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요한 소리     http://www.calmvoice.org/   

           카페    http://cafe.daum.net/goyohansori


'고요한 소리' 모임은 우리나라에서 아직 번역되지 않은 근본불교 대장경인 "빠알리어 경전"을 우리말로 옮기는 민족사적 대불사를 감당하고자 발원하고 그 첫 사업으로 스리랑카의 불자출판회(BPS http://www.bps.lk/ )에서 간행되는 법륜과 보리수잎 시리즈를 중심으로 해서 빠알리어 경전과 해석서들을 번역 간행하고 있습니다. 






                     보리수 잎


 


  하나 : 영원한 올챙이

 

본 시리즈의 총론에 해당하는 글. 영원한 올챙이, 일상생활과 팔정도, 자기를 구출하자, 좌선하지 않고 선하는 법등이 실림


  : 마음 길들이기    [ hwp 문서받기 ]

 

날뛰는 우리의 마음을 선정으로 이끄는 방법을 간명하게 설한 태국 아잔 차 스님의 법문    (개정판) 

 


  : 세상에 무거운 짐, 삼독심  [ hwp 문서받기 ]

 

우리를 짓눌러 이 고해에 붙박는 '삼독심', 그것을 극복하는 길은 바로 삼독심의 올바른 파악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덧붙여 불교진리를 터득하기 위해 무엇부터 시작해야 할 것인가를 다룬 '수행의 예비단계'가 실렸음.       (개정판) 


  : 새 시대인가, 말세인가/인과와 도덕적 책임

 

새 시대, 말세 두 극단으로 이해되는 격변기에서 불자들은 어떻게 생에 임해야 하는가. 또한 우리의 생을 엮고 있는 인과법과 도덕적 책임감은 어떤 관계를 갖는가 하는 '인과와 도덕적 책임' 두 편이 실림

 

 


  다섯 : 거룩한 마음가짐 사무량심


사랑함, 더불어 아파함, 더불어 기뻐함, 평온한 마음가짐을 지님으로써 거룩하고 신성한 주처에 머물게 되는 수행법. 이 수행의 궁극에는 훌륭하고 고결한 인품이 계발되면서 청정한 해탈의 삶을 살 수 있게 된다. 냐나뽀니까 스님의 사무량심과 해설


  여섯 : 불교의 명상


불교 명상의 핵심인 수식관, 삼매수행, 위빠사나(관법)수행, 자애관 수행법을 소개한 근본불교 수행 안내서



  일곱 : 미래의 종교, 불교


과학은 나날이 발전하건만 인류는 묵은 종교에 의지해 왔다. 그러나 현대 세계 속에 투영되어 더욱 진리의 모습을 드러내는 종교가 있으니, 인류의 미래를 발혀줄 미래의 종교 불교이다


  여덟 : 불교이해의 정()과 사()


부처님의 일대교설 싸싸나(saasana)와 실천 논리인 사성제, 팔정도의 해설서


  아홉 : 관법 수행의 첫걸음  [ hwp 문서받기 ]


60대 후반의 재가 신자가 심장병과 합병증으로 죽음을 선고받고 마지막으로 찾아간 스리랑카에서 근본 불교에 귀의, 그 수행법으로 삶의 의미를 되찾고 환희를 경험하게 된 실천, 수행의 기록.      (개정판) 


  : 업에서 헤어나는 길


업의 법칙과 정념 수행의 연관성을 깨달음으로써 업에서 헤어나올 수 있는 해탈의 길을 설명하는 글


  열 하나 : 띠싸 스님과의 대화


자신은 왜 불교를 진지하게 받아들일 수 없는가를 묻는 미국인 프랜티스에게 해주신 띠싸 스님의 법문. 불교에 대한 몇 가지 근본적 의문을 가시게 해주는 대화체의 글


  열 둘 : 어린이들에게 불교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미래 사회의 주인공인 어린이들에게 어떻게 부처님의 근본 가르침을 바르게 전할 것인가를 다룬 글


  열 셋 : 불교와 과학/불교의 매력 [ hwp 문서받기 ]


불교는 과학의 모든 원리를 수용하고 앞으로 그것이 나아갈 방향까지도 제시하는 가르침임을 설명한 책.       (개정판) 


  열 넷 : 물소를 닮는 마음


물소처럼 넉넉한 참을성을 기르는 가운데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보는 법을 공부함으로써 생활속에서 수행의 길을 찾도록 돕는 책


  열 다섯 : 참고향은 어디인가  [ hwp 문서받기 ]


임종을 앞둔 한 노신도에게 사라져가는 육신을 지혜의 눈으로 바로 보도록 가르치는 아잔 차 스님의 법문.           개정판(2008.07.30.) 

