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세나니 승원  |  글쓴이 : 상가위원회 원글보기   http://cafe.daum.net/senani/bSmv/5




세나니 승원 도서 3. 법요집(법보시용) 756쪽(이판 2015년)



위의 주소를 누르면 법요집 PDF 파일을 받으실수 있습니다.

다운하실때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브라우저 최신버전

구글크롬, 모지라 파이어폭스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받으시면 됩니다.







세나니 승원 도서 안내


 

 

3. 법요집   (법보시용) 756(초판 2015)




이 책은 법 보시할 목적(법 보시용)으로 저자의 허락 없이 출간하실 수 있습니다.

 

책의 내용은 임의로 바꾸거나 수정할 수 없습니다.

 

이 책은 판매용이 아님으로 세나니 승원에서 책을 무료로 받아 가실 수 있습니다.




차 례



참고 문헌 ------------------------------------

1

일러두기 -------------------------------------

2

빨리어 한글 표기 -----------------------------

3

 

 

 


법요집

 

 

 

 

불교의 근본 가르침

 

 

 

 

1.

 

 

 

 

 

 

 

법과 율(담마위나야, dhamma-vinaya) ----------

삼보(··)의 특성

법의 특성

율의 특성

법과 율의 특성

법과 율의 판단 기준

삿된 견해의 판단

바른 가르침의 판단

6

 

 

 

 

 

 

 

 

 

 

2.

 

 

 

 

사성제(아리야삿짜, ariyasacca)-----------------

고성제(괴로움 정신·물질dukkha-sacca)

집성제(괴로움의 원인 갈애, 12연기samudaya-sacca)

멸성제(괴로움의 소멸 닙바나갈애의 소멸nirodha-sacca)

도성제(괴로움을 소멸하는 방법 팔정도magga-sacca)

28

 

 

 

 

 

 

 

3.

 

 

 

 

 

 

 

 

  팔정도(앗탕기까 막가, aṭṭhaṅgika-magga) ------

바른 견해(삼마 딧티, sammādiṭṭhi, 정견)

바른 사유(삼마 상깝빠, sammāsaṅkappa, 정사유)

바른 말(삼마 와짜, sammāvācā, 정어)

바른 행위(삼마 깜만따, sammākammanta, 정업)

바른 생계(삼마 아지와, sammājīva, 정명)

바른 정진(삼마 와야마, sammāvāyāma, 정정진)

바른 알아차림(삼마 사띠, sammāsati, 정념)

바른 삼매(삼마 사마디, sammāsamādhi, 정정)

41

 

 

 

 

 

 

 

 

 

 

 

4.

 

 

  12연기(빠띳짜 사뭅빠다, paṭicca-samuppāda) ----

연기의 분석

연기의 심오함

49

 

 

 

 

 

5.

 

 

 

 

 

 

 

37보리분법(보디빡키야, bodhipakkhiya) ---------

사념처(네 알아차림의 확립사띠빳타나, satipaṭṭhāna)

사정근(네 바른 정진삼맙빠다나, sammappadhāna)

사여의족(네 성취수단잇디빠다iddhi-pāda)

오근(다섯 기능인드리야, indriya)

오력(다섯 힘발라, bala)

칠각지(일곱 깨달음의 요소봇장가, bojjhaṅga)

팔정도(여덟 성스러운 도, 막강가, maggaṅga)

57

 

 

 

 

 

 

 

 

 

 

 

 

 

공덕의 실천

 

 

 

 

1.

 

 

 

 

보시(다나, dāna) ----------------------------

보시의 종류와 그 이익

바른 보시 방법

큰 결실을 얻는 보시의 요건

보시의 공덕과 과보

72

 

 

 

 

 

2.

 

 

 

 

 

지계(실라, sīla) -----------------------------

계율의 제정과 목적

재가자의 계(실라, sīla)

출가자의 네 가지 단속에 관한 계

출가자의 네 가지 의지처(nissāya)

계의 수행과 목적

87

 

  

 

 

 

 

 

3.

 

 

 

수행(바와나, bhāvanā) -----------------------

(sīla, 계 수행)

(samatha, 사마타 수행)

(vipassanā, 위빳사나 수행)

107

 

 

 

 

 

 

 

 

 

부처님(붓다, buddha)의 가르침(법과 율)

 

 

 

 

1.

 

 

 

 

 

 

 

  부처님의 발자취(붓다왐사, buddhavaṃsa) --------

보살과 바라밀(부처님이 되기 위해 닦아 오신 길)

탄생과 출가

고행과 중도의 발견

성 도

전법의 결심

전법 활동

열반(마지막 가르침대반열반경)

120

 

 

 

 

 

 

 

 

 

 

2.

 

 

  부처님(붓다, buddha) ------------------------

부처님(여래)

부처님의 덕성

136

 

 

 

 

 

3.

 

 

  부처님의 가르침(붓다 사사나, buddha sāsana) -----

부처님이 설하지 않은 가르침(관념적인 견해와 사상)

부처님의 가르침(불설)

158

 

 

 

 

 

4.

 

 

 

  법(담마, dhamma) ---------------------------

법의 특성

법에 의지하여라.

정법(바른 법)의 수호

181

 

 

 

 

 

 

5.

