야 하기 때문에 두번째 맴버와 동일한 격을 갖게된다.
5) 예:
akālomegho; an untimely cloud.
(akāla =untimely, i.e. out of the usual season: megho = cloud)
rājisi; king-sage (rājan + isi; 어간 rājan의 an이 탈락됨)
adhammakāro; unlawful acting (-kāro에 대해서는 제 14과, p. 92를 보라)
(adhamma = non-law ― 여기서 dhamma는 인도 고대의 종교적인 관습법을 의미하지 불교교리에서 쓰이는 제한적인 의미의 dhamma가 아니다. 불교의 dhamma는 궁국적인 법으로서 두가지를 대표하는데 그래서 단지 진리에 가까움과 충실도의 정도에 따라 다양한 우주의 변치않는 자연법에 기초하고 있다.
6) 본래 adhammo와 다른 유사한 부정형들은 아마 좀더 느슨한 형태의 kammadhāraya 복합어 (a + dhammo)로 간주된다.
7) 게다가 드물긴 하지만 kammadhāraya 그룹은 동격관계에 있는 명사로 된 두 맴버 사이의 비교를 나타내기도 한다.
예: cakkaratanaṃ; wheel jewel 은 단순한 동격이나 비교 (바퀴처럼 생긴 보석)로 해석될 수 있다. (바퀴보석은 세상에 전륜성왕이 있을 때 나타나게 되는 일곱가지 상징적인 보석들 가운데 하나이다.
(4) 생략 (Abbreviation) (p. 109)
빠-리 문헌에서는 빈번히 한 구절이 그대로 반복되거나 단지 한 두 단어만 바뀐 채 반복된다. 이것은 종종 그 자체가 peyyāla (etcetera)의 생략형인 pe (and so on, etc.)가 뒤따르는 구절의 시작을 나타내는 단어들만 나타내어 표현된다.
(5) 어휘
u(d)-(g)ghar (I) uggharati it oozes (새다, 스며나오다)
(to make wet)
(p)pa-(g)ghar (I) paggharati it trickles, it drips
car (I) carati he proceeds, lives, conducts, carries on
(이것은 일반적인 상당어구를 발견하기가
어렵다. car는 동물들이 풀을 뜯어먹고
스님들이 걸실하는 것과 같이 특별활
생활양식을 의미한다.
연습문제 17 (p. 112)
영어로 번역하라.
1) Bhavagā Rājagahe viharati. T fortunate one lives in Rājagaha.
2) ime candimasuriyā parasmiṃ loke na imasmiṃ.
(para; other, anoter, foreign, alian, outsider)
= These sun and moon are in another world, not in this world.
3) kismiṃ vo viggaho, kismiṃ vivādo.
(kismiṃ; sg. loc. of ka: vo; 2nd pl. ins., dat., gen.: viggaho; dispute, quarrel, strife:
vivādo; dispute)
= ???????????????????
4) evaṃ vutte aññataro rājāmacco rājānaṃ etad avoca.
In the word said thus, a certain royal minister said thus.
????????????
5) na dāni tena ciraṃ jīvitabbaṃ bhavissati.
[가끔 미래수동분사 다음에 ‘to be’를 의미하는 동사의 현재 또는 미래시제가 뒤 따르른
다 (‘조동사의 도움을 빌리는 문장구조’: 제 24과 참조]. (p. 107)
예문: . . . maggo gantavbbo hoti; the road has to be travelled.
maggo kho me gantabbo bhavissati; the road will have to be travelled by
me, I shall have to travel along the road.
n' amhi kena ci upaṃkamitabbo; I am not to be approached (visited) by
(amhi; 1st sg. of as) anyone.
[dāni; now: tena; therefore. p. 118: ciraṃ; (for) a long time; jīvitabbaṃ; 미래수동분사,
중성, 주격]
Therefore, now, he is not to be lived for a long time.
6) so bhotā raññā vippaṭisāro na karaṇīyo.
(bhotā; sg. ins. of bhavant: raññā; m. sg. ins. of rājan; vippaṭisāro; remose:
karaṇīyo; 미래수동분사, ought to be done)
???????????????????????
7) na kho pan' etaṃ Paṭṭhapāda evaṃ daṭṭhabbaṃ.
??????????????????
8) kiñ cid eva karaṇīyaṃ uppajji.
[karaṇīyaṃ; what must be done; duty, business (중성)]
Anything, it became duty.
????????????????????
9) idaṃ sevitabbaṃ, idaṃ na sevitaabbaṃ.
This is to be indulged in, this is not to be indulged in.
?????????????
'Pāli어 공부 > Pali어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li Canon E-Dictionary Version 1.94 (PCED) 사용법 - 삼장 중심 (0) | 2015.08.03 |
---|---|
Pali Canon E-Dictionary Version 1.94 (PCED) 사용법 - 사전 중심 (0) | 2015.08.02 |
[스크랩] 누구나 다운 받을 수 있는 빠알리 경전과 전자사전, Pali Canon E-Dictionary Version 1.94 (PCED) (0) | 2015.07.28 |
[스크랩] 빨리어 학습용 책과 사전류 (0) | 2015.07.27 |
[소개] Pali 한글 교재 (0) | 2015.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