 

 


  열 여섯 : 무아의 명상    [ hwp 문서받기 ]


"... 그 어떤 사람도, 어떤 정신적 스승도 일찍이 무아를 그처럼 역설했던 적은 없었다. 정말 부처님이 그처럼 강조하셨기 망정이지 그렇지 않았다면 누가 그 문제를 입에 올려 볼 엄두라도 낼 수 있었겠는가?" - 본문 중에서.      (개정판) 


  열 일곱 : 수행자의 길    [ hwp 문서받기 ]


정신적 수행의 길에는 갖가지 자기 기만의 가능성이 충만해 있음을 통렬히 지적해 주는 옛 티벳 고승들의 간절한 수행 안내서.        개정판(2008.07.30) 


  열 여덟 : 현대인과 불교명상 [ hwp 문서받기 ]


현대의 정신적 긴장과 마음의 때를 제거시키는 적극적 발걸음으로써 불교 명상을 가르친 공부 지침서
                         개정판(2008.07.30) 


  열 아홉 : 자유의 맛


마음 속 자유의 영역을 더욱 더 넓히고 싶어하는 인류의 요청에 대한 부처님의 해답


  스물 : 삶을 대하는 태도들


이글은 여섯 명의 실제 인물을 소개하고 그들이 인생을 살아가는 태도를 불교도적 눈을 통해서 관찰해 본 책


  스물 하나 : 업과 윤회      [ hwp 문서받기 ]


"이 세상에서 사람들이 겪는 운명을 조금만 유심히 살펴보면, 모든 것이 참으로 공평치 못함을 느낄 것입니다." 이 같은 의문을 부처님의 가르침인 인과법에 비추어 설명한 책.            개정판(2009.09.30) 


  스물 둘 : 성지 순례의 길에서


고따마 붓다께서 살다 가셨고 또한 몸소 법()을 가르치셨던 곳 - 룸비니, 보드가야, 사르나트, 사왓티와 라자가하, 쿠시나라 - 유서 깊은 이곳에서 그분의 가르침을 닦는 여행길에 올라보길 ... 


  스물 셋 : 두려움과 슬픔을 느낄 때


일상 생활에서 느끼게 되는 두려움에 관한 의문과 슬픔을 당한 친구에게 부처님의 가르침을 통해 바른 견해를 갖도록 해주는 서간체의 글




  스물 넷 : 정근(精勤)      [ hwp 문서받기 ]


"비구들이여, 그대들에게 간곡히 이르노라. 모든 형성된 것은 영원하지 않다. 방일하지 말고 힘써 정진하라. 이것은 부처님께서 열반에 드시면서 남기신 마지막 말씀으로 우리를 거듭 몸받게 만드는 탐 진 치와의 싸움을 멈추지 말고 정근하기를 당부하신 내용.                개정판(2009.09.30) 


  스물 다섯 : 큰 합리주의


불교는 우리에게 신앙으로 믿어라고 강요하지 않는다. 부처님의 가르침이 현대인들에게 와 닫는 이유는 '이것이 아니면 저것' 이라는 차원을 넘어서기 때문이다. 불교는 더욱 넓은 합리주의로 나아가라고 우리에게 문을 활짝 열어주고 있다


  스물 여섯 : 오계와 현대사회 [ hwp 문서받기 ]


오계는 불교의 근본이 되는 도덕율이다. 실제로 재가불자들은 삼귀의와 더불어 오계를 일상생활에서 지켜왔고, 또한 법답게 삶을 꾸려나가려면 반드시 이 오계를 바탕으로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개정판) 