 

 

 

 

  율(위나야, vinaya) ---------------------------

계율 제정과 율의 결집

계율의 목적과 이익

율의 수호

출가자의 청정범행

200

 

 

 

 

 

 

 

 

 

 

바른 견해 바른 가르침

 

 

 

 

1.

 

 

 

른 견해 ----------------------------------

삿된 견해

삿된 견해의 위험

바른 견해의 이익

236

 

 

 

 

 

 

2.

 

 

바른 가르침의 판단 --------------------------

바른 가르침의 선택 기준

가르침의 바른 이해

266

 

 

 

 

 

3.

 

 

바른 스승의 판단 ----------------------------

바른 스승의 판단 기준

바른 스승과 바른 제자

289

 

 

 

 

 

 

 

 

4.

 

 

 

 

견해와 사상에 대한 바른 태도 -----------------

독단적인 견해

견해와 사상에 대한 바른 태도

신분의 귀천에 대한 바른 이해

바른 토론과 대화

307

 

 

 

 

 

 

 

 

 

 

재가자의 삶

 

 

 

 

1.

 

 

 

바른  ------------------------------------

바른 행위

바른 실천

효 도

336

 

 

 

 

 

 

2.

 

 

 

행복한 삶 ----------------------------------

금생의 행복

내생의 행복

여인의 행복한 삶

361

 

 

 

 

 

 

3.

 

 

 

재가불자의 삶 ------------------------------

삼귀의(재가불자가 되는 법)

지계의 실천

공덕의 실천

382

 

 

 

 

 

 

4.

 

 

 

 

 

 

 

재가불자의 예법 ----------------------------

재가자와 출가자

금전과 관련된 예법

여성과 관련된 예법

공양과 관련된 예법

기타 예법

상가 행사

재가자가 주관하는 행사

상가의 운영

401

 

 

 

 

 

 

 

 

 

 

 

 

 

수 행

 

 

 

 

1.

 

 

 

사마타 ․ 위빳사나(samatha·vipassanā) -----------

사마타 수행(선정 수행, samatha)

위빳사나 수행(통찰 수행, vipassanā)

삼매와 통찰지(사마타·위빳사나)

432

 

 

 

 

 

 

2.

 

 

수행(바와나, bhāvanā) -----------------------

닦아야 할 수행

수행의 향상과 이익

462

 

 

 

 

 

3.

 

 

몸과 마음(오온정신·물질, nāmarūpa) -----------

몸과 마음(정신·물질)

(정신·물질)는 누구인가?

481

 

 

 

 

 

4.

 

 

생노병사의 숙고(절박감상웨가, saṃvega) -------

절박감 계발

생노병사의 극복

498

 

 

 

 

 

5.

 

 

 

성찰 --------------------------------------

자신 안에서 세상의 끝에 도달한다.

자기 성찰

자기 성찰 방법

516

 

 

 

 

 

 

6.

 

 

정진(와야마, vāyāma) ------------------------

바른 정진

방일하지 마라.

534

 

 

 

 

 

번뇌의 해탈

 

 

 

 

1.

 

 

 

번뇌 --------------------------------------

탐욕(로바, lobha)

성냄(도사, dosa)

어리석음(번뇌의 뿌리무명모하, moha)

558

 

 

 

 

 

 

2.

 

 

생사윤회의 고통 ----------------------------

윤회의 고통

윤회의 바른 이해

585

 

 

 

 

 

3.

 

 

업과 업의 과보 -----------------------------

업의 법칙

업의 바른 이해

599

 

 

 

 

 

4.

 

 

해탈·열반 --------------------------------

성자(아라한)

해탈·열반

621

 

 

 

 

 

 

 

 

부처님의 마지막 가르침(대반열반경----------

여래에 대한 당부

법과 율에 대한 당부

정진에 대한 당부

640

 

 

 

 

 

 

 

 

 

출가자의 삶 --------------------------------

출가의 목적

출가자의 오염원

출가자의 바른 행위

상가의 화합

660

 

 

 

 

 

 

 

아비담마(abhidhamma) -----------------------

698

 

 

 

궁극적 실재(빠라맛타, paramattha)

욕계 마음(까마와짜라, kāmāvacara, 54가지)

색계 마음(루빠와짜라, rūpāvacara, 15가지)

무색계 마음(아루빠와짜라, arūpāvacara, 12가지)

출세간 마음(로꿋따라, lokuttara, 8가지)

마음부수(쩨따시까, cetasikā, 54가지)

인식과정(위티?따, vīthicitta)

과정을 벗어난 마음(위티뭇따, vīthimutta)

(깜마, kamma)

죽음과 재생연결의 과정(쭈띠 빠띠산디, cuti-paṭisandhi)

물질(루빠, rūpa)

닙바나(열반, nibbāna)

불선한 범주(아꾸살라, akusala)

혼합된 범주(밋사까, missaka)

보리분(보디빡키야, bodhipakkhiya, 37 보리분법)

일체(삽바, sabba)

조건(빳짜야, paccaya)

사마타 수행(사마타, samatha)

사마타 명상주제

위빳사나(vipassanā)

해탈(위목카, vimokkha)

 

 

 

 

 

 

 

법보시 하신 분 --------------------------------

742

법요집(정보) ----------------------------------

743



+ Recent posts