  스물 일곱 : 경전에 나오는 비유담 몇 토막


여기 실린 격언과 우화들은 BPS에서 출판한 보리수 잎 No. B97로 일본불교전교협회에서 발간한 "부처님의 가르침"에서 발췌한 것이다


  스물 여덟 : 불교 이해의 첫걸음/불교와 대중


부처님의 가르침을 깨달음의 유일한 길을 자세히 설명하는 도덕적이고 철학적인 체계이다. 불교를 수행자의 입장에서 알기쉽고 충실하게 쓴 글이다


  스물 아홉 : 이 시대의 중도


세상사 무슨 일이건 극단에 치우치지 아니하고 중도(中道)로서 대처한다면 참으로 바람직한 일이 될 것이다. 상업주의 시대에 중도를 찾아내고, 중도의 길을 흔들림 없이 나아가는 방법을 알려주는 책


  서른 : ()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의 여러 가지 측면을 음미해보고 사람들이 고를 만났을 때 일반적으로 보이는 반응들을 다양하게 살펴보는 책


  서른 하나 : 빈 강변에서 홀로 부처를 만나다

 


"불교는 광대한 가르침의 체계로서 서구권에 다가서고 있다" 로 시작하는 배우이면서 작가로 활동하다가 출가한 레너스 프라이스 스님의 글로써, 근본불교, 미끼달린 낚시바늘, 빈 강변에서 홀로 부처를 만나다, 사월과 십일월의 네 편의 글이 실려있다


  서른 둘 : 병상의 당신에게 감로수를 드립니다 병석명상법    [ hwp 문서받기 ]


병들어 누워있는 현실을 수행할 수 있는 귀중한 기회로 삼아 깊은 통찰을 해나가는데 당신의 모든 것을 바치라는 간절한 가르침(개정판) 

 

                              


  서른 셋 : 해탈의 이정표


욕계에 사는 우리들이 완전한 성자의 경지로 나아가는 도정을 체계적이고도 알기 쉽게 보여주는 글로서 세간과 출세간, 열 가지 족쇄와 네 단계 성자, 열반의 경지, 부촉의 말씀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른 넷 : 명상의 열매[hwp파일]


명상수행을 통해서 우리는 두 가지 열매를 거둘 수 있다. 첫째 열매는 우리가 일찍이 맛본 적이 없는 새로운 종류의 행복이다. 이 행복은 감각대상에 기인하는 것이 아니다. 감각대상에 기인한 행복은... 


  서른 다섯 : 불자의 참모습[hwp파일]


불교사상과 불교의 이상적 인간상은 지난 25백 여 년 동안 세계의 광범한 지역에서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사람들의 사고방식에 영향을 끼치고 삶을 인도하는 지침이 되어왔다. 그러나 재가불자로 머물면서 몸소 겪는 경험과 터득만으로는 삶에 대해 제대로 안목을 갖추기가 결코 쉽지 않다


  서른 여섯 : 사후세계의 갈림길[hwp파일]


임종시에 보이는 다섯 가지 환상 





  서른 일곱 : 왜 불교인가


새로운 글입니다.(2003.12.01.) 

 


  서른 여덟 : 참된 길동무


새로운 글입니다.(2003.12.01.) 

 


  서른 아홉 : 스스로 만든 감옥


새로운 글입니다.(2003.12.01.) 

 


  마흔 : 행선의 효험


새로운 글입니다.(2003.12.01.) 

 


  마흔 하나 : ·서양의 윤회관(HWP파일)


새로운 글입니다.(2003.12.01) 


  마흔 둘 : 부처님이 세운 법의 도시(HWP파일)


새로운 글입니다.(2003.12.01) 


  마흔 셋 : 슬픔의 뒤안길서 만나는 기쁨 당하는 죽음'챙기는 죽음'에 관하여(HWP파일)


새로운 글입니다.(2003.12.01) 


  마흔 넷 : 출가의 길(HWP파일)


새로운 글입니다.(2003.12.01) 


  마흔 다섯 : 불교와 합리주의  [ hwp 문서받]


새로운 글입니다


 마흔 여섯 : 학문의 세계와 윤회 [hwp 문서받기 ]


새로운 글입니다


  마흔 일곱 : 부처님의 실용적 가르침    [ hwp 문서받기]


새로운 글입니다


  마흔 여덟 : 법의 도전   [ hwp 문서받기 ]



새로운 글입니다


(
) 고요한 소리
http://www.calmvoice.org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